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생산직 근로자 대기업 임원 ‘파격 승진’
입력 2014.06.21 (07:21) 수정 2014.06.21 (08:26) 뉴스광장
<앵커 멘트>
생산 현장 근로자가 대기업 임원이 되는 파격 승진을 했습니다.
기술 인력을 우대하는 기업 문화가 뿌리를 내려 임금뿐 아니라 승진 제도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오종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대기업 기술연수생으로 입사했던 55살 이상원 씨.
금속 가공 근로자로 35년 동안 발전플랜트 생산에 한 우물을 팠습니다.
이 씨는 이번에 직장인의 꽃인 임원으로 승진했습니다.
대기업에서 생산직 근로자가 임원으로 승진하는 경우는 이례적입니다.
<인터뷰> 이상원(두산중공업 터빈2공장) : "정말 한 우물만 파면, 자기계발을 하고 이러면 제 위치까지 누구나 올라올 수 있다라고 봅니다."
이 씨는 91년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한 발전기 터빈 회전날개 국산화에 참여해 실력을 발휘했습니다.
이 씨의 팀은 증기와 가스터빈 회전날개 50여 종을 국산화해 2천7백억 원 이상의 수입대체효과를 거뒀습니다.
그 공로로 대한민국 품질명장에 선정됐고 대통령상 세 번, 동탑산업훈장까지 받았습니다.
<인터뷰> 이상원(두산중공업 터빈2공장) : "강의나 교육을 가면 항상 제 교육제목은 '다시 태어나도 이 길을 걸을 것이다'(입니다.)"
뒤늦었지만 임금은 물론 임원 승진에서도 기술인력을 우대하는 문화가 점차 퍼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오종우입니다.
생산 현장 근로자가 대기업 임원이 되는 파격 승진을 했습니다.
기술 인력을 우대하는 기업 문화가 뿌리를 내려 임금뿐 아니라 승진 제도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오종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대기업 기술연수생으로 입사했던 55살 이상원 씨.
금속 가공 근로자로 35년 동안 발전플랜트 생산에 한 우물을 팠습니다.
이 씨는 이번에 직장인의 꽃인 임원으로 승진했습니다.
대기업에서 생산직 근로자가 임원으로 승진하는 경우는 이례적입니다.
<인터뷰> 이상원(두산중공업 터빈2공장) : "정말 한 우물만 파면, 자기계발을 하고 이러면 제 위치까지 누구나 올라올 수 있다라고 봅니다."
이 씨는 91년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한 발전기 터빈 회전날개 국산화에 참여해 실력을 발휘했습니다.
이 씨의 팀은 증기와 가스터빈 회전날개 50여 종을 국산화해 2천7백억 원 이상의 수입대체효과를 거뒀습니다.
그 공로로 대한민국 품질명장에 선정됐고 대통령상 세 번, 동탑산업훈장까지 받았습니다.
<인터뷰> 이상원(두산중공업 터빈2공장) : "강의나 교육을 가면 항상 제 교육제목은 '다시 태어나도 이 길을 걸을 것이다'(입니다.)"
뒤늦었지만 임금은 물론 임원 승진에서도 기술인력을 우대하는 문화가 점차 퍼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오종우입니다.
- 생산직 근로자 대기업 임원 ‘파격 승진’
-
- 입력 2014-06-21 07:23:41
- 수정2014-06-21 08:26:16

<앵커 멘트>
생산 현장 근로자가 대기업 임원이 되는 파격 승진을 했습니다.
기술 인력을 우대하는 기업 문화가 뿌리를 내려 임금뿐 아니라 승진 제도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오종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대기업 기술연수생으로 입사했던 55살 이상원 씨.
금속 가공 근로자로 35년 동안 발전플랜트 생산에 한 우물을 팠습니다.
이 씨는 이번에 직장인의 꽃인 임원으로 승진했습니다.
대기업에서 생산직 근로자가 임원으로 승진하는 경우는 이례적입니다.
<인터뷰> 이상원(두산중공업 터빈2공장) : "정말 한 우물만 파면, 자기계발을 하고 이러면 제 위치까지 누구나 올라올 수 있다라고 봅니다."
이 씨는 91년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한 발전기 터빈 회전날개 국산화에 참여해 실력을 발휘했습니다.
이 씨의 팀은 증기와 가스터빈 회전날개 50여 종을 국산화해 2천7백억 원 이상의 수입대체효과를 거뒀습니다.
그 공로로 대한민국 품질명장에 선정됐고 대통령상 세 번, 동탑산업훈장까지 받았습니다.
<인터뷰> 이상원(두산중공업 터빈2공장) : "강의나 교육을 가면 항상 제 교육제목은 '다시 태어나도 이 길을 걸을 것이다'(입니다.)"
뒤늦었지만 임금은 물론 임원 승진에서도 기술인력을 우대하는 문화가 점차 퍼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오종우입니다.
생산 현장 근로자가 대기업 임원이 되는 파격 승진을 했습니다.
기술 인력을 우대하는 기업 문화가 뿌리를 내려 임금뿐 아니라 승진 제도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오종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대기업 기술연수생으로 입사했던 55살 이상원 씨.
금속 가공 근로자로 35년 동안 발전플랜트 생산에 한 우물을 팠습니다.
이 씨는 이번에 직장인의 꽃인 임원으로 승진했습니다.
대기업에서 생산직 근로자가 임원으로 승진하는 경우는 이례적입니다.
<인터뷰> 이상원(두산중공업 터빈2공장) : "정말 한 우물만 파면, 자기계발을 하고 이러면 제 위치까지 누구나 올라올 수 있다라고 봅니다."
이 씨는 91년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한 발전기 터빈 회전날개 국산화에 참여해 실력을 발휘했습니다.
이 씨의 팀은 증기와 가스터빈 회전날개 50여 종을 국산화해 2천7백억 원 이상의 수입대체효과를 거뒀습니다.
그 공로로 대한민국 품질명장에 선정됐고 대통령상 세 번, 동탑산업훈장까지 받았습니다.
<인터뷰> 이상원(두산중공업 터빈2공장) : "강의나 교육을 가면 항상 제 교육제목은 '다시 태어나도 이 길을 걸을 것이다'(입니다.)"
뒤늦었지만 임금은 물론 임원 승진에서도 기술인력을 우대하는 문화가 점차 퍼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오종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뉴스광장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오종우 기자 helpbell@kbs.co.kr
오종우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