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LA타임스 “MLB 심판, 볼 판정 14% 오류”
입력 2014.04.01 (13:33) 수정 2014.04.01 (13:35) 연합뉴스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 심판들이 볼 판정을 할 때 14%가량 오류가 나오는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 일간지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1일(한국시간) 학술지 '매니지먼트 사이언스'에 실릴 예정인 메이저리그 구심의 오심에 대한 기사를 인터넷판에 보도했다.
브레이든 킹과 제리 김 등 두 명의 연구원은 고속카메라로 촬영한 피치 로케이션 자료를 활용, 2008시즌과 2009시즌 동안 메이저리그 투수들이 던진 70만 개 이상의 공을 분석했다.
조사 결과 메이저리그 심판들은 약 14% 잘못된 판정을 내리는 것으로 드러났다.
예컨대 심판들은 승부가 걸린 중요한 상황에서도 심심치 않게 오심을 저질렀다.
1회초와 동점 상황인 9회말 초구 판정을 비교했을 때, 모두 실제로 스트라이크였음에도 구심들은 9회말에 13%나 더 많이 오심을 저질렀다.
구심들은 또 타석을 바로 끝낼 수 있는 볼 카운트 상황에서 더 많은 오심을 저질렀다.
초구에는 14.7% 정도 잘못된 스트라이크를 외쳤다.
하지만 3볼 노 스트라이크에서 심판들은 실제 볼인 공을 18.6% 정도 스트라이크로 잘못 불렀다. 노볼 2스트라이크에서는 스트라이크 판정이 7.3%가량 줄어 볼넷이나 삼진을 피하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심판들은 투수들의 명성에 기대기도 한다.
똑같이 스트라이크존 바깥으로 공이 들어왔을 때도 올스타 출신인 투수들에게 16%가량 더 많이 스트라이크를 불러줬다.
이 밖에도 구심들은 원정팀 투수들(12.7%)보다 홈팀 투수(13.3%)들에게 스트라이크존을 조금 더 넉넉하게 적용하는 경향이 있다.
투수의 인종에도 영향을 받아 흑인보다 백인에게 약 10% 스트라이크를 후하게 잡아줬다.
미국 일간지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1일(한국시간) 학술지 '매니지먼트 사이언스'에 실릴 예정인 메이저리그 구심의 오심에 대한 기사를 인터넷판에 보도했다.
브레이든 킹과 제리 김 등 두 명의 연구원은 고속카메라로 촬영한 피치 로케이션 자료를 활용, 2008시즌과 2009시즌 동안 메이저리그 투수들이 던진 70만 개 이상의 공을 분석했다.
조사 결과 메이저리그 심판들은 약 14% 잘못된 판정을 내리는 것으로 드러났다.
예컨대 심판들은 승부가 걸린 중요한 상황에서도 심심치 않게 오심을 저질렀다.
1회초와 동점 상황인 9회말 초구 판정을 비교했을 때, 모두 실제로 스트라이크였음에도 구심들은 9회말에 13%나 더 많이 오심을 저질렀다.
구심들은 또 타석을 바로 끝낼 수 있는 볼 카운트 상황에서 더 많은 오심을 저질렀다.
초구에는 14.7% 정도 잘못된 스트라이크를 외쳤다.
하지만 3볼 노 스트라이크에서 심판들은 실제 볼인 공을 18.6% 정도 스트라이크로 잘못 불렀다. 노볼 2스트라이크에서는 스트라이크 판정이 7.3%가량 줄어 볼넷이나 삼진을 피하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심판들은 투수들의 명성에 기대기도 한다.
똑같이 스트라이크존 바깥으로 공이 들어왔을 때도 올스타 출신인 투수들에게 16%가량 더 많이 스트라이크를 불러줬다.
이 밖에도 구심들은 원정팀 투수들(12.7%)보다 홈팀 투수(13.3%)들에게 스트라이크존을 조금 더 넉넉하게 적용하는 경향이 있다.
투수의 인종에도 영향을 받아 흑인보다 백인에게 약 10% 스트라이크를 후하게 잡아줬다.
- LA타임스 “MLB 심판, 볼 판정 14% 오류”
-
- 입력 2014-04-01 13:33:14
- 수정2014-04-01 13:35:13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 심판들이 볼 판정을 할 때 14%가량 오류가 나오는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 일간지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1일(한국시간) 학술지 '매니지먼트 사이언스'에 실릴 예정인 메이저리그 구심의 오심에 대한 기사를 인터넷판에 보도했다.
브레이든 킹과 제리 김 등 두 명의 연구원은 고속카메라로 촬영한 피치 로케이션 자료를 활용, 2008시즌과 2009시즌 동안 메이저리그 투수들이 던진 70만 개 이상의 공을 분석했다.
조사 결과 메이저리그 심판들은 약 14% 잘못된 판정을 내리는 것으로 드러났다.
예컨대 심판들은 승부가 걸린 중요한 상황에서도 심심치 않게 오심을 저질렀다.
1회초와 동점 상황인 9회말 초구 판정을 비교했을 때, 모두 실제로 스트라이크였음에도 구심들은 9회말에 13%나 더 많이 오심을 저질렀다.
구심들은 또 타석을 바로 끝낼 수 있는 볼 카운트 상황에서 더 많은 오심을 저질렀다.
초구에는 14.7% 정도 잘못된 스트라이크를 외쳤다.
하지만 3볼 노 스트라이크에서 심판들은 실제 볼인 공을 18.6% 정도 스트라이크로 잘못 불렀다. 노볼 2스트라이크에서는 스트라이크 판정이 7.3%가량 줄어 볼넷이나 삼진을 피하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심판들은 투수들의 명성에 기대기도 한다.
똑같이 스트라이크존 바깥으로 공이 들어왔을 때도 올스타 출신인 투수들에게 16%가량 더 많이 스트라이크를 불러줬다.
이 밖에도 구심들은 원정팀 투수들(12.7%)보다 홈팀 투수(13.3%)들에게 스트라이크존을 조금 더 넉넉하게 적용하는 경향이 있다.
투수의 인종에도 영향을 받아 흑인보다 백인에게 약 10% 스트라이크를 후하게 잡아줬다.
미국 일간지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1일(한국시간) 학술지 '매니지먼트 사이언스'에 실릴 예정인 메이저리그 구심의 오심에 대한 기사를 인터넷판에 보도했다.
브레이든 킹과 제리 김 등 두 명의 연구원은 고속카메라로 촬영한 피치 로케이션 자료를 활용, 2008시즌과 2009시즌 동안 메이저리그 투수들이 던진 70만 개 이상의 공을 분석했다.
조사 결과 메이저리그 심판들은 약 14% 잘못된 판정을 내리는 것으로 드러났다.
예컨대 심판들은 승부가 걸린 중요한 상황에서도 심심치 않게 오심을 저질렀다.
1회초와 동점 상황인 9회말 초구 판정을 비교했을 때, 모두 실제로 스트라이크였음에도 구심들은 9회말에 13%나 더 많이 오심을 저질렀다.
구심들은 또 타석을 바로 끝낼 수 있는 볼 카운트 상황에서 더 많은 오심을 저질렀다.
초구에는 14.7% 정도 잘못된 스트라이크를 외쳤다.
하지만 3볼 노 스트라이크에서 심판들은 실제 볼인 공을 18.6% 정도 스트라이크로 잘못 불렀다. 노볼 2스트라이크에서는 스트라이크 판정이 7.3%가량 줄어 볼넷이나 삼진을 피하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심판들은 투수들의 명성에 기대기도 한다.
똑같이 스트라이크존 바깥으로 공이 들어왔을 때도 올스타 출신인 투수들에게 16%가량 더 많이 스트라이크를 불러줬다.
이 밖에도 구심들은 원정팀 투수들(12.7%)보다 홈팀 투수(13.3%)들에게 스트라이크존을 조금 더 넉넉하게 적용하는 경향이 있다.
투수의 인종에도 영향을 받아 흑인보다 백인에게 약 10% 스트라이크를 후하게 잡아줬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자 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