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폭설에 지역경제 멈춰…재난 선제 대응 필요

입력 2014.02.12 (21:23) 수정 2014.02.12 (22: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자 멘트>

일주일째 이어진 1미터 넘는 폭설에 동해안지역 곳곳이 마비됐습니다.

관광과 어업 등 지역 경제가 멈춰섰고, 또, 붕괴 사고까지 잇따르면서 지역 자체 대응책만으로는 이미 역부족 상탭니다.

동해안 주민들은 중앙 정부 차원의 복구 지원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먼저, 박효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80여 가구가 사는 강릉의 한 외딴 마을.

눈으로 꽉 막힌 마을 안길을 뚫는데 공무원들이 나섰습니다.

그러나 제설장비는 하나도 없고 전적으로 눈삽을 든 인력에만 의존합니다.

<인터뷰> 김종출(강릉시 강동면) : "시에서 주는 장비는 한계가 있고, 주민들도 시에 달라고 못하고 있습니다."

불도저가 산더미처럼 쌓인 눈을 걷어냅니다.

도로는 수 킬로미터에 이르지만 장비는 이것 한 대가 전부입니다.

<인터뷰> 윤달중(불도저 기사) : "장비들이 투입돼 있는데, 다른 데서 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 여기 못 오고, 오늘 제가 혼자 하고 있습니다."

왕복 4차로 도로의 눈이 제때 치워지지 않으면서 차량정체가 날마다 되풀이됩니다.

도심에도 눈이 어른 키만큼 쌓여 있습니다.

하지만, 제설장비가 부족해 눈 치우는 작업은 더디기만 합니다.

오늘 강원 동해안에 투입된 제설장비는 천5백 대, 제설 수요보다 2백70대 정도 부족합니다.

제설이 늦어지면서 지역 상경기는 바닥으로 추락했고 생활불편은 줄지 않고 있습니다.

폭설에 따른 시설물 붕괴도 계속돼 오늘까지 시설물 260여 동이 파손됐습니다.

이번 폭설로 전국에서 50억 원이 넘는 재산피해가 나고 2명이 숨진 것으로 잠정집계되고 있습니다.

<기자 멘트>

이런 재난상황이 일어났을 때 정부 재난대책기구는 안전행정부 장관이 책임지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와 지역본부 체계로 이어져 있습니다.

눈이 처음 내린 지난주 목요일, 동해안엔 80cm 이상의 폭설이 예보돼, 이미 지역본부 대응만으로는 한계가 명확한 상황이었습니다.

그런데 정부는 폭설 나흘째인 지난 일요일, 강릉의 적설량이 60cm를 넘어섰을 때에야 총리 주재 대책회의를 열었고, 강원과 경북의 대책회의도 같은 날 열립니다.

<녹취> 정홍원(국무총리) : "지방자치단체에서 인력이나 장비 요청이 있을 경우에는 즉각적인 지원을 해주시고"

총리의 지시가 있었지만 실제 이뤄진 대책은 '교통소통 대책을 마련하라' 등의 문서 지침이 전부입니다.

폭설 6일째, 동해안 적설량은 1미터를 넘어서고, 영남으로까지 피해가 확산됩니다.

정부는 이때서야 제설장비와 인력 총동원령을 내립니다.

더구나 이번 눈은 습기를 많이 머금은 무거운 습설이어서 붕괴 피해도 예견된 상황이었지만, 인력 지원이 없었습니다.

마치 피해를 기다리는 재난 대응 방식이라는 비판을 사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재난 피해가 예견될 때 선제적, 예방적으로 대응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리포트>

폭설로 유명한 러시아는 제설 분야의 선진국으로 꼽힙니다.

비결은 선제적인 대응.

폭설이 예상되면 주요 도로에 제설차 수십여 대를 대기시키다가 눈이 내리면 동시에 치웁니다.

현장에는 순식간에 눈을 쓸어담는 특수장비와 퍼낸 눈을 녹일 수 있는 증기 컨테이너까지 배치됩니다.

<녹취> 올로바(모스크바 제설당국 부국장) : "눈이 많이 온 다음날까지 깨끗한 아스팔트 도로로 유지하는 게 저희의 임무…"

폭설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전략은 다른 선진국도 비슷합니다.

미국은 폭설 예보시 100미터 간격으로 제설차량을 배치하고, 교통 혼잡 예상 지역엔 미리 진입금지 조치가 내려집니다.

개인 장비로 제설 작업을 한 시민에겐 별도 비용을 지급해 시민들의 협조를 동시에 유도합니다.

영국에서는 도로 표면에 센서를 깔아 지역별 도로 결빙 상황 등을 중앙정부가 바로 파악해 대응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오정림(박사/국립재난안전연구원) : "CCTV 라든지 현장의 정보를 바로 관측할 수 있는 그런 정보들을 한곳에 모을 수 있다면 사각지대를 많이 줄이고 재난에 훨씬 대응하기가 수월할 것…"

제설 장비와 인력 등 흩어져 있는 중앙과 지방의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공유해, 폭설이 예상되면 자원을 선제적으로 또 집중적으로 투입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최광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뉴스] 폭설에 지역경제 멈춰…재난 선제 대응 필요
    • 입력 2014-02-12 21:28:13
    • 수정2014-02-12 22:11:52
    뉴스 9
<기자 멘트>

일주일째 이어진 1미터 넘는 폭설에 동해안지역 곳곳이 마비됐습니다.

관광과 어업 등 지역 경제가 멈춰섰고, 또, 붕괴 사고까지 잇따르면서 지역 자체 대응책만으로는 이미 역부족 상탭니다.

동해안 주민들은 중앙 정부 차원의 복구 지원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먼저, 박효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80여 가구가 사는 강릉의 한 외딴 마을.

눈으로 꽉 막힌 마을 안길을 뚫는데 공무원들이 나섰습니다.

그러나 제설장비는 하나도 없고 전적으로 눈삽을 든 인력에만 의존합니다.

<인터뷰> 김종출(강릉시 강동면) : "시에서 주는 장비는 한계가 있고, 주민들도 시에 달라고 못하고 있습니다."

불도저가 산더미처럼 쌓인 눈을 걷어냅니다.

도로는 수 킬로미터에 이르지만 장비는 이것 한 대가 전부입니다.

<인터뷰> 윤달중(불도저 기사) : "장비들이 투입돼 있는데, 다른 데서 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 여기 못 오고, 오늘 제가 혼자 하고 있습니다."

왕복 4차로 도로의 눈이 제때 치워지지 않으면서 차량정체가 날마다 되풀이됩니다.

도심에도 눈이 어른 키만큼 쌓여 있습니다.

하지만, 제설장비가 부족해 눈 치우는 작업은 더디기만 합니다.

오늘 강원 동해안에 투입된 제설장비는 천5백 대, 제설 수요보다 2백70대 정도 부족합니다.

제설이 늦어지면서 지역 상경기는 바닥으로 추락했고 생활불편은 줄지 않고 있습니다.

폭설에 따른 시설물 붕괴도 계속돼 오늘까지 시설물 260여 동이 파손됐습니다.

이번 폭설로 전국에서 50억 원이 넘는 재산피해가 나고 2명이 숨진 것으로 잠정집계되고 있습니다.

<기자 멘트>

이런 재난상황이 일어났을 때 정부 재난대책기구는 안전행정부 장관이 책임지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와 지역본부 체계로 이어져 있습니다.

눈이 처음 내린 지난주 목요일, 동해안엔 80cm 이상의 폭설이 예보돼, 이미 지역본부 대응만으로는 한계가 명확한 상황이었습니다.

그런데 정부는 폭설 나흘째인 지난 일요일, 강릉의 적설량이 60cm를 넘어섰을 때에야 총리 주재 대책회의를 열었고, 강원과 경북의 대책회의도 같은 날 열립니다.

<녹취> 정홍원(국무총리) : "지방자치단체에서 인력이나 장비 요청이 있을 경우에는 즉각적인 지원을 해주시고"

총리의 지시가 있었지만 실제 이뤄진 대책은 '교통소통 대책을 마련하라' 등의 문서 지침이 전부입니다.

폭설 6일째, 동해안 적설량은 1미터를 넘어서고, 영남으로까지 피해가 확산됩니다.

정부는 이때서야 제설장비와 인력 총동원령을 내립니다.

더구나 이번 눈은 습기를 많이 머금은 무거운 습설이어서 붕괴 피해도 예견된 상황이었지만, 인력 지원이 없었습니다.

마치 피해를 기다리는 재난 대응 방식이라는 비판을 사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재난 피해가 예견될 때 선제적, 예방적으로 대응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리포트>

폭설로 유명한 러시아는 제설 분야의 선진국으로 꼽힙니다.

비결은 선제적인 대응.

폭설이 예상되면 주요 도로에 제설차 수십여 대를 대기시키다가 눈이 내리면 동시에 치웁니다.

현장에는 순식간에 눈을 쓸어담는 특수장비와 퍼낸 눈을 녹일 수 있는 증기 컨테이너까지 배치됩니다.

<녹취> 올로바(모스크바 제설당국 부국장) : "눈이 많이 온 다음날까지 깨끗한 아스팔트 도로로 유지하는 게 저희의 임무…"

폭설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전략은 다른 선진국도 비슷합니다.

미국은 폭설 예보시 100미터 간격으로 제설차량을 배치하고, 교통 혼잡 예상 지역엔 미리 진입금지 조치가 내려집니다.

개인 장비로 제설 작업을 한 시민에겐 별도 비용을 지급해 시민들의 협조를 동시에 유도합니다.

영국에서는 도로 표면에 센서를 깔아 지역별 도로 결빙 상황 등을 중앙정부가 바로 파악해 대응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오정림(박사/국립재난안전연구원) : "CCTV 라든지 현장의 정보를 바로 관측할 수 있는 그런 정보들을 한곳에 모을 수 있다면 사각지대를 많이 줄이고 재난에 훨씬 대응하기가 수월할 것…"

제설 장비와 인력 등 흩어져 있는 중앙과 지방의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공유해, 폭설이 예상되면 자원을 선제적으로 또 집중적으로 투입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최광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올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