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한표 의원은 조기 재취업 수당 수급에서 불이익을 받아온 비정규직 교원 등 공공부문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문제를 개선하도록 하는 내용의 '고용보험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습니다.
비정규직 교원의 경우 학교장이 아니라 교육감과 계약을 하기 때문에, 그동안 동일 광역자치단체에 소재한 다른 학교로 전직하면 조기재취업수당을 받지 못하고, 인근 광역자치단체로 이직하면 수당을 지급받는 등 형평성 문제가 제기돼 왔습니다.
이에 따라 개정안은 조기재취업수당의 지급제한 요건에서, 수급자격자를 재고용한 사업부가 국가나 지자체 또는 그 소속기관의 장인 경우를 제외하도록 해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비정규직 교원의 경우 학교장이 아니라 교육감과 계약을 하기 때문에, 그동안 동일 광역자치단체에 소재한 다른 학교로 전직하면 조기재취업수당을 받지 못하고, 인근 광역자치단체로 이직하면 수당을 지급받는 등 형평성 문제가 제기돼 왔습니다.
이에 따라 개정안은 조기재취업수당의 지급제한 요건에서, 수급자격자를 재고용한 사업부가 국가나 지자체 또는 그 소속기관의 장인 경우를 제외하도록 해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김한표, 비정규 교원 실업급여 불이익 해소 추진
-
- 입력 2014-02-22 10:58:31
새누리당 김한표 의원은 조기 재취업 수당 수급에서 불이익을 받아온 비정규직 교원 등 공공부문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문제를 개선하도록 하는 내용의 '고용보험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습니다.
비정규직 교원의 경우 학교장이 아니라 교육감과 계약을 하기 때문에, 그동안 동일 광역자치단체에 소재한 다른 학교로 전직하면 조기재취업수당을 받지 못하고, 인근 광역자치단체로 이직하면 수당을 지급받는 등 형평성 문제가 제기돼 왔습니다.
이에 따라 개정안은 조기재취업수당의 지급제한 요건에서, 수급자격자를 재고용한 사업부가 국가나 지자체 또는 그 소속기관의 장인 경우를 제외하도록 해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
변진석 기자 brick@kbs.co.kr
변진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