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도는 우유…분유 재고 11년 만에 최다

입력 2014.06.08 (06:35) 수정 2014.06.08 (15: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올해 따뜻한 날씨로 우유 생산이 증가하면서 유가공 업체의 분유 재고가 넘쳐나고 있다. 분유는 쓰고 남은 원유를 보관 목적으로 말린 것이다.

생산이 늘어도 원유가격 연동제로 원유 가격이 정해진 탓에 우윳값을 내리지 못하는 업체들은 잉여원유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8일 낙농진흥회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과 4월 전국 총 원유생산량은 각각 19만4천326t과 19만2천261t이었다.

지난해 3월의 18만2천950t과 4월의 18만2천249t보다 각각 6.2%, 5.5% 증가했다.

3월 생산량은 2008년 5월(19만3천186t) 이후 6년만에 최고 수준이었다.

유가공업체가 계약 농가에서 가져온 원유를 제품으로 만들고 남은 부분을 말려 보관하는 분유 재고량은 11년만에 최다를 기록했다.

4월 분유 재고(월말 분유재고를 원유로 환산한 양)는 18만5천856t으로 2003년 6월(17만9천506t)이후 가장 많았다. 작년 4월(12만928t)과 비교하면 53.7% 늘었다.

한 유가공업체 관계자는 "올들어 기온이 예년보다 높아 젖소 집유량이 많아진 데다가 최근 사료 값이 내린 영향이 맞물려 원유 생산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업체 입장에서는 농가가 생산하는 원유를 다 사들여야 해서 수요가 크게 늘지 않으면 원유 잉여량이 많아질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우유가 남아돌아도 업체들은 우윳값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도입한 원유가격 연동제로 원유 생산량 변동에 따른 가격 조정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원유가격 연동제는 원유 가격 협상 때마다 낙농가와 우유업계 간 갈등이 반복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우유생산비 증감분과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반영해 매년 8월 원유 가격을 정하는 제도다.

작년 8월 제도 도입과 함께 당시 ℓ당 834원이었던 원유 기본가격이 ℓ당 940원으로 12.7% 오르면서 우유 소매가격도 줄줄이 올라 소비자들의 불만도 거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흰 우유의 중국 수출 길도 일시적으로 막혔다. 지난달부터 중국 정부가 유제품 수출업체등록제를 시행하면서 수출업체 등록을 신청한 국내 우유업체 48곳 중 6곳이 등록보류 판정을 받았다.

이에 유가공업체들은 남아도는 원유를 어떻게 활용할지 대책 마련에 고심 중이다. 우유 수급 불균형이 심각해지면 최악에는 '원유 파동'에 이를 수도 있다는 위기의식도 커지고 있다.

또 오는 8월 원유 가격을 정할 때 사료 값 인하분 반영 여부 등 기준 설정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커피전문점, 제과업체 등으로의 납품량을 늘리는 등 B2B(기업 간 거래)를 활성화하고, 어느 때보다 대형마트에서 '1 1' 등 가격 할인 상품과 행사 비중을 크게 늘리면서 소비 촉진에도 힘을 쏟고 있다"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남아도는 우유…분유 재고 11년 만에 최다
    • 입력 2014-06-08 06:35:15
    • 수정2014-06-08 15:18:40
    연합뉴스
올해 따뜻한 날씨로 우유 생산이 증가하면서 유가공 업체의 분유 재고가 넘쳐나고 있다. 분유는 쓰고 남은 원유를 보관 목적으로 말린 것이다.

생산이 늘어도 원유가격 연동제로 원유 가격이 정해진 탓에 우윳값을 내리지 못하는 업체들은 잉여원유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8일 낙농진흥회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과 4월 전국 총 원유생산량은 각각 19만4천326t과 19만2천261t이었다.

지난해 3월의 18만2천950t과 4월의 18만2천249t보다 각각 6.2%, 5.5% 증가했다.

3월 생산량은 2008년 5월(19만3천186t) 이후 6년만에 최고 수준이었다.

유가공업체가 계약 농가에서 가져온 원유를 제품으로 만들고 남은 부분을 말려 보관하는 분유 재고량은 11년만에 최다를 기록했다.

4월 분유 재고(월말 분유재고를 원유로 환산한 양)는 18만5천856t으로 2003년 6월(17만9천506t)이후 가장 많았다. 작년 4월(12만928t)과 비교하면 53.7% 늘었다.

한 유가공업체 관계자는 "올들어 기온이 예년보다 높아 젖소 집유량이 많아진 데다가 최근 사료 값이 내린 영향이 맞물려 원유 생산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업체 입장에서는 농가가 생산하는 원유를 다 사들여야 해서 수요가 크게 늘지 않으면 원유 잉여량이 많아질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우유가 남아돌아도 업체들은 우윳값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도입한 원유가격 연동제로 원유 생산량 변동에 따른 가격 조정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원유가격 연동제는 원유 가격 협상 때마다 낙농가와 우유업계 간 갈등이 반복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우유생산비 증감분과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반영해 매년 8월 원유 가격을 정하는 제도다.

작년 8월 제도 도입과 함께 당시 ℓ당 834원이었던 원유 기본가격이 ℓ당 940원으로 12.7% 오르면서 우유 소매가격도 줄줄이 올라 소비자들의 불만도 거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흰 우유의 중국 수출 길도 일시적으로 막혔다. 지난달부터 중국 정부가 유제품 수출업체등록제를 시행하면서 수출업체 등록을 신청한 국내 우유업체 48곳 중 6곳이 등록보류 판정을 받았다.

이에 유가공업체들은 남아도는 원유를 어떻게 활용할지 대책 마련에 고심 중이다. 우유 수급 불균형이 심각해지면 최악에는 '원유 파동'에 이를 수도 있다는 위기의식도 커지고 있다.

또 오는 8월 원유 가격을 정할 때 사료 값 인하분 반영 여부 등 기준 설정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커피전문점, 제과업체 등으로의 납품량을 늘리는 등 B2B(기업 간 거래)를 활성화하고, 어느 때보다 대형마트에서 '1 1' 등 가격 할인 상품과 행사 비중을 크게 늘리면서 소비 촉진에도 힘을 쏟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