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선체내 ‘공기 주입’ 성공…효과는?
입력 2014.04.18 (22:31)
수정 2014.04.18 (22: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사고 발생 50시간이 지나서 세월호 선체 안에 공기를 주입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실종자들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고, 배를 띄우기 위한 건데, 이 시간에도 공기는 계속 들어가고 있습니다.
변진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침몰한 세월호에 공기를 주입하는 작업은 오전 10시부터 시도됐습니다.
몇 차례의 악전고투 끝에 잠수부들이 마침내 오전 11시 19분, 선체 안으로 공기를 집어넣는 데 성공했습니다.
사고가 일어난지 50여 시간 만입니다.
잠수부들은 3층 레크리에이션룸에 바지선의 공기 주입기와 연결된 지름 19mm 짜리 호스를 밀어넣었습니다.
이후 지금까지 공기는 계속 주입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고명석(해경 장비기술국장 ) : "잠수부가 들어가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구멍을 찾는 거죠. 찾아서 위에서 공기를 주입해주면 선내에 공기주입할 수 있는 공간을 통해서..."
구조당국은 실종자들에게 산소를 공급해 생존 가능성을 높이고, 선체를 일부 들어올리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공기를 주입하기 시작한지 2시간 쯤 뒤인 오후 1시쯤 안타깝게도 세월호는 더 가라앉아 선수가 물 아래로 사라졌습니다.
전문가들은 선체내 공기 주입도 효과가 있겠지만, 생존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에어 포켓을 찾아 직접 공기를 넣어 주는게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KBS 뉴스 변진석입니다.
사고 발생 50시간이 지나서 세월호 선체 안에 공기를 주입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실종자들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고, 배를 띄우기 위한 건데, 이 시간에도 공기는 계속 들어가고 있습니다.
변진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침몰한 세월호에 공기를 주입하는 작업은 오전 10시부터 시도됐습니다.
몇 차례의 악전고투 끝에 잠수부들이 마침내 오전 11시 19분, 선체 안으로 공기를 집어넣는 데 성공했습니다.
사고가 일어난지 50여 시간 만입니다.
잠수부들은 3층 레크리에이션룸에 바지선의 공기 주입기와 연결된 지름 19mm 짜리 호스를 밀어넣었습니다.
이후 지금까지 공기는 계속 주입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고명석(해경 장비기술국장 ) : "잠수부가 들어가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구멍을 찾는 거죠. 찾아서 위에서 공기를 주입해주면 선내에 공기주입할 수 있는 공간을 통해서..."
구조당국은 실종자들에게 산소를 공급해 생존 가능성을 높이고, 선체를 일부 들어올리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공기를 주입하기 시작한지 2시간 쯤 뒤인 오후 1시쯤 안타깝게도 세월호는 더 가라앉아 선수가 물 아래로 사라졌습니다.
전문가들은 선체내 공기 주입도 효과가 있겠지만, 생존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에어 포켓을 찾아 직접 공기를 넣어 주는게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KBS 뉴스 변진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세월호 선체내 ‘공기 주입’ 성공…효과는?
-
- 입력 2014-04-18 22:35:34
- 수정2014-04-18 22:59:55
<앵커 멘트>
사고 발생 50시간이 지나서 세월호 선체 안에 공기를 주입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실종자들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고, 배를 띄우기 위한 건데, 이 시간에도 공기는 계속 들어가고 있습니다.
변진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침몰한 세월호에 공기를 주입하는 작업은 오전 10시부터 시도됐습니다.
몇 차례의 악전고투 끝에 잠수부들이 마침내 오전 11시 19분, 선체 안으로 공기를 집어넣는 데 성공했습니다.
사고가 일어난지 50여 시간 만입니다.
잠수부들은 3층 레크리에이션룸에 바지선의 공기 주입기와 연결된 지름 19mm 짜리 호스를 밀어넣었습니다.
이후 지금까지 공기는 계속 주입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고명석(해경 장비기술국장 ) : "잠수부가 들어가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구멍을 찾는 거죠. 찾아서 위에서 공기를 주입해주면 선내에 공기주입할 수 있는 공간을 통해서..."
구조당국은 실종자들에게 산소를 공급해 생존 가능성을 높이고, 선체를 일부 들어올리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공기를 주입하기 시작한지 2시간 쯤 뒤인 오후 1시쯤 안타깝게도 세월호는 더 가라앉아 선수가 물 아래로 사라졌습니다.
전문가들은 선체내 공기 주입도 효과가 있겠지만, 생존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에어 포켓을 찾아 직접 공기를 넣어 주는게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KBS 뉴스 변진석입니다.
사고 발생 50시간이 지나서 세월호 선체 안에 공기를 주입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실종자들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고, 배를 띄우기 위한 건데, 이 시간에도 공기는 계속 들어가고 있습니다.
변진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침몰한 세월호에 공기를 주입하는 작업은 오전 10시부터 시도됐습니다.
몇 차례의 악전고투 끝에 잠수부들이 마침내 오전 11시 19분, 선체 안으로 공기를 집어넣는 데 성공했습니다.
사고가 일어난지 50여 시간 만입니다.
잠수부들은 3층 레크리에이션룸에 바지선의 공기 주입기와 연결된 지름 19mm 짜리 호스를 밀어넣었습니다.
이후 지금까지 공기는 계속 주입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고명석(해경 장비기술국장 ) : "잠수부가 들어가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구멍을 찾는 거죠. 찾아서 위에서 공기를 주입해주면 선내에 공기주입할 수 있는 공간을 통해서..."
구조당국은 실종자들에게 산소를 공급해 생존 가능성을 높이고, 선체를 일부 들어올리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공기를 주입하기 시작한지 2시간 쯤 뒤인 오후 1시쯤 안타깝게도 세월호는 더 가라앉아 선수가 물 아래로 사라졌습니다.
전문가들은 선체내 공기 주입도 효과가 있겠지만, 생존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에어 포켓을 찾아 직접 공기를 넣어 주는게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KBS 뉴스 변진석입니다.
-
-
변진석 기자 brick@kbs.co.kr
변진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