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자폐아, 30% 증가"…조기 치료 중요
입력 2014.03.28 (07:39)
수정 2014.03.28 (08: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미국내 자폐 아동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2년 전과 비교하면 30%가 증가했는데 치료를 위해선 무엇보다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워싱턴 이주한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자신의 방에서 혼자 전자오락을 즐기는 올해 12살의 샘 웨슬스..
만 2살 때부터 말을 안하는 등 자폐증을 앓아왔습니다.
지난 십년간 본인과 가족들의 끈질긴 노력 끝에 샘은 이제 다시 말을 하기 시작했고, 정상적인 생활도 가능해졌습니다.
<인터뷰> 샘 웨슬스 : "자폐증이 있으면 보통 말을 못합니다. 저처럼 말을 하는 경우가 극히 드문만큼 말을 전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제가 목소리를 높이고 적극 나설 거에요"
샘 처럼 8살 이상 미국 어린이 가운데 68명 중 1명 꼴로 자폐증을 앓고 있다고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가 밝혔습니다.
2년 전의 88명 중 1명 꼴과 비교하면 30%가 늘어난 겁니다.
성별로는 남자 어린이가 41명 중 1명, 여자 어린이는 189명 중 1명 꼴로, 남자 어린이가 여자 어린이보다 4.5배 많았습니다.
자폐아동의 지역별 분포 편차도 컸습니다.
조사 대상 11개 주 가운데 앨라배마 주는 175명 중 1명 꼴인 반면 대도시인 뉴욕 주변 뉴저지주는 45명 당 1명으로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지능지수는 자폐 아동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또래 비 자폐아동들보다 월등히 높았습니다.
자폐증세는 보통 2살 때부터 나타나는 만큼 부모들의 세심한 주의와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충고합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주한입니다.
미국내 자폐 아동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2년 전과 비교하면 30%가 증가했는데 치료를 위해선 무엇보다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워싱턴 이주한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자신의 방에서 혼자 전자오락을 즐기는 올해 12살의 샘 웨슬스..
만 2살 때부터 말을 안하는 등 자폐증을 앓아왔습니다.
지난 십년간 본인과 가족들의 끈질긴 노력 끝에 샘은 이제 다시 말을 하기 시작했고, 정상적인 생활도 가능해졌습니다.
<인터뷰> 샘 웨슬스 : "자폐증이 있으면 보통 말을 못합니다. 저처럼 말을 하는 경우가 극히 드문만큼 말을 전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제가 목소리를 높이고 적극 나설 거에요"
샘 처럼 8살 이상 미국 어린이 가운데 68명 중 1명 꼴로 자폐증을 앓고 있다고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가 밝혔습니다.
2년 전의 88명 중 1명 꼴과 비교하면 30%가 늘어난 겁니다.
성별로는 남자 어린이가 41명 중 1명, 여자 어린이는 189명 중 1명 꼴로, 남자 어린이가 여자 어린이보다 4.5배 많았습니다.
자폐아동의 지역별 분포 편차도 컸습니다.
조사 대상 11개 주 가운데 앨라배마 주는 175명 중 1명 꼴인 반면 대도시인 뉴욕 주변 뉴저지주는 45명 당 1명으로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지능지수는 자폐 아동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또래 비 자폐아동들보다 월등히 높았습니다.
자폐증세는 보통 2살 때부터 나타나는 만큼 부모들의 세심한 주의와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충고합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주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 자폐아, 30% 증가"…조기 치료 중요
-
- 입력 2014-03-28 07:45:08
- 수정2014-03-28 08:15:16
![](/data/news/2014/03/28/2834437_260.jpg)
<앵커 멘트>
미국내 자폐 아동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2년 전과 비교하면 30%가 증가했는데 치료를 위해선 무엇보다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워싱턴 이주한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자신의 방에서 혼자 전자오락을 즐기는 올해 12살의 샘 웨슬스..
만 2살 때부터 말을 안하는 등 자폐증을 앓아왔습니다.
지난 십년간 본인과 가족들의 끈질긴 노력 끝에 샘은 이제 다시 말을 하기 시작했고, 정상적인 생활도 가능해졌습니다.
<인터뷰> 샘 웨슬스 : "자폐증이 있으면 보통 말을 못합니다. 저처럼 말을 하는 경우가 극히 드문만큼 말을 전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제가 목소리를 높이고 적극 나설 거에요"
샘 처럼 8살 이상 미국 어린이 가운데 68명 중 1명 꼴로 자폐증을 앓고 있다고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가 밝혔습니다.
2년 전의 88명 중 1명 꼴과 비교하면 30%가 늘어난 겁니다.
성별로는 남자 어린이가 41명 중 1명, 여자 어린이는 189명 중 1명 꼴로, 남자 어린이가 여자 어린이보다 4.5배 많았습니다.
자폐아동의 지역별 분포 편차도 컸습니다.
조사 대상 11개 주 가운데 앨라배마 주는 175명 중 1명 꼴인 반면 대도시인 뉴욕 주변 뉴저지주는 45명 당 1명으로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지능지수는 자폐 아동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또래 비 자폐아동들보다 월등히 높았습니다.
자폐증세는 보통 2살 때부터 나타나는 만큼 부모들의 세심한 주의와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충고합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주한입니다.
미국내 자폐 아동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2년 전과 비교하면 30%가 증가했는데 치료를 위해선 무엇보다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워싱턴 이주한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자신의 방에서 혼자 전자오락을 즐기는 올해 12살의 샘 웨슬스..
만 2살 때부터 말을 안하는 등 자폐증을 앓아왔습니다.
지난 십년간 본인과 가족들의 끈질긴 노력 끝에 샘은 이제 다시 말을 하기 시작했고, 정상적인 생활도 가능해졌습니다.
<인터뷰> 샘 웨슬스 : "자폐증이 있으면 보통 말을 못합니다. 저처럼 말을 하는 경우가 극히 드문만큼 말을 전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제가 목소리를 높이고 적극 나설 거에요"
샘 처럼 8살 이상 미국 어린이 가운데 68명 중 1명 꼴로 자폐증을 앓고 있다고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가 밝혔습니다.
2년 전의 88명 중 1명 꼴과 비교하면 30%가 늘어난 겁니다.
성별로는 남자 어린이가 41명 중 1명, 여자 어린이는 189명 중 1명 꼴로, 남자 어린이가 여자 어린이보다 4.5배 많았습니다.
자폐아동의 지역별 분포 편차도 컸습니다.
조사 대상 11개 주 가운데 앨라배마 주는 175명 중 1명 꼴인 반면 대도시인 뉴욕 주변 뉴저지주는 45명 당 1명으로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지능지수는 자폐 아동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또래 비 자폐아동들보다 월등히 높았습니다.
자폐증세는 보통 2살 때부터 나타나는 만큼 부모들의 세심한 주의와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충고합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주한입니다.
-
-
이주한 기자 juhan@kbs.co.kr
이주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