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시장서 밀리고 세계시장서 쫓기는 ‘수출 한국’

입력 2014.08.03 (06:43) 수정 2014.08.03 (08: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에 대한 우리나라의 수출이 과거와 같은 호황을 기대하기 어려운 구조적 한계에 직면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우리나라가 여전히 가공무역 방식의 수출에 크게 의존하는 가운데 주력 수출 품목에 대한 중국의 자급률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중국이 그동안 수입에 의지했던 핵심 산업의 육성에 팔을 걷어붙이면서 중국뿐 아니라 세계시장에서 한국의 입지가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3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무역협회, 코트라에 따르면 1∼7월 우리나라의 대 중국 수출액은 814억 달러로 작년 동기보다 1.2% 줄었다.

월별로는 5월 -9.4%, 6월 -1.0%, 7월 -7.0%로 3개월 연속 감소했다. 이처럼 수출이 내리 줄어든 것은 2012년 6개월(3∼8월) 연속 감소한 이후 처음이다.

석유화학제품, 선박, 일반기계, 액정 디바이스 등 일부 주력 품목의 수출이 부진했기 때문이다.

근본적인 이유로는 중국이 이들 주요 산업의 육성에 나서 생산설비를 대폭 확충, 수입 대체 효과를 거둔 점이 꼽힌다.

중국 내수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우리나라가 중국을 제3국 수출용 가공무역 기지로 활용하며 원부자재 위주의 수출에 의존하는 것도 영향을 미쳤다.

작년 기준 대 중국 수출액 가운데 가공무역 비중은 47.6%로 절반 가까이 된다.

무역협회의 조사 결과 중국의 소비재 수입액은 2009년 798억 달러에서 2013년 1천903억 달러로 불어났다.

그러나 이 기간에 한국의 중국 수입소비재시장 점유율은 5.6%에서 3.8%로 떨어졌다.

작년 기준 한국은 중국의 제1위 수입국에 올랐지만 소비재 수입에서는 6위에 그쳤다.

올해 상반기 한국의 대 중국 수출액 694억 달러 가운데 소비재 비중은 5.5%에 불과했다.

전문가들은 대 중국 수출에서 가공무역 비중을 줄이고 소비재시장 진출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주문했다.

중국이 세계의 공장과 소비시장 역할을 동시에 하는 만큼 중국 기업이나 현지 진출 글로벌 기업과의 합작 등 동반 공략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봉걸 국제무역연구원 연구위원은 "대 중국 수출 감소는 일시적이 아닌 구조적인 문제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단순 납품이 아닌 중국 소비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현지 거래처를 확보하고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은 통상정책으로 관세를 낮추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더욱이 중국이 한국 주력 품목의 수요처가 아닌 경쟁자로 탈바꿈하는데 주목하고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자동차, 조선, 정보기술(IT), 철강, 가전 등 과거 한국의 경쟁력이 월등했던 주요 산업에서 중국이 맹추격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중국의 선박건조능력은 2013년 기준 약 2천140만CGT(표준화물선환산톤수)로 전 세계의 39.4%를 차지해 한국(29.5%)을 이미 앞질렀다.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점유율(출하량 기준)은 작년 2분기 32.3%에서 올해 2분기 25.2%로 하락한 반면 화웨이는 4.3%에서 6.9%로 상승하는 등 중국 업체들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최근 중국은 2020년까지 자국 반도체산업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중장기 발전계획을 발표했다.

2013년 중국의 반도체 수입액은 2천313억 달러에 이른다.

이원교 산업연구원 연구원은 "자체 공급 부족으로 해외 의존도가 큰 중국은 한국의 최대 반도체 수출시장"이라며 "중국이 설비 확대와 기술 개발에 적극 나서면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의 수출 감소가 예상되기 때문에 경쟁력 제고 등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중국 진출 길을 넓힐 수 있도록 코트라 등 수출유관기관 주관으로 한국 상품전과 수출상담회를 수시로 열고 한중 FTA의 조기 타결, 비관세 장벽 해소 등 정책적 노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제조업 혁신을 비롯해 지능형 반도체, 스마트 자동차 등 미래 핵심산업의 육성으로 경쟁력을 키운다는 구상이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시장서 밀리고 세계시장서 쫓기는 ‘수출 한국’
    • 입력 2014-08-03 06:43:27
    • 수정2014-08-03 08:29:49
    연합뉴스
중국에 대한 우리나라의 수출이 과거와 같은 호황을 기대하기 어려운 구조적 한계에 직면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우리나라가 여전히 가공무역 방식의 수출에 크게 의존하는 가운데 주력 수출 품목에 대한 중국의 자급률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중국이 그동안 수입에 의지했던 핵심 산업의 육성에 팔을 걷어붙이면서 중국뿐 아니라 세계시장에서 한국의 입지가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3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무역협회, 코트라에 따르면 1∼7월 우리나라의 대 중국 수출액은 814억 달러로 작년 동기보다 1.2% 줄었다.

월별로는 5월 -9.4%, 6월 -1.0%, 7월 -7.0%로 3개월 연속 감소했다. 이처럼 수출이 내리 줄어든 것은 2012년 6개월(3∼8월) 연속 감소한 이후 처음이다.

석유화학제품, 선박, 일반기계, 액정 디바이스 등 일부 주력 품목의 수출이 부진했기 때문이다.

근본적인 이유로는 중국이 이들 주요 산업의 육성에 나서 생산설비를 대폭 확충, 수입 대체 효과를 거둔 점이 꼽힌다.

중국 내수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우리나라가 중국을 제3국 수출용 가공무역 기지로 활용하며 원부자재 위주의 수출에 의존하는 것도 영향을 미쳤다.

작년 기준 대 중국 수출액 가운데 가공무역 비중은 47.6%로 절반 가까이 된다.

무역협회의 조사 결과 중국의 소비재 수입액은 2009년 798억 달러에서 2013년 1천903억 달러로 불어났다.

그러나 이 기간에 한국의 중국 수입소비재시장 점유율은 5.6%에서 3.8%로 떨어졌다.

작년 기준 한국은 중국의 제1위 수입국에 올랐지만 소비재 수입에서는 6위에 그쳤다.

올해 상반기 한국의 대 중국 수출액 694억 달러 가운데 소비재 비중은 5.5%에 불과했다.

전문가들은 대 중국 수출에서 가공무역 비중을 줄이고 소비재시장 진출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주문했다.

중국이 세계의 공장과 소비시장 역할을 동시에 하는 만큼 중국 기업이나 현지 진출 글로벌 기업과의 합작 등 동반 공략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봉걸 국제무역연구원 연구위원은 "대 중국 수출 감소는 일시적이 아닌 구조적인 문제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단순 납품이 아닌 중국 소비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현지 거래처를 확보하고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은 통상정책으로 관세를 낮추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더욱이 중국이 한국 주력 품목의 수요처가 아닌 경쟁자로 탈바꿈하는데 주목하고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자동차, 조선, 정보기술(IT), 철강, 가전 등 과거 한국의 경쟁력이 월등했던 주요 산업에서 중국이 맹추격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중국의 선박건조능력은 2013년 기준 약 2천140만CGT(표준화물선환산톤수)로 전 세계의 39.4%를 차지해 한국(29.5%)을 이미 앞질렀다.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점유율(출하량 기준)은 작년 2분기 32.3%에서 올해 2분기 25.2%로 하락한 반면 화웨이는 4.3%에서 6.9%로 상승하는 등 중국 업체들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최근 중국은 2020년까지 자국 반도체산업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중장기 발전계획을 발표했다.

2013년 중국의 반도체 수입액은 2천313억 달러에 이른다.

이원교 산업연구원 연구원은 "자체 공급 부족으로 해외 의존도가 큰 중국은 한국의 최대 반도체 수출시장"이라며 "중국이 설비 확대와 기술 개발에 적극 나서면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의 수출 감소가 예상되기 때문에 경쟁력 제고 등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중국 진출 길을 넓힐 수 있도록 코트라 등 수출유관기관 주관으로 한국 상품전과 수출상담회를 수시로 열고 한중 FTA의 조기 타결, 비관세 장벽 해소 등 정책적 노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제조업 혁신을 비롯해 지능형 반도체, 스마트 자동차 등 미래 핵심산업의 육성으로 경쟁력을 키운다는 구상이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