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현장] 여야, 2월 임시국회 일정 합의

입력 2014.01.28 (15:00) 수정 2014.01.28 (16: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2월 임시국회가 이제 일주일도 채 남지 않은 가운데 여야 원내대표가 만나 의사일정을 조율하고 있습니다.

여야가 중점을 두는 사안이 달라 협상에 난항을 겪어왔는데요,

구체적인 상황을 정치외교부 기자와 함께 알아봅니다.

고 기자, 지금 2월 국회 의사일정 조율을 위해 여야 원내대표 회담 어떻게 진행되고 있습니까?

<질문>
여야는 의사일정에 합의했습니다.

<답변>
개인정보 유출 문제가 막판 걸림돌이었는데요,

정무위원회에서는 국정조사, 관련 상임위에서는 청문회를 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여야가 이렇게 막판까지 협상을 벌여온 건 각자 중점을 두는 사안이 달랐기 때문인데요,

우선 새누리당 입장이 뭔지 최경환 원내대표의 말을 들어보겠습니다.

<인터뷰> 최경환(새누리당 원내대표) : "지난 연말 국회에서 마무리하지 못했던 주요경제살리기 법안, 연금법안, 북한 인권법 등을 반드시 처리할 수 있도록."

최 원내대표는 특히 올해 예산에 반영된 기초 연금을 오는 7월부터 지급하려면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법안을 통과시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최 원내대표는 또 민주당이 북한 인권 관련법 처리에서 행동으로 보여주지 않으면 국민적인 지탄은 물론 세계적인 지탄을 받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질문>
기초연금과 북한인권 모두 민주당 입장에서는 더 논의가 필요한 부분일 것 같은데요,

민주당이 꼽는 중점 사안은 뭔가요?

<답변>
민주당은 개인정보 유출 사건에 대한 대책 마련과 입법화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회에서 특위를 만들어서 국정조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습니다.

전병헌 원내대표의 말을 들어보겠습니다.

<인터뷰> 전병헌(민주당 원내대표) : "사상 최악 국민의 개인정보 유출 문제 해결 출발점은 철저 국조로 시작되는 것. 공공 민간 영역 실태 총체적 점검 근본적 개혁 나서야 할 것."

전 원내대표는 정보 유출 문제를 정쟁화시킬 생각이 추호도 없다며, 이를 해결하는 국회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전 원내대표는 또, 정보 유출에 대해 실언 논란을 빚은 현오석 경제부총리를 겨냥해 감독인 대통령이 마치 심판처럼 옐로카드를 보냈다고 비판했습니다.

심판인 국민이 퇴장하라는 레드카드를 꺼냈는데 감독이 봐줄 수는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질문>
AI가 전국적으로 퍼지고 있는데 국회 차원의 대책은 논의가 되고 있나요?

<답변>
여야 모두 철저한 방역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특히, 이제 설 연휴를 앞두고 있으니까 선제적으로 방역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우선, 새누리당 입장부터 들어보겠습니다.

<인터뷰> 김기현(새누리당 정책위의장) : "대이동 사람과 차량 확산이 확실히 차단 철저한 소독 당부. 아울러 우리 국민 상당한 불편 초래, AI 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 대책 협조 부탁."

여당 측에서는 예방적인 매몰 처분 등 선제 대응을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새누리당과 정부, 청와대가 한 시간 반쯤 뒤에 총리공관에서 만나 AI와 정보유출 대책을 논의합니다.

당정청은 이번 회의에서 AI 방역과 확산 방지 대책을 논의하고, 범정부적 대책팀을 구성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질문>
민주당도 AI 확산 문제에 대해 대책을 내놨다면서요?

역시 방역에 초점이 맞춰져 있나요?

<답변>
민주당은 현재 정부의 방역 정책은 허점이 많다면서 보다 실효성 있는 방역 대책을 촉구했습니다.

민주당에서 당내 관련 특위 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춘진 의원의 말을 들어보겠습니다.

<인터뷰> 김춘진(민주당 의원) : :정부는 방역 현장 목소리를 귀담아 듣고 현실 맞는 방역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철새가 원인이라고 해서 헬기 동원해 방역하는 건 철새 쫓아 전국에 바이러스 확산시키는 조치 아닌가."

이 밖에도, 김 의원은 AI 바이러스를 민간 연구기관에 공개해 백신과 치료약을 개발해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아울러, 민주당 AI 대책특위는 정홍원 국무총리를 면담하고 AI 대책을 논의 중입니다.

민주당 위원들은 방역 현황 등에 대한 설명을 듣고 축산 농가에 대한 소독 강화 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오늘의 현장] 여야, 2월 임시국회 일정 합의
    • 입력 2014-01-28 15:10:38
    • 수정2014-01-28 16:38:59
    뉴스토크
<앵커 멘트>

2월 임시국회가 이제 일주일도 채 남지 않은 가운데 여야 원내대표가 만나 의사일정을 조율하고 있습니다.

여야가 중점을 두는 사안이 달라 협상에 난항을 겪어왔는데요,

구체적인 상황을 정치외교부 기자와 함께 알아봅니다.

고 기자, 지금 2월 국회 의사일정 조율을 위해 여야 원내대표 회담 어떻게 진행되고 있습니까?

<질문>
여야는 의사일정에 합의했습니다.

<답변>
개인정보 유출 문제가 막판 걸림돌이었는데요,

정무위원회에서는 국정조사, 관련 상임위에서는 청문회를 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여야가 이렇게 막판까지 협상을 벌여온 건 각자 중점을 두는 사안이 달랐기 때문인데요,

우선 새누리당 입장이 뭔지 최경환 원내대표의 말을 들어보겠습니다.

<인터뷰> 최경환(새누리당 원내대표) : "지난 연말 국회에서 마무리하지 못했던 주요경제살리기 법안, 연금법안, 북한 인권법 등을 반드시 처리할 수 있도록."

최 원내대표는 특히 올해 예산에 반영된 기초 연금을 오는 7월부터 지급하려면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법안을 통과시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최 원내대표는 또 민주당이 북한 인권 관련법 처리에서 행동으로 보여주지 않으면 국민적인 지탄은 물론 세계적인 지탄을 받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질문>
기초연금과 북한인권 모두 민주당 입장에서는 더 논의가 필요한 부분일 것 같은데요,

민주당이 꼽는 중점 사안은 뭔가요?

<답변>
민주당은 개인정보 유출 사건에 대한 대책 마련과 입법화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회에서 특위를 만들어서 국정조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습니다.

전병헌 원내대표의 말을 들어보겠습니다.

<인터뷰> 전병헌(민주당 원내대표) : "사상 최악 국민의 개인정보 유출 문제 해결 출발점은 철저 국조로 시작되는 것. 공공 민간 영역 실태 총체적 점검 근본적 개혁 나서야 할 것."

전 원내대표는 정보 유출 문제를 정쟁화시킬 생각이 추호도 없다며, 이를 해결하는 국회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전 원내대표는 또, 정보 유출에 대해 실언 논란을 빚은 현오석 경제부총리를 겨냥해 감독인 대통령이 마치 심판처럼 옐로카드를 보냈다고 비판했습니다.

심판인 국민이 퇴장하라는 레드카드를 꺼냈는데 감독이 봐줄 수는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질문>
AI가 전국적으로 퍼지고 있는데 국회 차원의 대책은 논의가 되고 있나요?

<답변>
여야 모두 철저한 방역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특히, 이제 설 연휴를 앞두고 있으니까 선제적으로 방역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우선, 새누리당 입장부터 들어보겠습니다.

<인터뷰> 김기현(새누리당 정책위의장) : "대이동 사람과 차량 확산이 확실히 차단 철저한 소독 당부. 아울러 우리 국민 상당한 불편 초래, AI 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 대책 협조 부탁."

여당 측에서는 예방적인 매몰 처분 등 선제 대응을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새누리당과 정부, 청와대가 한 시간 반쯤 뒤에 총리공관에서 만나 AI와 정보유출 대책을 논의합니다.

당정청은 이번 회의에서 AI 방역과 확산 방지 대책을 논의하고, 범정부적 대책팀을 구성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질문>
민주당도 AI 확산 문제에 대해 대책을 내놨다면서요?

역시 방역에 초점이 맞춰져 있나요?

<답변>
민주당은 현재 정부의 방역 정책은 허점이 많다면서 보다 실효성 있는 방역 대책을 촉구했습니다.

민주당에서 당내 관련 특위 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춘진 의원의 말을 들어보겠습니다.

<인터뷰> 김춘진(민주당 의원) : :정부는 방역 현장 목소리를 귀담아 듣고 현실 맞는 방역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철새가 원인이라고 해서 헬기 동원해 방역하는 건 철새 쫓아 전국에 바이러스 확산시키는 조치 아닌가."

이 밖에도, 김 의원은 AI 바이러스를 민간 연구기관에 공개해 백신과 치료약을 개발해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아울러, 민주당 AI 대책특위는 정홍원 국무총리를 면담하고 AI 대책을 논의 중입니다.

민주당 위원들은 방역 현황 등에 대한 설명을 듣고 축산 농가에 대한 소독 강화 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