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년 만에 ‘보름타인 데이’…초콜릿vs부럼 승자는?
입력 2014.02.14 (19:05)
수정 2014.02.14 (20: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올해는 정월대보름과 밸런타인데이가 19년 만에 겹쳐 '보름 타인데이'라는 말까지 생기면서 유통업계 마케팅이 치열했는데요.
대표 품목인 부럼과 초콜릿의 매출 희비는 엇갈렸습니다.
이해연기자입니다.
<리포트>
19년 만에 겹친 밸런타인데이와 대보름.
유통 업체에선 각각 초콜릿과 부럼 특설 매장을 내고 손님 끌기에 나섰습니다.
매출 증가세에서 앞선 건 땅콩과 호두 등 견과류였습니다.
이 대형마트의 경우 견과류 매출은 지난해보다 7퍼센트 가량 증가한 반면 초콜릿은 17퍼센트 감소했습니다.
<인터뷰> 진유진(서울시 중랑구) : "사무실 직원들에게 돌리려고 샀는데 초콜릿보다는 견과류가 건강에 좋은 것 같아서 사게 됐어요."
유통업체에서 초콜릿 매출은 최근 3년간 계속 줄고 있는 상황.
초콜릿을 고집하기보단 넥타이와 지갑 같은 실속형 선물을 하는 등 경기침체 속에 선물 방식이 달라졌다는 분석입니다.
<인터뷰> 이민지(유통업체 직원) : "예전같은 경우에는 화려한 포장이 들어있는 대용량 초콜릿이 인기였다면 요즘엔 수제 초콜릿이나 적은 용량이 (잘 팔립니다) "
불황과 웰빙 분위기 속에 밸런타인데이 특수도 한풀 꺽인 것으로 유통업계는 분석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해연입니다.
올해는 정월대보름과 밸런타인데이가 19년 만에 겹쳐 '보름 타인데이'라는 말까지 생기면서 유통업계 마케팅이 치열했는데요.
대표 품목인 부럼과 초콜릿의 매출 희비는 엇갈렸습니다.
이해연기자입니다.
<리포트>
19년 만에 겹친 밸런타인데이와 대보름.
유통 업체에선 각각 초콜릿과 부럼 특설 매장을 내고 손님 끌기에 나섰습니다.
매출 증가세에서 앞선 건 땅콩과 호두 등 견과류였습니다.
이 대형마트의 경우 견과류 매출은 지난해보다 7퍼센트 가량 증가한 반면 초콜릿은 17퍼센트 감소했습니다.
<인터뷰> 진유진(서울시 중랑구) : "사무실 직원들에게 돌리려고 샀는데 초콜릿보다는 견과류가 건강에 좋은 것 같아서 사게 됐어요."
유통업체에서 초콜릿 매출은 최근 3년간 계속 줄고 있는 상황.
초콜릿을 고집하기보단 넥타이와 지갑 같은 실속형 선물을 하는 등 경기침체 속에 선물 방식이 달라졌다는 분석입니다.
<인터뷰> 이민지(유통업체 직원) : "예전같은 경우에는 화려한 포장이 들어있는 대용량 초콜릿이 인기였다면 요즘엔 수제 초콜릿이나 적은 용량이 (잘 팔립니다) "
불황과 웰빙 분위기 속에 밸런타인데이 특수도 한풀 꺽인 것으로 유통업계는 분석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해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9년 만에 ‘보름타인 데이’…초콜릿vs부럼 승자는?
-
- 입력 2014-02-14 19:07:23
- 수정2014-02-14 20:17:06

<앵커 멘트>
올해는 정월대보름과 밸런타인데이가 19년 만에 겹쳐 '보름 타인데이'라는 말까지 생기면서 유통업계 마케팅이 치열했는데요.
대표 품목인 부럼과 초콜릿의 매출 희비는 엇갈렸습니다.
이해연기자입니다.
<리포트>
19년 만에 겹친 밸런타인데이와 대보름.
유통 업체에선 각각 초콜릿과 부럼 특설 매장을 내고 손님 끌기에 나섰습니다.
매출 증가세에서 앞선 건 땅콩과 호두 등 견과류였습니다.
이 대형마트의 경우 견과류 매출은 지난해보다 7퍼센트 가량 증가한 반면 초콜릿은 17퍼센트 감소했습니다.
<인터뷰> 진유진(서울시 중랑구) : "사무실 직원들에게 돌리려고 샀는데 초콜릿보다는 견과류가 건강에 좋은 것 같아서 사게 됐어요."
유통업체에서 초콜릿 매출은 최근 3년간 계속 줄고 있는 상황.
초콜릿을 고집하기보단 넥타이와 지갑 같은 실속형 선물을 하는 등 경기침체 속에 선물 방식이 달라졌다는 분석입니다.
<인터뷰> 이민지(유통업체 직원) : "예전같은 경우에는 화려한 포장이 들어있는 대용량 초콜릿이 인기였다면 요즘엔 수제 초콜릿이나 적은 용량이 (잘 팔립니다) "
불황과 웰빙 분위기 속에 밸런타인데이 특수도 한풀 꺽인 것으로 유통업계는 분석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해연입니다.
올해는 정월대보름과 밸런타인데이가 19년 만에 겹쳐 '보름 타인데이'라는 말까지 생기면서 유통업계 마케팅이 치열했는데요.
대표 품목인 부럼과 초콜릿의 매출 희비는 엇갈렸습니다.
이해연기자입니다.
<리포트>
19년 만에 겹친 밸런타인데이와 대보름.
유통 업체에선 각각 초콜릿과 부럼 특설 매장을 내고 손님 끌기에 나섰습니다.
매출 증가세에서 앞선 건 땅콩과 호두 등 견과류였습니다.
이 대형마트의 경우 견과류 매출은 지난해보다 7퍼센트 가량 증가한 반면 초콜릿은 17퍼센트 감소했습니다.
<인터뷰> 진유진(서울시 중랑구) : "사무실 직원들에게 돌리려고 샀는데 초콜릿보다는 견과류가 건강에 좋은 것 같아서 사게 됐어요."
유통업체에서 초콜릿 매출은 최근 3년간 계속 줄고 있는 상황.
초콜릿을 고집하기보단 넥타이와 지갑 같은 실속형 선물을 하는 등 경기침체 속에 선물 방식이 달라졌다는 분석입니다.
<인터뷰> 이민지(유통업체 직원) : "예전같은 경우에는 화려한 포장이 들어있는 대용량 초콜릿이 인기였다면 요즘엔 수제 초콜릿이나 적은 용량이 (잘 팔립니다) "
불황과 웰빙 분위기 속에 밸런타인데이 특수도 한풀 꺽인 것으로 유통업계는 분석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해연입니다.
-
-
이해연 기자 haeyon@kbs.co.kr
이해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