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조직적 차량 탈취 일당 검거
입력 2014.03.04 (09:50) 수정 2014.03.04 (10:17) 930뉴스
<앵커 멘트>
고급 자동차만 골라 훔쳐서 외국에 팔아 넘긴 일당이 붙잡혔는데요.
요즘 미국에서 차량 탈취 범죄가 기승을 부리는 이유가 밝혀졌습니다.
<리포트>
이 남성은 어이없게도 자신의 집 앞에 세워둔 차를 강탈당했습니다.
강도가 총을 겨누고 위협해 손쓸 겨를이 없었습니다.
경찰이 최근 차량 탈취 조직을 적발했는데, 총책, 운반책, 알선책 등으로 치밀하게 역할 분담돼 있었습니다.
지금까지 훔친 차량이 약 85억 원어치에 이르는데요.
주로 서부 아프리카 지역으로, 실제 가치보다 30% 더 비싸게 팔아 넘겨왔습니다.
더 큰 문제는 이들이 목적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인터뷰> 릭 푸엔테스(미국 뉴저지 경찰서장) : "제조업체가 차량 도난을 방지하도록 제작하는 것은 잘하는 일이지만, 그러다보니 열쇠가 꼭 필요합니다."
차량 탈취범들이 차 열쇠를 빼앗기 위해 시민을 위협하고 살인과 폭력도 서슴지 않고 있습니다.
KBS 월드뉴스입니다.
고급 자동차만 골라 훔쳐서 외국에 팔아 넘긴 일당이 붙잡혔는데요.
요즘 미국에서 차량 탈취 범죄가 기승을 부리는 이유가 밝혀졌습니다.
<리포트>
이 남성은 어이없게도 자신의 집 앞에 세워둔 차를 강탈당했습니다.
강도가 총을 겨누고 위협해 손쓸 겨를이 없었습니다.
경찰이 최근 차량 탈취 조직을 적발했는데, 총책, 운반책, 알선책 등으로 치밀하게 역할 분담돼 있었습니다.
지금까지 훔친 차량이 약 85억 원어치에 이르는데요.
주로 서부 아프리카 지역으로, 실제 가치보다 30% 더 비싸게 팔아 넘겨왔습니다.
더 큰 문제는 이들이 목적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인터뷰> 릭 푸엔테스(미국 뉴저지 경찰서장) : "제조업체가 차량 도난을 방지하도록 제작하는 것은 잘하는 일이지만, 그러다보니 열쇠가 꼭 필요합니다."
차량 탈취범들이 차 열쇠를 빼앗기 위해 시민을 위협하고 살인과 폭력도 서슴지 않고 있습니다.
KBS 월드뉴스입니다.
- 조직적 차량 탈취 일당 검거
-
- 입력 2014-03-04 09:53:44
- 수정2014-03-04 10:17:55

<앵커 멘트>
고급 자동차만 골라 훔쳐서 외국에 팔아 넘긴 일당이 붙잡혔는데요.
요즘 미국에서 차량 탈취 범죄가 기승을 부리는 이유가 밝혀졌습니다.
<리포트>
이 남성은 어이없게도 자신의 집 앞에 세워둔 차를 강탈당했습니다.
강도가 총을 겨누고 위협해 손쓸 겨를이 없었습니다.
경찰이 최근 차량 탈취 조직을 적발했는데, 총책, 운반책, 알선책 등으로 치밀하게 역할 분담돼 있었습니다.
지금까지 훔친 차량이 약 85억 원어치에 이르는데요.
주로 서부 아프리카 지역으로, 실제 가치보다 30% 더 비싸게 팔아 넘겨왔습니다.
더 큰 문제는 이들이 목적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인터뷰> 릭 푸엔테스(미국 뉴저지 경찰서장) : "제조업체가 차량 도난을 방지하도록 제작하는 것은 잘하는 일이지만, 그러다보니 열쇠가 꼭 필요합니다."
차량 탈취범들이 차 열쇠를 빼앗기 위해 시민을 위협하고 살인과 폭력도 서슴지 않고 있습니다.
KBS 월드뉴스입니다.
고급 자동차만 골라 훔쳐서 외국에 팔아 넘긴 일당이 붙잡혔는데요.
요즘 미국에서 차량 탈취 범죄가 기승을 부리는 이유가 밝혀졌습니다.
<리포트>
이 남성은 어이없게도 자신의 집 앞에 세워둔 차를 강탈당했습니다.
강도가 총을 겨누고 위협해 손쓸 겨를이 없었습니다.
경찰이 최근 차량 탈취 조직을 적발했는데, 총책, 운반책, 알선책 등으로 치밀하게 역할 분담돼 있었습니다.
지금까지 훔친 차량이 약 85억 원어치에 이르는데요.
주로 서부 아프리카 지역으로, 실제 가치보다 30% 더 비싸게 팔아 넘겨왔습니다.
더 큰 문제는 이들이 목적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인터뷰> 릭 푸엔테스(미국 뉴저지 경찰서장) : "제조업체가 차량 도난을 방지하도록 제작하는 것은 잘하는 일이지만, 그러다보니 열쇠가 꼭 필요합니다."
차량 탈취범들이 차 열쇠를 빼앗기 위해 시민을 위협하고 살인과 폭력도 서슴지 않고 있습니다.
KBS 월드뉴스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930뉴스 전체보기
- 기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