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파괴로 세계 언어 25% 소멸 위협”

입력 2014.06.08 (18:55) 수정 2014.06.08 (19: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환경 파괴는 인류의 언어 사용에도 영향을 미쳐 세계에 남아있는 7천개 언어 중 25%가 소멸위기를 맞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가디언의 일요판 옵서버는 영국 생태문화학자들의 최근 공동연구를 인용해 지구촌의 생태학적 다양성 파괴가 토착 주민의 고유언어 파괴로 이어지고 있다며 이같이 전했다.

이에 따르면 자연파괴와 토착언어 소멸 간에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1970년대 이후 생물학적 다양성 축소로 그동안 전 세계 언어 30%가 소멸된 것으로 조사됐다.

영국 생태문화학자인 조너선 로와 데이비드 하먼은 자연파괴는 토착 주민의 생활 터전 붕괴로 이어져 현재 남아있는 언어 7천개 중 1천700여개 이상이 추가로 사라질 위기에 몰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세계 7천 개 언어 중 90%는 언어인구가 10만명 미만이며, 절반은 사용자가 1만명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적으로 세계화와 자연환경 개발의 영향으로 사용인구가 많은 언어로의 쏠림현상이 심화해 400개 언어의 인구 점유율은 95%에 달했다.

중국어, 스페인어, 영어, 힌두어, 러시아어 등 사용인구가 많은 8개국어의 점유율은 40%나 됐다.

오세아니아 북서부에 있는 뉴기니는 자연환경 파괴에 따른 토착 언어 소멸 위협이 심각한 대표적인 지역으로 파악됐다.

세계에서 2번째로 큰 뉴기니 섬에서는 한 때 1천여개 토착언어가 번성했지만, 열대우림 개발에 따른 급속한 주거환경 파괴로 토착 언어의 절반 이상이 사라졌다.

현지 언어학자 아스야 페렐츠바이그는 열대우림 거주 지역이 사라지면서 뉴아일랜드주의 고유언어들은 사용인구가 수십명 미만인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전했다.

연구논문 저자인 로 연구원은 "진화의 산물인 생태환경 다양성과 언어가 자연파괴로 멸종 위기를 동시에 맞고 있다"며 "언어를 통해 전수돼 온 인류의 지식과 문화유산마저 사라지는 것은 안타까운 일"라고 밝혔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자연 파괴로 세계 언어 25% 소멸 위협”
    • 입력 2014-06-08 18:55:52
    • 수정2014-06-08 19:30:03
    연합뉴스
자연환경 파괴는 인류의 언어 사용에도 영향을 미쳐 세계에 남아있는 7천개 언어 중 25%가 소멸위기를 맞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가디언의 일요판 옵서버는 영국 생태문화학자들의 최근 공동연구를 인용해 지구촌의 생태학적 다양성 파괴가 토착 주민의 고유언어 파괴로 이어지고 있다며 이같이 전했다.

이에 따르면 자연파괴와 토착언어 소멸 간에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1970년대 이후 생물학적 다양성 축소로 그동안 전 세계 언어 30%가 소멸된 것으로 조사됐다.

영국 생태문화학자인 조너선 로와 데이비드 하먼은 자연파괴는 토착 주민의 생활 터전 붕괴로 이어져 현재 남아있는 언어 7천개 중 1천700여개 이상이 추가로 사라질 위기에 몰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세계 7천 개 언어 중 90%는 언어인구가 10만명 미만이며, 절반은 사용자가 1만명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적으로 세계화와 자연환경 개발의 영향으로 사용인구가 많은 언어로의 쏠림현상이 심화해 400개 언어의 인구 점유율은 95%에 달했다.

중국어, 스페인어, 영어, 힌두어, 러시아어 등 사용인구가 많은 8개국어의 점유율은 40%나 됐다.

오세아니아 북서부에 있는 뉴기니는 자연환경 파괴에 따른 토착 언어 소멸 위협이 심각한 대표적인 지역으로 파악됐다.

세계에서 2번째로 큰 뉴기니 섬에서는 한 때 1천여개 토착언어가 번성했지만, 열대우림 개발에 따른 급속한 주거환경 파괴로 토착 언어의 절반 이상이 사라졌다.

현지 언어학자 아스야 페렐츠바이그는 열대우림 거주 지역이 사라지면서 뉴아일랜드주의 고유언어들은 사용인구가 수십명 미만인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전했다.

연구논문 저자인 로 연구원은 "진화의 산물인 생태환경 다양성과 언어가 자연파괴로 멸종 위기를 동시에 맞고 있다"며 "언어를 통해 전수돼 온 인류의 지식과 문화유산마저 사라지는 것은 안타까운 일"라고 밝혔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