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식품 좋아요”…해외 바이어 몰려온다

입력 2014.05.14 (19:23) 수정 2014.05.14 (22: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최근 한류 열풍에다 웰빙 추세까지 겹치면서, 우리 식품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부쩍 높아졌습니다.

'식품 한류'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보도에 김진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9초 만에 완성되는 즉석 떡국.

냄새의 거부감을 없앤 건조 김치.

물만 부으면 술이 되는 가루 막걸리.

전통의 맛은 기본에다 간편함까지 더했습니다.

외국인들의 반응은 어떨까?

<녹취> "음... 좋은데요."

한국 음식, 이른바 k-food(케이푸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국내 최대 규모의 식품산업 전시회인 서울 푸드에 40여개 나라 천여개 기업의 바이어들이 찾았습니다.

대표적 수출식품인 라면과 초코파이를 넘어 보다 다양한 한국 식품을 접하려는 겁니다.

<인터뷰> "전 홍콩에서 왔는데, 홍콩엔 한국 식품들이 많이 없습니다. 더 많은 한국 식품을 알리고 싶어서 여기에 왔습니다."

한국 식품에 대한 외국인들의 관심은 수출계약으로 이어졌습니다.

지난해, 베트남과 싱가포르 등 아시아 6개나라에 식품 수출은 13억 달러 어치로. 10년 전보다 8배나 늘었습니다.

<인터뷰> "삼계탕같은 경우도 보양식이면서도 웰빙같은 느낌이 있잖아요. 그래서 좋아하는 것 같다."

한류 열풍에다 웰빙 바람까지... 문화 한류를 넘어 식품 한류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진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국 식품 좋아요”…해외 바이어 몰려온다
    • 입력 2014-05-14 19:25:21
    • 수정2014-05-14 22:25:52
    뉴스 7
<앵커 멘트>

최근 한류 열풍에다 웰빙 추세까지 겹치면서, 우리 식품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부쩍 높아졌습니다.

'식품 한류'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보도에 김진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9초 만에 완성되는 즉석 떡국.

냄새의 거부감을 없앤 건조 김치.

물만 부으면 술이 되는 가루 막걸리.

전통의 맛은 기본에다 간편함까지 더했습니다.

외국인들의 반응은 어떨까?

<녹취> "음... 좋은데요."

한국 음식, 이른바 k-food(케이푸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국내 최대 규모의 식품산업 전시회인 서울 푸드에 40여개 나라 천여개 기업의 바이어들이 찾았습니다.

대표적 수출식품인 라면과 초코파이를 넘어 보다 다양한 한국 식품을 접하려는 겁니다.

<인터뷰> "전 홍콩에서 왔는데, 홍콩엔 한국 식품들이 많이 없습니다. 더 많은 한국 식품을 알리고 싶어서 여기에 왔습니다."

한국 식품에 대한 외국인들의 관심은 수출계약으로 이어졌습니다.

지난해, 베트남과 싱가포르 등 아시아 6개나라에 식품 수출은 13억 달러 어치로. 10년 전보다 8배나 늘었습니다.

<인터뷰> "삼계탕같은 경우도 보양식이면서도 웰빙같은 느낌이 있잖아요. 그래서 좋아하는 것 같다."

한류 열풍에다 웰빙 바람까지... 문화 한류를 넘어 식품 한류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진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