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고성능 유방암 입체 진단기 국내기술로 개발
입력 2014.07.15 (19:23) 수정 2014.07.15 (19:34) 뉴스 7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고민 가운데 하나가 유방암인데요.
국내 연구진이 유방암 진단 효율을 개선한 입체 영상 진단기기를 개발했습니다.
유방암 정밀 진단은 물론, 외국기업이 독점하다시피한 첨단 의료장비의 국산화와 수출도 기대할 수 있게 됐습니다.
박경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유방암은 한해 우리나라 여성 10만 명당 64명이 걸릴 정도로 발병률이 높은 암입니다.
최근들어 발병 추세도 늘고 있습니다.
그러나 조기 발견하면 5년이상 생존율이 90%가 넘는만큼 영상 진단이 중요합니다.
현재는 주로 위에서 유방에 압력을 가한 뒤 X 선을 쏘는 평면 촬영이 쓰이지만, 유방 조직이 치밀한 우리나라 여성에겐 한계가 있습니다.
<인터뷰> 김학희(서울 아산병원 영상의학과 교수) : "혹이 가려서 안보일수도 있고 또는 눌러서 찍음으로써 유방조직이 겹쳐서 가짜가 진짜처럼 보이는 그런 경우도 있습니다."
한국전기연구원이 새로 개발한 3차원 유방 촬영 진단기기입니다.
이 장치는 촬영기가 40도 정도 회전하면서 1mm 간격으로 유방의 단면을 촬영해 입체화면으로 구성합니다.
그 결과 기존 평면 사진과 달리 암세포의 크기와 위치까지 명확히 구별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최영욱(한국전기연구원 첨단의료기기센터 책임연구원) : "여러 장의 파일을 소트프웨어적으로 합성해 3차원 단층 영상으로 만든 기술입니다."
기존의 2차원 촬영 장비로 선명한 화면을 얻기위해서 유방을 20킬로그램의 무게로 눌렀는데 새로운 장비는 그 부담을 절반 가까이 줄였습니다.
환자의 불편도 덜면서 진단 정확성이 30%이상 향상됐습니다.
앞으로 첨단 영상진단 시장의 국산화는 물론, 수출 효과도 기대됩니다.
KBS 뉴스 박경호입니다.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고민 가운데 하나가 유방암인데요.
국내 연구진이 유방암 진단 효율을 개선한 입체 영상 진단기기를 개발했습니다.
유방암 정밀 진단은 물론, 외국기업이 독점하다시피한 첨단 의료장비의 국산화와 수출도 기대할 수 있게 됐습니다.
박경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유방암은 한해 우리나라 여성 10만 명당 64명이 걸릴 정도로 발병률이 높은 암입니다.
최근들어 발병 추세도 늘고 있습니다.
그러나 조기 발견하면 5년이상 생존율이 90%가 넘는만큼 영상 진단이 중요합니다.
현재는 주로 위에서 유방에 압력을 가한 뒤 X 선을 쏘는 평면 촬영이 쓰이지만, 유방 조직이 치밀한 우리나라 여성에겐 한계가 있습니다.
<인터뷰> 김학희(서울 아산병원 영상의학과 교수) : "혹이 가려서 안보일수도 있고 또는 눌러서 찍음으로써 유방조직이 겹쳐서 가짜가 진짜처럼 보이는 그런 경우도 있습니다."
한국전기연구원이 새로 개발한 3차원 유방 촬영 진단기기입니다.
이 장치는 촬영기가 40도 정도 회전하면서 1mm 간격으로 유방의 단면을 촬영해 입체화면으로 구성합니다.
그 결과 기존 평면 사진과 달리 암세포의 크기와 위치까지 명확히 구별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최영욱(한국전기연구원 첨단의료기기센터 책임연구원) : "여러 장의 파일을 소트프웨어적으로 합성해 3차원 단층 영상으로 만든 기술입니다."
기존의 2차원 촬영 장비로 선명한 화면을 얻기위해서 유방을 20킬로그램의 무게로 눌렀는데 새로운 장비는 그 부담을 절반 가까이 줄였습니다.
환자의 불편도 덜면서 진단 정확성이 30%이상 향상됐습니다.
앞으로 첨단 영상진단 시장의 국산화는 물론, 수출 효과도 기대됩니다.
KBS 뉴스 박경호입니다.
- 고성능 유방암 입체 진단기 국내기술로 개발
-
- 입력 2014-07-15 19:24:29
- 수정2014-07-15 19:34:33

<앵커 멘트>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고민 가운데 하나가 유방암인데요.
국내 연구진이 유방암 진단 효율을 개선한 입체 영상 진단기기를 개발했습니다.
유방암 정밀 진단은 물론, 외국기업이 독점하다시피한 첨단 의료장비의 국산화와 수출도 기대할 수 있게 됐습니다.
박경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유방암은 한해 우리나라 여성 10만 명당 64명이 걸릴 정도로 발병률이 높은 암입니다.
최근들어 발병 추세도 늘고 있습니다.
그러나 조기 발견하면 5년이상 생존율이 90%가 넘는만큼 영상 진단이 중요합니다.
현재는 주로 위에서 유방에 압력을 가한 뒤 X 선을 쏘는 평면 촬영이 쓰이지만, 유방 조직이 치밀한 우리나라 여성에겐 한계가 있습니다.
<인터뷰> 김학희(서울 아산병원 영상의학과 교수) : "혹이 가려서 안보일수도 있고 또는 눌러서 찍음으로써 유방조직이 겹쳐서 가짜가 진짜처럼 보이는 그런 경우도 있습니다."
한국전기연구원이 새로 개발한 3차원 유방 촬영 진단기기입니다.
이 장치는 촬영기가 40도 정도 회전하면서 1mm 간격으로 유방의 단면을 촬영해 입체화면으로 구성합니다.
그 결과 기존 평면 사진과 달리 암세포의 크기와 위치까지 명확히 구별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최영욱(한국전기연구원 첨단의료기기센터 책임연구원) : "여러 장의 파일을 소트프웨어적으로 합성해 3차원 단층 영상으로 만든 기술입니다."
기존의 2차원 촬영 장비로 선명한 화면을 얻기위해서 유방을 20킬로그램의 무게로 눌렀는데 새로운 장비는 그 부담을 절반 가까이 줄였습니다.
환자의 불편도 덜면서 진단 정확성이 30%이상 향상됐습니다.
앞으로 첨단 영상진단 시장의 국산화는 물론, 수출 효과도 기대됩니다.
KBS 뉴스 박경호입니다.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고민 가운데 하나가 유방암인데요.
국내 연구진이 유방암 진단 효율을 개선한 입체 영상 진단기기를 개발했습니다.
유방암 정밀 진단은 물론, 외국기업이 독점하다시피한 첨단 의료장비의 국산화와 수출도 기대할 수 있게 됐습니다.
박경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유방암은 한해 우리나라 여성 10만 명당 64명이 걸릴 정도로 발병률이 높은 암입니다.
최근들어 발병 추세도 늘고 있습니다.
그러나 조기 발견하면 5년이상 생존율이 90%가 넘는만큼 영상 진단이 중요합니다.
현재는 주로 위에서 유방에 압력을 가한 뒤 X 선을 쏘는 평면 촬영이 쓰이지만, 유방 조직이 치밀한 우리나라 여성에겐 한계가 있습니다.
<인터뷰> 김학희(서울 아산병원 영상의학과 교수) : "혹이 가려서 안보일수도 있고 또는 눌러서 찍음으로써 유방조직이 겹쳐서 가짜가 진짜처럼 보이는 그런 경우도 있습니다."
한국전기연구원이 새로 개발한 3차원 유방 촬영 진단기기입니다.
이 장치는 촬영기가 40도 정도 회전하면서 1mm 간격으로 유방의 단면을 촬영해 입체화면으로 구성합니다.
그 결과 기존 평면 사진과 달리 암세포의 크기와 위치까지 명확히 구별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최영욱(한국전기연구원 첨단의료기기센터 책임연구원) : "여러 장의 파일을 소트프웨어적으로 합성해 3차원 단층 영상으로 만든 기술입니다."
기존의 2차원 촬영 장비로 선명한 화면을 얻기위해서 유방을 20킬로그램의 무게로 눌렀는데 새로운 장비는 그 부담을 절반 가까이 줄였습니다.
환자의 불편도 덜면서 진단 정확성이 30%이상 향상됐습니다.
앞으로 첨단 영상진단 시장의 국산화는 물론, 수출 효과도 기대됩니다.
KBS 뉴스 박경호입니다.
뉴스 7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박경호 기자 4right@kbs.co.kr
박경호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