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잦은 금융사고 이유 있었네…운영리스크 관리 ‘부실’

입력 2014.07.21 (06:28) 수정 2014.07.21 (07: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은행들이 직원의 과실이나 시스템 오류 등으로 직접적인 손실을 입을 수 있는 '운영리스크'의 관리에 부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당국은 은행권의 최근 잇단 금융사고가 부실한 운영리스크 관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 실태점검 등을 통해 엄중하게 조치해 나가기로 했다.

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신한·우리·하나·외환·국민·기업은행 등 6개 은행은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자체 모형을 개발해 운영리스크를 관리하겠다며 감독당국의 승인까지 받았으나, 부실하게 운영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리스크는 기업 부도에 따른 채권회수 불능 등을 의미하는 신용리스크, 은행이 투자목적으로 보유한 주식·채권·파생상품 등의 손실 위험을 반영하는 시장리스크와 함께 3대 위험 중 하나다.

부실 대출, 횡령 등과 같은 직원의 잘못이나 시스템 오류 등 금융사고로 인해 직접적인 손실을 입을 수 있는 위험이다.

금감원의 한 관계자는 "최근 금융사고가 자주 발생하면서 각 은행의 운영리스크 관리시스템을 들여다보니 사실상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들 은행이 승인받은 관리시스템은 평소 은행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고 작은 위험 요인들을 수치화함으로써 더 큰 금융사고를 막는 관리 방식이다.

대외신인도가 올라가고 국제결제은행(BIS) 비율에도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글로벌 은행들은 대부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은행들은 감독당국으로부터 승인을 받을 당시보다 운영리스크 관리를 위한 전담 인원을 크게 줄였다.

국민은행은 2008년 전담 인원을 10명 이상 두겠다고 했으나, 실제 인원은 절반가량밖에 되지 않았다. 국민은행은 국민주택기금 위조·횡령, 도쿄지점 부당 대출, 1조원 규모 허위 입금증 등 금융사고가 많이 발생한 은행 중 한 곳이다.

KT ENS 협력업체에 1천600억원이 넘는 대출 사기를 당한 하나은행도 애초 계획보다 전담 인원이 크게 줄었고, 양재동 복합물류개발 프로젝트인 '파이시티 사업' 신탁상품 판매 과정 부실에서 드러난 우리은행도 마찬가지였다.

특히, 운영리스크 담당자로 업무 경험이 거의 없는 신규 전입 직원이나 대리급 직원을 두는가 하면 담당자도 수시로 교체하는 등 사실상 방치했다.

2010년에는 은행 공동으로 리스크 지표도 만들었으나, 이후 제대로 업데이트도 하지 않았고 리스크에 대한 자가 진단은 형식적으로만 이뤄졌다.

이에 금감원은 은행들이 전담 인력을 늘리고 전담 조직의 권한을 확대하는 등 운영리스크 관리시스템을 철저하게 운영하도록 강력하게 지도하기로 했다.

또 감사실, 준법지원실과의 원활한 데이터 공유를 통해 내부통제를 단속하고, 해외 영업점에 대해서도 본점에서 모니터링하도록 지도해 나가기로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들의 내부 금융사고는 운영리스크 관리 부실에 따른 내부 통제의 미흡에 기인한 측면도 크다"며 "앞으로 이 시스템을 부실하게 운영하는 은행에 대해서는 엄중하게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은행 잦은 금융사고 이유 있었네…운영리스크 관리 ‘부실’
    • 입력 2014-07-21 06:28:59
    • 수정2014-07-21 07:59:12
    연합뉴스
은행들이 직원의 과실이나 시스템 오류 등으로 직접적인 손실을 입을 수 있는 '운영리스크'의 관리에 부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당국은 은행권의 최근 잇단 금융사고가 부실한 운영리스크 관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 실태점검 등을 통해 엄중하게 조치해 나가기로 했다.

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신한·우리·하나·외환·국민·기업은행 등 6개 은행은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자체 모형을 개발해 운영리스크를 관리하겠다며 감독당국의 승인까지 받았으나, 부실하게 운영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리스크는 기업 부도에 따른 채권회수 불능 등을 의미하는 신용리스크, 은행이 투자목적으로 보유한 주식·채권·파생상품 등의 손실 위험을 반영하는 시장리스크와 함께 3대 위험 중 하나다.

부실 대출, 횡령 등과 같은 직원의 잘못이나 시스템 오류 등 금융사고로 인해 직접적인 손실을 입을 수 있는 위험이다.

금감원의 한 관계자는 "최근 금융사고가 자주 발생하면서 각 은행의 운영리스크 관리시스템을 들여다보니 사실상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들 은행이 승인받은 관리시스템은 평소 은행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고 작은 위험 요인들을 수치화함으로써 더 큰 금융사고를 막는 관리 방식이다.

대외신인도가 올라가고 국제결제은행(BIS) 비율에도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글로벌 은행들은 대부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은행들은 감독당국으로부터 승인을 받을 당시보다 운영리스크 관리를 위한 전담 인원을 크게 줄였다.

국민은행은 2008년 전담 인원을 10명 이상 두겠다고 했으나, 실제 인원은 절반가량밖에 되지 않았다. 국민은행은 국민주택기금 위조·횡령, 도쿄지점 부당 대출, 1조원 규모 허위 입금증 등 금융사고가 많이 발생한 은행 중 한 곳이다.

KT ENS 협력업체에 1천600억원이 넘는 대출 사기를 당한 하나은행도 애초 계획보다 전담 인원이 크게 줄었고, 양재동 복합물류개발 프로젝트인 '파이시티 사업' 신탁상품 판매 과정 부실에서 드러난 우리은행도 마찬가지였다.

특히, 운영리스크 담당자로 업무 경험이 거의 없는 신규 전입 직원이나 대리급 직원을 두는가 하면 담당자도 수시로 교체하는 등 사실상 방치했다.

2010년에는 은행 공동으로 리스크 지표도 만들었으나, 이후 제대로 업데이트도 하지 않았고 리스크에 대한 자가 진단은 형식적으로만 이뤄졌다.

이에 금감원은 은행들이 전담 인력을 늘리고 전담 조직의 권한을 확대하는 등 운영리스크 관리시스템을 철저하게 운영하도록 강력하게 지도하기로 했다.

또 감사실, 준법지원실과의 원활한 데이터 공유를 통해 내부통제를 단속하고, 해외 영업점에 대해서도 본점에서 모니터링하도록 지도해 나가기로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들의 내부 금융사고는 운영리스크 관리 부실에 따른 내부 통제의 미흡에 기인한 측면도 크다"며 "앞으로 이 시스템을 부실하게 운영하는 은행에 대해서는 엄중하게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