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앵커&리포트] 해지·탈퇴시 챙겨야 할 부가혜택
입력 2014.01.27 (21:06) 수정 2014.01.27 (22:07) 뉴스 9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우리 국민이 가진 신용카드와 체크카드가 모두 2억 장 정도입니다.
경제활동을 하는 국민 한 사람당 평균 7.7장을 가진 셈이니 가히 '카드 공화국' 수준이죠.
그런데 최근 8일 동안 카드를 없애달라는 신청이 250만 장.
전체의 1.2%나 됐습니다.
정보 유출 사건을 계기로 불필요한 카드는 없애자는 움직임도 커지고 있습니다.
김준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녹취> "신용카드 불매 절단을 결의하는..."
신용카드를 잘라 없애자는 시위가 카드사 앞에서 열렸습니다.
이번 정보유출 사건을 계기로 과도한 신용카드를 없앨 것을 결의했습니다.
카드 영업점은 여전히 고객들로 붐볐습니다.
<녹취> "재발급 받으실 분들은 번호표 받으실 필요가 없고요."
카드사들은 회원 유지를 위해 재발급을 유도했지만, 해지와 회원 탈퇴는 계속 됐습니다.
<인터뷰> 김수인(카드 회원탈퇴 신청) : "그냥 안 쓰는 방치해놓고 했던 부분이 있는데, 이제는 그게 다 나의 정보들이 유출되는 루트라는 걸 인지하게 된 것 같고요."
카드를 없애기로 했다면, 해지와 회원 탈퇴, 즉 탈회의 차이는 알아두는 게 좋습니다.
해지는 카드만 없애고 회원자격은 유지하는 것인 반면, 탈회는 회원에서 아예 탈퇴하는 것입니다.
원칙적으로는 포인트 등 부가 혜택이 모두 소멸되지만, 카드사들은 이번엔 예외로 하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이태운(여신금융협회 홍보부장) : "탈회 회원의 잔여 포인트는 현금으로 지급하거나 상품권으로 지급을 한다던가 또는 타 제휴처 포인트로 전환이 됩니다."
따라서 카드를 없앨 때는 쌓여 있는 포인트를 어떻게 돌려받을지 선택해서 카드사에 알려야 합니다.
KBS 뉴스 김준범입니다.
우리 국민이 가진 신용카드와 체크카드가 모두 2억 장 정도입니다.
경제활동을 하는 국민 한 사람당 평균 7.7장을 가진 셈이니 가히 '카드 공화국' 수준이죠.
그런데 최근 8일 동안 카드를 없애달라는 신청이 250만 장.
전체의 1.2%나 됐습니다.
정보 유출 사건을 계기로 불필요한 카드는 없애자는 움직임도 커지고 있습니다.
김준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녹취> "신용카드 불매 절단을 결의하는..."
신용카드를 잘라 없애자는 시위가 카드사 앞에서 열렸습니다.
이번 정보유출 사건을 계기로 과도한 신용카드를 없앨 것을 결의했습니다.
카드 영업점은 여전히 고객들로 붐볐습니다.
<녹취> "재발급 받으실 분들은 번호표 받으실 필요가 없고요."
카드사들은 회원 유지를 위해 재발급을 유도했지만, 해지와 회원 탈퇴는 계속 됐습니다.
<인터뷰> 김수인(카드 회원탈퇴 신청) : "그냥 안 쓰는 방치해놓고 했던 부분이 있는데, 이제는 그게 다 나의 정보들이 유출되는 루트라는 걸 인지하게 된 것 같고요."
카드를 없애기로 했다면, 해지와 회원 탈퇴, 즉 탈회의 차이는 알아두는 게 좋습니다.
해지는 카드만 없애고 회원자격은 유지하는 것인 반면, 탈회는 회원에서 아예 탈퇴하는 것입니다.
원칙적으로는 포인트 등 부가 혜택이 모두 소멸되지만, 카드사들은 이번엔 예외로 하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이태운(여신금융협회 홍보부장) : "탈회 회원의 잔여 포인트는 현금으로 지급하거나 상품권으로 지급을 한다던가 또는 타 제휴처 포인트로 전환이 됩니다."
따라서 카드를 없앨 때는 쌓여 있는 포인트를 어떻게 돌려받을지 선택해서 카드사에 알려야 합니다.
KBS 뉴스 김준범입니다.
- [앵커&리포트] 해지·탈퇴시 챙겨야 할 부가혜택
-
- 입력 2014-01-27 21:06:47
- 수정2014-01-27 22:07:17

<앵커 멘트>
우리 국민이 가진 신용카드와 체크카드가 모두 2억 장 정도입니다.
경제활동을 하는 국민 한 사람당 평균 7.7장을 가진 셈이니 가히 '카드 공화국' 수준이죠.
그런데 최근 8일 동안 카드를 없애달라는 신청이 250만 장.
전체의 1.2%나 됐습니다.
정보 유출 사건을 계기로 불필요한 카드는 없애자는 움직임도 커지고 있습니다.
김준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녹취> "신용카드 불매 절단을 결의하는..."
신용카드를 잘라 없애자는 시위가 카드사 앞에서 열렸습니다.
이번 정보유출 사건을 계기로 과도한 신용카드를 없앨 것을 결의했습니다.
카드 영업점은 여전히 고객들로 붐볐습니다.
<녹취> "재발급 받으실 분들은 번호표 받으실 필요가 없고요."
카드사들은 회원 유지를 위해 재발급을 유도했지만, 해지와 회원 탈퇴는 계속 됐습니다.
<인터뷰> 김수인(카드 회원탈퇴 신청) : "그냥 안 쓰는 방치해놓고 했던 부분이 있는데, 이제는 그게 다 나의 정보들이 유출되는 루트라는 걸 인지하게 된 것 같고요."
카드를 없애기로 했다면, 해지와 회원 탈퇴, 즉 탈회의 차이는 알아두는 게 좋습니다.
해지는 카드만 없애고 회원자격은 유지하는 것인 반면, 탈회는 회원에서 아예 탈퇴하는 것입니다.
원칙적으로는 포인트 등 부가 혜택이 모두 소멸되지만, 카드사들은 이번엔 예외로 하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이태운(여신금융협회 홍보부장) : "탈회 회원의 잔여 포인트는 현금으로 지급하거나 상품권으로 지급을 한다던가 또는 타 제휴처 포인트로 전환이 됩니다."
따라서 카드를 없앨 때는 쌓여 있는 포인트를 어떻게 돌려받을지 선택해서 카드사에 알려야 합니다.
KBS 뉴스 김준범입니다.
우리 국민이 가진 신용카드와 체크카드가 모두 2억 장 정도입니다.
경제활동을 하는 국민 한 사람당 평균 7.7장을 가진 셈이니 가히 '카드 공화국' 수준이죠.
그런데 최근 8일 동안 카드를 없애달라는 신청이 250만 장.
전체의 1.2%나 됐습니다.
정보 유출 사건을 계기로 불필요한 카드는 없애자는 움직임도 커지고 있습니다.
김준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녹취> "신용카드 불매 절단을 결의하는..."
신용카드를 잘라 없애자는 시위가 카드사 앞에서 열렸습니다.
이번 정보유출 사건을 계기로 과도한 신용카드를 없앨 것을 결의했습니다.
카드 영업점은 여전히 고객들로 붐볐습니다.
<녹취> "재발급 받으실 분들은 번호표 받으실 필요가 없고요."
카드사들은 회원 유지를 위해 재발급을 유도했지만, 해지와 회원 탈퇴는 계속 됐습니다.
<인터뷰> 김수인(카드 회원탈퇴 신청) : "그냥 안 쓰는 방치해놓고 했던 부분이 있는데, 이제는 그게 다 나의 정보들이 유출되는 루트라는 걸 인지하게 된 것 같고요."
카드를 없애기로 했다면, 해지와 회원 탈퇴, 즉 탈회의 차이는 알아두는 게 좋습니다.
해지는 카드만 없애고 회원자격은 유지하는 것인 반면, 탈회는 회원에서 아예 탈퇴하는 것입니다.
원칙적으로는 포인트 등 부가 혜택이 모두 소멸되지만, 카드사들은 이번엔 예외로 하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이태운(여신금융협회 홍보부장) : "탈회 회원의 잔여 포인트는 현금으로 지급하거나 상품권으로 지급을 한다던가 또는 타 제휴처 포인트로 전환이 됩니다."
따라서 카드를 없앨 때는 쌓여 있는 포인트를 어떻게 돌려받을지 선택해서 카드사에 알려야 합니다.
KBS 뉴스 김준범입니다.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준범 기자 jbkim@kbs.co.kr
김준범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