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 환자 격리 치료 의무화…생활비도 일부 지원
입력 2014.04.11 (19:21)
수정 2014.04.11 (19: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결핵 환자가 입원 치료를 거부하는 경우 격리 치료를 받도록 의무화하는 제도가 오는 7월 말부터 실시됩니다.
정부는 격리 치료 명령을 받은 결핵 환자에게 생활비를 일부 지원하는 방안도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이재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가래가 끓고 가슴이 아프면서 발열 증상이 나타나 병원을 찾은 70대 환잡니다.
<인터뷰> 박세원(결핵 환자) : "가슴이 답답한게 으슬으슬 춥고, 가슴이 조이고 벌벌벌벌 떨리고... "
정밀 검사 결과 결핵 진단이 내려져 격리 병실에서 치료 중입니다.
결핵 환자를 돌볼 땐 의료진도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입니다.
<인터뷰> 황다솜(간호사) : "공기로 전파되는 질환이기 때문에 저희가 항상 마스크를 껴야 되고 손소독도 주의해야 되고..."
결핵이 완치되려면 반드시 6개월 이상 약을 장기 복용해야 합니다.
<인터뷰> 김우주(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 : "약을 한두 달 먹고 끊게 되면 완치도 안되고 다시 재발되고 내성결핵균이 출현하게 됩니다."
우리나라는 인구 10만명 당 결핵 발생자 수가 87명.
OECD 평균 17.7명을 훨씬 웃도는 결핵 불명예 국가입니다.
정부는 결핵 발병률을 낮추기 위해 오는 7월 말부터 입원 치료를 거부하는 결핵 환자에게 치료를 의무화하는 격리치료 명령제를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이재용 (보건복지부 질병정책과장) : "일정 기간 생계 곤란 등 어려움 없이 치료를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생활비를 지원하게 됩니다."
당장 증상이 없는 잠복 결핵 감염자도 치료가 끝날 때까지 약값 등을 지원받을 수 있게 됩니다.
KBS 뉴스 이재원입니다.
결핵 환자가 입원 치료를 거부하는 경우 격리 치료를 받도록 의무화하는 제도가 오는 7월 말부터 실시됩니다.
정부는 격리 치료 명령을 받은 결핵 환자에게 생활비를 일부 지원하는 방안도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이재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가래가 끓고 가슴이 아프면서 발열 증상이 나타나 병원을 찾은 70대 환잡니다.
<인터뷰> 박세원(결핵 환자) : "가슴이 답답한게 으슬으슬 춥고, 가슴이 조이고 벌벌벌벌 떨리고... "
정밀 검사 결과 결핵 진단이 내려져 격리 병실에서 치료 중입니다.
결핵 환자를 돌볼 땐 의료진도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입니다.
<인터뷰> 황다솜(간호사) : "공기로 전파되는 질환이기 때문에 저희가 항상 마스크를 껴야 되고 손소독도 주의해야 되고..."
결핵이 완치되려면 반드시 6개월 이상 약을 장기 복용해야 합니다.
<인터뷰> 김우주(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 : "약을 한두 달 먹고 끊게 되면 완치도 안되고 다시 재발되고 내성결핵균이 출현하게 됩니다."
우리나라는 인구 10만명 당 결핵 발생자 수가 87명.
OECD 평균 17.7명을 훨씬 웃도는 결핵 불명예 국가입니다.
정부는 결핵 발병률을 낮추기 위해 오는 7월 말부터 입원 치료를 거부하는 결핵 환자에게 치료를 의무화하는 격리치료 명령제를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이재용 (보건복지부 질병정책과장) : "일정 기간 생계 곤란 등 어려움 없이 치료를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생활비를 지원하게 됩니다."
당장 증상이 없는 잠복 결핵 감염자도 치료가 끝날 때까지 약값 등을 지원받을 수 있게 됩니다.
KBS 뉴스 이재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결핵 환자 격리 치료 의무화…생활비도 일부 지원
-
- 입력 2014-04-11 19:34:39
- 수정2014-04-11 19:41:02

<앵커 멘트>
결핵 환자가 입원 치료를 거부하는 경우 격리 치료를 받도록 의무화하는 제도가 오는 7월 말부터 실시됩니다.
정부는 격리 치료 명령을 받은 결핵 환자에게 생활비를 일부 지원하는 방안도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이재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가래가 끓고 가슴이 아프면서 발열 증상이 나타나 병원을 찾은 70대 환잡니다.
<인터뷰> 박세원(결핵 환자) : "가슴이 답답한게 으슬으슬 춥고, 가슴이 조이고 벌벌벌벌 떨리고... "
정밀 검사 결과 결핵 진단이 내려져 격리 병실에서 치료 중입니다.
결핵 환자를 돌볼 땐 의료진도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입니다.
<인터뷰> 황다솜(간호사) : "공기로 전파되는 질환이기 때문에 저희가 항상 마스크를 껴야 되고 손소독도 주의해야 되고..."
결핵이 완치되려면 반드시 6개월 이상 약을 장기 복용해야 합니다.
<인터뷰> 김우주(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 : "약을 한두 달 먹고 끊게 되면 완치도 안되고 다시 재발되고 내성결핵균이 출현하게 됩니다."
우리나라는 인구 10만명 당 결핵 발생자 수가 87명.
OECD 평균 17.7명을 훨씬 웃도는 결핵 불명예 국가입니다.
정부는 결핵 발병률을 낮추기 위해 오는 7월 말부터 입원 치료를 거부하는 결핵 환자에게 치료를 의무화하는 격리치료 명령제를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이재용 (보건복지부 질병정책과장) : "일정 기간 생계 곤란 등 어려움 없이 치료를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생활비를 지원하게 됩니다."
당장 증상이 없는 잠복 결핵 감염자도 치료가 끝날 때까지 약값 등을 지원받을 수 있게 됩니다.
KBS 뉴스 이재원입니다.
결핵 환자가 입원 치료를 거부하는 경우 격리 치료를 받도록 의무화하는 제도가 오는 7월 말부터 실시됩니다.
정부는 격리 치료 명령을 받은 결핵 환자에게 생활비를 일부 지원하는 방안도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이재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가래가 끓고 가슴이 아프면서 발열 증상이 나타나 병원을 찾은 70대 환잡니다.
<인터뷰> 박세원(결핵 환자) : "가슴이 답답한게 으슬으슬 춥고, 가슴이 조이고 벌벌벌벌 떨리고... "
정밀 검사 결과 결핵 진단이 내려져 격리 병실에서 치료 중입니다.
결핵 환자를 돌볼 땐 의료진도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입니다.
<인터뷰> 황다솜(간호사) : "공기로 전파되는 질환이기 때문에 저희가 항상 마스크를 껴야 되고 손소독도 주의해야 되고..."
결핵이 완치되려면 반드시 6개월 이상 약을 장기 복용해야 합니다.
<인터뷰> 김우주(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 : "약을 한두 달 먹고 끊게 되면 완치도 안되고 다시 재발되고 내성결핵균이 출현하게 됩니다."
우리나라는 인구 10만명 당 결핵 발생자 수가 87명.
OECD 평균 17.7명을 훨씬 웃도는 결핵 불명예 국가입니다.
정부는 결핵 발병률을 낮추기 위해 오는 7월 말부터 입원 치료를 거부하는 결핵 환자에게 치료를 의무화하는 격리치료 명령제를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이재용 (보건복지부 질병정책과장) : "일정 기간 생계 곤란 등 어려움 없이 치료를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생활비를 지원하게 됩니다."
당장 증상이 없는 잠복 결핵 감염자도 치료가 끝날 때까지 약값 등을 지원받을 수 있게 됩니다.
KBS 뉴스 이재원입니다.
-
-
이재원 기자 ljw@kbs.co.kr
이재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