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시대에 ‘어르신 노조’ 등장
입력 2014.05.14 (07:41)
수정 2014.05.14 (08: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일찍 퇴직했지만 노후 준비를 하지 못해 늦은 나이까지 일을 계속해야 하는 노인들이 많은데요.
낮은 임금과 불안한 고용 등에 시달리는 노인들이 손잡고 '어르신 노조'를 만들었습니다.
이랑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구청에서 퇴직한 이 할아버지는 올해 3년째 경비원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일자리를 찾는 것도 쉽지 않았지만 일을 하는 지금도 걱정이 많습니다.
<녹취> 건물 경비원(만 67살) : "아직까지 최저임금제 혜택을 못 보고 있거든요.또 재계약이 될지 안될지 그것이 두렵기 때문에."
평균 53살에 퇴직을 하지만 실제 일을 그만두는 나이는 70살.
정년한 뒤에도 생계를 위해서 17년 이상은 일하고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임시직이 대다수인 노인들은 고용불안과 낮은 임금, 장시간 근로에 시달리는 경우가 대다숩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50살 이상 노인들이 노조를 만들었습니다.
<인터뷰> 박헌수(한국노총 전국시니어노조 위원장) : "같이 정보도 교환하고, 같이 제2의 인생을 살아갈 수 있는 길을 찾아보자는 의미로 시니어 노동조합을 만들게 된 겁니다."
교섭권을 갖는 합법 단체라는 점에서 노년층 권익에 실제 도움이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런 점이 알려지면서 또 다른 시니어 노조는 설립 1년만에 조합원이 500여 명으로 늘었습니다.
<인터뷰>고현종(노년유니온 사무처장) : "일자리의 문제, 의료 보장에 대한 문제, 이런 것들을 적극적으로 제기하고 협상할 수 있고, 이런 것들이 좀 사회에 좀 신선하게 던져지지 않았나."
베이비부머가 은퇴 대열에 동참하면서 고령 인구가 급증하는 가운데, 이들 '노인 노조'가 일하는 노인들의 노동권과 권익을 지키는데 어떤 역할을 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이랑입니다.
일찍 퇴직했지만 노후 준비를 하지 못해 늦은 나이까지 일을 계속해야 하는 노인들이 많은데요.
낮은 임금과 불안한 고용 등에 시달리는 노인들이 손잡고 '어르신 노조'를 만들었습니다.
이랑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구청에서 퇴직한 이 할아버지는 올해 3년째 경비원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일자리를 찾는 것도 쉽지 않았지만 일을 하는 지금도 걱정이 많습니다.
<녹취> 건물 경비원(만 67살) : "아직까지 최저임금제 혜택을 못 보고 있거든요.또 재계약이 될지 안될지 그것이 두렵기 때문에."
평균 53살에 퇴직을 하지만 실제 일을 그만두는 나이는 70살.
정년한 뒤에도 생계를 위해서 17년 이상은 일하고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임시직이 대다수인 노인들은 고용불안과 낮은 임금, 장시간 근로에 시달리는 경우가 대다숩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50살 이상 노인들이 노조를 만들었습니다.
<인터뷰> 박헌수(한국노총 전국시니어노조 위원장) : "같이 정보도 교환하고, 같이 제2의 인생을 살아갈 수 있는 길을 찾아보자는 의미로 시니어 노동조합을 만들게 된 겁니다."
교섭권을 갖는 합법 단체라는 점에서 노년층 권익에 실제 도움이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런 점이 알려지면서 또 다른 시니어 노조는 설립 1년만에 조합원이 500여 명으로 늘었습니다.
<인터뷰>고현종(노년유니온 사무처장) : "일자리의 문제, 의료 보장에 대한 문제, 이런 것들을 적극적으로 제기하고 협상할 수 있고, 이런 것들이 좀 사회에 좀 신선하게 던져지지 않았나."
베이비부머가 은퇴 대열에 동참하면서 고령 인구가 급증하는 가운데, 이들 '노인 노조'가 일하는 노인들의 노동권과 권익을 지키는데 어떤 역할을 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이랑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고령화 시대에 ‘어르신 노조’ 등장
-
- 입력 2014-05-14 07:44:05
- 수정2014-05-14 08:04:41

<앵커 멘트>
일찍 퇴직했지만 노후 준비를 하지 못해 늦은 나이까지 일을 계속해야 하는 노인들이 많은데요.
낮은 임금과 불안한 고용 등에 시달리는 노인들이 손잡고 '어르신 노조'를 만들었습니다.
이랑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구청에서 퇴직한 이 할아버지는 올해 3년째 경비원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일자리를 찾는 것도 쉽지 않았지만 일을 하는 지금도 걱정이 많습니다.
<녹취> 건물 경비원(만 67살) : "아직까지 최저임금제 혜택을 못 보고 있거든요.또 재계약이 될지 안될지 그것이 두렵기 때문에."
평균 53살에 퇴직을 하지만 실제 일을 그만두는 나이는 70살.
정년한 뒤에도 생계를 위해서 17년 이상은 일하고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임시직이 대다수인 노인들은 고용불안과 낮은 임금, 장시간 근로에 시달리는 경우가 대다숩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50살 이상 노인들이 노조를 만들었습니다.
<인터뷰> 박헌수(한국노총 전국시니어노조 위원장) : "같이 정보도 교환하고, 같이 제2의 인생을 살아갈 수 있는 길을 찾아보자는 의미로 시니어 노동조합을 만들게 된 겁니다."
교섭권을 갖는 합법 단체라는 점에서 노년층 권익에 실제 도움이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런 점이 알려지면서 또 다른 시니어 노조는 설립 1년만에 조합원이 500여 명으로 늘었습니다.
<인터뷰>고현종(노년유니온 사무처장) : "일자리의 문제, 의료 보장에 대한 문제, 이런 것들을 적극적으로 제기하고 협상할 수 있고, 이런 것들이 좀 사회에 좀 신선하게 던져지지 않았나."
베이비부머가 은퇴 대열에 동참하면서 고령 인구가 급증하는 가운데, 이들 '노인 노조'가 일하는 노인들의 노동권과 권익을 지키는데 어떤 역할을 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이랑입니다.
일찍 퇴직했지만 노후 준비를 하지 못해 늦은 나이까지 일을 계속해야 하는 노인들이 많은데요.
낮은 임금과 불안한 고용 등에 시달리는 노인들이 손잡고 '어르신 노조'를 만들었습니다.
이랑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구청에서 퇴직한 이 할아버지는 올해 3년째 경비원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일자리를 찾는 것도 쉽지 않았지만 일을 하는 지금도 걱정이 많습니다.
<녹취> 건물 경비원(만 67살) : "아직까지 최저임금제 혜택을 못 보고 있거든요.또 재계약이 될지 안될지 그것이 두렵기 때문에."
평균 53살에 퇴직을 하지만 실제 일을 그만두는 나이는 70살.
정년한 뒤에도 생계를 위해서 17년 이상은 일하고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임시직이 대다수인 노인들은 고용불안과 낮은 임금, 장시간 근로에 시달리는 경우가 대다숩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50살 이상 노인들이 노조를 만들었습니다.
<인터뷰> 박헌수(한국노총 전국시니어노조 위원장) : "같이 정보도 교환하고, 같이 제2의 인생을 살아갈 수 있는 길을 찾아보자는 의미로 시니어 노동조합을 만들게 된 겁니다."
교섭권을 갖는 합법 단체라는 점에서 노년층 권익에 실제 도움이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런 점이 알려지면서 또 다른 시니어 노조는 설립 1년만에 조합원이 500여 명으로 늘었습니다.
<인터뷰>고현종(노년유니온 사무처장) : "일자리의 문제, 의료 보장에 대한 문제, 이런 것들을 적극적으로 제기하고 협상할 수 있고, 이런 것들이 좀 사회에 좀 신선하게 던져지지 않았나."
베이비부머가 은퇴 대열에 동참하면서 고령 인구가 급증하는 가운데, 이들 '노인 노조'가 일하는 노인들의 노동권과 권익을 지키는데 어떤 역할을 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이랑입니다.
-
-
이랑 기자 herb@kbs.co.kr
이랑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