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학교라 하지마라”…학내 ‘카스트제’ 논란
입력 2014.08.04 (07:17)
수정 2014.08.04 (08: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최근 일부 대학에서 과거의 신분제도처럼 학생들을 등급으로 나눈 글이 내부 게시판에 올라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입학 방식에 따라 학생들을 구분한 것인데, 어떤 일인지 우정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 대학의 익명 인터넷 게시판입니다.
신라시대의 신분제도에 빗대 정시와 수시모집 입학생을 최고 신분인 '성골'로, 특별전형 학생을 그 아래인 '6두품'으로 칭했습니다.
게시글에는 이에 동의한다는 댓글도 달렸습니다.
수능 성적이 높은 학생이 더 뛰어나다는 주장입니다.
이 학교의 익명게시판은 서울 캠퍼스와 제2캠퍼스의 통합 반대 글로 몸살을 앓았습니다.
제2캠퍼스 학생들이 서울의 학생들과 같은 대우를 받는 게 억울하다는 겁니다.
한 대학은 이런 반발 때문에 서울 캠퍼스에서 강의를 듣는 제2캠퍼스 학생이 줄어들기도 했습니다.
<인터뷰> 조세현(대학생) : "소수라도 문제있는 생각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충분히 반성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인터뷰> 강효인(대학생) : "학벌주의 문화는 저희 안에도 있다는 그런 반성을.."
함께 누리고 있는 것을 빼앗아서 자신을 과시하려는 성향이 문제로 지적됩니다.
<인터뷰> 박거용(한국대학교육연구소장) : "(특별전형 등 학생이)졸업할 때보니까 평균 학점이 더 높은 결과가 나왔어요. 대학교 들어올 때의 성적이 모든 것을 좌지우지하지는 않는거다."
취업난으로 캠퍼스의 낭만은 사라진지 오래, 무한경쟁 시대의 폐해까지 대학가에 번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우정화입니다.
최근 일부 대학에서 과거의 신분제도처럼 학생들을 등급으로 나눈 글이 내부 게시판에 올라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입학 방식에 따라 학생들을 구분한 것인데, 어떤 일인지 우정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 대학의 익명 인터넷 게시판입니다.
신라시대의 신분제도에 빗대 정시와 수시모집 입학생을 최고 신분인 '성골'로, 특별전형 학생을 그 아래인 '6두품'으로 칭했습니다.
게시글에는 이에 동의한다는 댓글도 달렸습니다.
수능 성적이 높은 학생이 더 뛰어나다는 주장입니다.
이 학교의 익명게시판은 서울 캠퍼스와 제2캠퍼스의 통합 반대 글로 몸살을 앓았습니다.
제2캠퍼스 학생들이 서울의 학생들과 같은 대우를 받는 게 억울하다는 겁니다.
한 대학은 이런 반발 때문에 서울 캠퍼스에서 강의를 듣는 제2캠퍼스 학생이 줄어들기도 했습니다.
<인터뷰> 조세현(대학생) : "소수라도 문제있는 생각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충분히 반성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인터뷰> 강효인(대학생) : "학벌주의 문화는 저희 안에도 있다는 그런 반성을.."
함께 누리고 있는 것을 빼앗아서 자신을 과시하려는 성향이 문제로 지적됩니다.
<인터뷰> 박거용(한국대학교육연구소장) : "(특별전형 등 학생이)졸업할 때보니까 평균 학점이 더 높은 결과가 나왔어요. 대학교 들어올 때의 성적이 모든 것을 좌지우지하지는 않는거다."
취업난으로 캠퍼스의 낭만은 사라진지 오래, 무한경쟁 시대의 폐해까지 대학가에 번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우정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같은 학교라 하지마라”…학내 ‘카스트제’ 논란
-
- 입력 2014-08-04 07:21:39
- 수정2014-08-04 08:50:43

<앵커 멘트>
최근 일부 대학에서 과거의 신분제도처럼 학생들을 등급으로 나눈 글이 내부 게시판에 올라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입학 방식에 따라 학생들을 구분한 것인데, 어떤 일인지 우정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 대학의 익명 인터넷 게시판입니다.
신라시대의 신분제도에 빗대 정시와 수시모집 입학생을 최고 신분인 '성골'로, 특별전형 학생을 그 아래인 '6두품'으로 칭했습니다.
게시글에는 이에 동의한다는 댓글도 달렸습니다.
수능 성적이 높은 학생이 더 뛰어나다는 주장입니다.
이 학교의 익명게시판은 서울 캠퍼스와 제2캠퍼스의 통합 반대 글로 몸살을 앓았습니다.
제2캠퍼스 학생들이 서울의 학생들과 같은 대우를 받는 게 억울하다는 겁니다.
한 대학은 이런 반발 때문에 서울 캠퍼스에서 강의를 듣는 제2캠퍼스 학생이 줄어들기도 했습니다.
<인터뷰> 조세현(대학생) : "소수라도 문제있는 생각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충분히 반성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인터뷰> 강효인(대학생) : "학벌주의 문화는 저희 안에도 있다는 그런 반성을.."
함께 누리고 있는 것을 빼앗아서 자신을 과시하려는 성향이 문제로 지적됩니다.
<인터뷰> 박거용(한국대학교육연구소장) : "(특별전형 등 학생이)졸업할 때보니까 평균 학점이 더 높은 결과가 나왔어요. 대학교 들어올 때의 성적이 모든 것을 좌지우지하지는 않는거다."
취업난으로 캠퍼스의 낭만은 사라진지 오래, 무한경쟁 시대의 폐해까지 대학가에 번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우정화입니다.
최근 일부 대학에서 과거의 신분제도처럼 학생들을 등급으로 나눈 글이 내부 게시판에 올라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입학 방식에 따라 학생들을 구분한 것인데, 어떤 일인지 우정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 대학의 익명 인터넷 게시판입니다.
신라시대의 신분제도에 빗대 정시와 수시모집 입학생을 최고 신분인 '성골'로, 특별전형 학생을 그 아래인 '6두품'으로 칭했습니다.
게시글에는 이에 동의한다는 댓글도 달렸습니다.
수능 성적이 높은 학생이 더 뛰어나다는 주장입니다.
이 학교의 익명게시판은 서울 캠퍼스와 제2캠퍼스의 통합 반대 글로 몸살을 앓았습니다.
제2캠퍼스 학생들이 서울의 학생들과 같은 대우를 받는 게 억울하다는 겁니다.
한 대학은 이런 반발 때문에 서울 캠퍼스에서 강의를 듣는 제2캠퍼스 학생이 줄어들기도 했습니다.
<인터뷰> 조세현(대학생) : "소수라도 문제있는 생각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충분히 반성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인터뷰> 강효인(대학생) : "학벌주의 문화는 저희 안에도 있다는 그런 반성을.."
함께 누리고 있는 것을 빼앗아서 자신을 과시하려는 성향이 문제로 지적됩니다.
<인터뷰> 박거용(한국대학교육연구소장) : "(특별전형 등 학생이)졸업할 때보니까 평균 학점이 더 높은 결과가 나왔어요. 대학교 들어올 때의 성적이 모든 것을 좌지우지하지는 않는거다."
취업난으로 캠퍼스의 낭만은 사라진지 오래, 무한경쟁 시대의 폐해까지 대학가에 번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우정화입니다.
-
-
우정화 기자 jhw01@kbs.co.kr
우정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