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한국과 중국을 잇는 11곳의 카페리업체가운데 4곳의 대표는 해양수산부 간부 출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990년부터 한중간 첫 카페리를 운항한 위동항운의 최 모 대표는 전 국토해양부 2차관이며, 대인훼리의 이 모 대표는 전 해수부 기획관리실장입니다.
또, 한중훼리의 박 모 대표는 해수부 해운선원국장 출신이며, 대룡해운의 정 모 사장은 해수부 해운정책과장으로 재직했습니다.
한중 카페리 노선은 한국과 중국 양측이 50대 50 합작으로 선사를 운영하는 구조이며, 일부는 중국측과 공동대표체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1990년부터 한중간 첫 카페리를 운항한 위동항운의 최 모 대표는 전 국토해양부 2차관이며, 대인훼리의 이 모 대표는 전 해수부 기획관리실장입니다.
또, 한중훼리의 박 모 대표는 해수부 해운선원국장 출신이며, 대룡해운의 정 모 사장은 해수부 해운정책과장으로 재직했습니다.
한중 카페리 노선은 한국과 중국 양측이 50대 50 합작으로 선사를 운영하는 구조이며, 일부는 중국측과 공동대표체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한-중 카페리업체 사장 ⅓은 해수부 출신
-
- 입력 2014-04-23 16:11:02
- 수정2014-04-23 19:25:48
한국과 중국을 잇는 11곳의 카페리업체가운데 4곳의 대표는 해양수산부 간부 출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990년부터 한중간 첫 카페리를 운항한 위동항운의 최 모 대표는 전 국토해양부 2차관이며, 대인훼리의 이 모 대표는 전 해수부 기획관리실장입니다.
또, 한중훼리의 박 모 대표는 해수부 해운선원국장 출신이며, 대룡해운의 정 모 사장은 해수부 해운정책과장으로 재직했습니다.
한중 카페리 노선은 한국과 중국 양측이 50대 50 합작으로 선사를 운영하는 구조이며, 일부는 중국측과 공동대표체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1990년부터 한중간 첫 카페리를 운항한 위동항운의 최 모 대표는 전 국토해양부 2차관이며, 대인훼리의 이 모 대표는 전 해수부 기획관리실장입니다.
또, 한중훼리의 박 모 대표는 해수부 해운선원국장 출신이며, 대룡해운의 정 모 사장은 해수부 해운정책과장으로 재직했습니다.
한중 카페리 노선은 한국과 중국 양측이 50대 50 합작으로 선사를 운영하는 구조이며, 일부는 중국측과 공동대표체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기자 정보
-
-
황동진 기자 ace@kbs.co.kr
황동진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