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장한 해외직구, 4년 후엔 ‘8조 시장’

입력 2014.07.06 (01:03) 수정 2014.07.06 (01: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10년간 해마다 40% 이상 성장한 해외 직접구매(직구: 국내 소비자가 쇼핑몰을 통해 해외 제품을 구매하는 것) 시장이 더 확대돼 2018년에는 8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해외 직구의 확대로 백화점, 가전제품 전문점 등 일부 유통업계에 피해가 우려되는 만큼 소비자 수요를 고려한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오늘(6일) 산업은행 조사분석부 김대진 연구위원이 작성한 '해외 직구 확대가 국내 유통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우리나라의 직구 시장 규모는 2001년 1300만달러에서 2013년 10억달러로 성장했다. 연평균 성장률이 43.6%에 달한다.

같은 기간 소비재 수입액 대비 직구 시장의 비율은 0.07%에서 1.8%로 높아졌다.

올 들어 직구 시장의 더 빠르게 팽창하는 모습이다. 2014년 1월부터 4월까지 직구 시장은 4억8000만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50% 넘게 증가했다.

직구 건수를 살펴보면 2010년 350만건에서 2013년 1116만건으로 연평균 47.2%나 늘었다.

김대진 연구위원은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직구 금액이 연평균 50% 증가해 2018년 직구 시장이 8조원을 넘을 것으로 전망했다.



직구 대상 국가를 살펴보면 미국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그 규모가 점차 줄고 있다. 대신 독일, 중국 등을 통한 직구가 활성화하는 모습이다.

미국을 통한 직구 비중은 2010년 81.6%에서 2013년 75%로 낮아졌다. 반면 2010년 1% 미만을 차지했던 중국과 독일 대상 직구는 각각 11%, 4%로 증가했다.

2013년 직구 품목을 살펴보면 의류·신발이 30%를 차지했다. 건강식품과 화장품은 각각 15%와 8%로 나타났다. TV, 식기 세척기 등 전자제품, 스키장비를 포함한 레저용품 등 기타 품목은 47%였다.

직구 소비자 가운데 30대는 50%를 차지했으며 20대 26%, 40대 15%로 나타났다. 직구 소비자 1인당 평균 5.7회에 걸쳐 93만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대진 연구위원은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 수입이 부족한 상황에서 해외 온라인 쇼핑몰 등의 등장으로 외국 제품을 싸게 살 수 있는 통로가 열리자 소비자 수요가 몰렸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수입 비중을 나타내는 '수입 개방도'는 49.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11번째로 높다.

반면 가계의 재화소비 중 수입 소비재가 차지하는 비중인 '소비 개방도'는 20%로 29위에 그친다.

이 같은 차이는 국내 수입이 원자재 위주로 이뤄지고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제품 수입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가운데 외국 제품을 저렴하게 구매하는 해외 온라인 쇼핑몰, 배송(구매) 대행업체가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킨 것이다.



다만 직구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소비자 피해도 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직구 관련 소비자 불만건수는 2012년 1181건에서 2013년 1551건으로 31.3%나 늘었다. 주로 제품 불량에 따른 환불과 교환, 상품 사후관리(A/S)에 대한 불만이었다.

중·소 배송대행업체, 미검증 배송대행업체를 통해 제품을 구매할 때 제품 분실, 배송 지연 등 소비자 피해에 대한 우려도 커진다.

직구 증가로 국내 유통업계의 수익성이 악화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백화점은 주요 직구 제품인 의류, 잡화, 가전제품의 매출 비중이 75% 이상으로 직구 확대에 따른 악영향이 클 것으로 보인다. 가전을 직구하는 비율도 증가하고 있어 가전 전문점의 수익성 악화도 예견된다.

김대진 연구위원은 "백화점은 신규 브랜드를 발굴·수입하고 온라인 몰을 활용해 해외 소비재 정보를 제공하는 등 직구 소비자의 수요를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가전 전문점은 제조업체와의 가격 분담, 유통 이윤 축소를 통해 제품 가격을 낮출 필요가 있다"며 "A/S 등의 편의성을 강조해 수요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급성장한 해외직구, 4년 후엔 ‘8조 시장’
    • 입력 2014-07-06 01:03:21
    • 수정2014-07-06 01:09:58
    경제
최근 10년간 해마다 40% 이상 성장한 해외 직접구매(직구: 국내 소비자가 쇼핑몰을 통해 해외 제품을 구매하는 것) 시장이 더 확대돼 2018년에는 8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해외 직구의 확대로 백화점, 가전제품 전문점 등 일부 유통업계에 피해가 우려되는 만큼 소비자 수요를 고려한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오늘(6일) 산업은행 조사분석부 김대진 연구위원이 작성한 '해외 직구 확대가 국내 유통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우리나라의 직구 시장 규모는 2001년 1300만달러에서 2013년 10억달러로 성장했다. 연평균 성장률이 43.6%에 달한다. 같은 기간 소비재 수입액 대비 직구 시장의 비율은 0.07%에서 1.8%로 높아졌다. 올 들어 직구 시장의 더 빠르게 팽창하는 모습이다. 2014년 1월부터 4월까지 직구 시장은 4억8000만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50% 넘게 증가했다. 직구 건수를 살펴보면 2010년 350만건에서 2013년 1116만건으로 연평균 47.2%나 늘었다. 김대진 연구위원은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직구 금액이 연평균 50% 증가해 2018년 직구 시장이 8조원을 넘을 것으로 전망했다. 직구 대상 국가를 살펴보면 미국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그 규모가 점차 줄고 있다. 대신 독일, 중국 등을 통한 직구가 활성화하는 모습이다. 미국을 통한 직구 비중은 2010년 81.6%에서 2013년 75%로 낮아졌다. 반면 2010년 1% 미만을 차지했던 중국과 독일 대상 직구는 각각 11%, 4%로 증가했다. 2013년 직구 품목을 살펴보면 의류·신발이 30%를 차지했다. 건강식품과 화장품은 각각 15%와 8%로 나타났다. TV, 식기 세척기 등 전자제품, 스키장비를 포함한 레저용품 등 기타 품목은 47%였다. 직구 소비자 가운데 30대는 50%를 차지했으며 20대 26%, 40대 15%로 나타났다. 직구 소비자 1인당 평균 5.7회에 걸쳐 93만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대진 연구위원은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 수입이 부족한 상황에서 해외 온라인 쇼핑몰 등의 등장으로 외국 제품을 싸게 살 수 있는 통로가 열리자 소비자 수요가 몰렸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수입 비중을 나타내는 '수입 개방도'는 49.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11번째로 높다. 반면 가계의 재화소비 중 수입 소비재가 차지하는 비중인 '소비 개방도'는 20%로 29위에 그친다. 이 같은 차이는 국내 수입이 원자재 위주로 이뤄지고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제품 수입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가운데 외국 제품을 저렴하게 구매하는 해외 온라인 쇼핑몰, 배송(구매) 대행업체가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킨 것이다. 다만 직구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소비자 피해도 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직구 관련 소비자 불만건수는 2012년 1181건에서 2013년 1551건으로 31.3%나 늘었다. 주로 제품 불량에 따른 환불과 교환, 상품 사후관리(A/S)에 대한 불만이었다. 중·소 배송대행업체, 미검증 배송대행업체를 통해 제품을 구매할 때 제품 분실, 배송 지연 등 소비자 피해에 대한 우려도 커진다. 직구 증가로 국내 유통업계의 수익성이 악화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백화점은 주요 직구 제품인 의류, 잡화, 가전제품의 매출 비중이 75% 이상으로 직구 확대에 따른 악영향이 클 것으로 보인다. 가전을 직구하는 비율도 증가하고 있어 가전 전문점의 수익성 악화도 예견된다. 김대진 연구위원은 "백화점은 신규 브랜드를 발굴·수입하고 온라인 몰을 활용해 해외 소비재 정보를 제공하는 등 직구 소비자의 수요를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가전 전문점은 제조업체와의 가격 분담, 유통 이윤 축소를 통해 제품 가격을 낮출 필요가 있다"며 "A/S 등의 편의성을 강조해 수요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