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불평등 수십년 더 악화될 것”

입력 2014.07.03 (10: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도로 숙련된 근로자가 기술발전에 따른 이익을 더 많이 누리게 되면서, 최근 수년간 나타난 경제적 불평등은 향후 수십년 간 더 악화될 거라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밝혔습니다.

그리고 이 같은 경제적 불평등 심화에 대한 해법으로 교육 투자 확대와 누진세 강화를 제시했습니다.

OECD는 최신 보고서에서 금융위기가 터지기까지 지난 20년간 소득 상위 계층의 임금 상승률이 하위계층에 비해 연간 평균 0.6% 높았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과학기술은 오직 중간 수준의 기술을 요구하는 일자리만 대체하기 때문에, 고소득층과 중산층간 격차가 계속 커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앞으로도 계속 미국이 이스라엘에 이어 소득 불평등이 가장 큰 국가일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소득 불평등 수십년 더 악화될 것”
    • 입력 2014-07-03 10:46:46
    국제
고도로 숙련된 근로자가 기술발전에 따른 이익을 더 많이 누리게 되면서, 최근 수년간 나타난 경제적 불평등은 향후 수십년 간 더 악화될 거라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밝혔습니다. 그리고 이 같은 경제적 불평등 심화에 대한 해법으로 교육 투자 확대와 누진세 강화를 제시했습니다. OECD는 최신 보고서에서 금융위기가 터지기까지 지난 20년간 소득 상위 계층의 임금 상승률이 하위계층에 비해 연간 평균 0.6% 높았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과학기술은 오직 중간 수준의 기술을 요구하는 일자리만 대체하기 때문에, 고소득층과 중산층간 격차가 계속 커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앞으로도 계속 미국이 이스라엘에 이어 소득 불평등이 가장 큰 국가일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