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D 부족 수술환자, 합병증 위험”
입력 2014.08.16 (09:40)
수정 2014.08.16 (18: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장 이외의 수술환자가 비타민D가 부족하면 수술 후 합병증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클리블랜드 클리닉의 알파슬란 투란 박사는 비타민D가 부족한 수술환자는 수술 후 병원 내 감염, 심혈관장애, 사망 등 합병증 위험이 크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15일 보도했다.
수술 3개월 전에서 수술 1개월 후 사이에 혈중 비타민D 검사를 받은 비심장 (non-cardiac) 수술환자 약 3천500명을 대상으로 비타민D 혈중수치와 수술결과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나타났다고 투란 박사는 밝혔다.
비타민D의 혈중수치가 높을 환자일수록 수술 후 합병증 위험이 낮았다.
비타민D 수치가 5ng/㎖(밀리리터 당 나노그램) 높아질 때마다 수술 뒤 감염, 심혈관장애, 사망 등의 복합합병증 위험은 7%씩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타민D 수치가 가장 높은(최고 44ng/㎖) 그룹은 가장 낮은(13ng/㎖ 이하) 그룹에 비해 합병증 위험이 절반밖에 되지 않았다.
비타민D 수치와의 연관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난 합병증은 심혈관장애였고 감염, 사망과의 연관성도 뚜렷했다.
수술환자들은 대부분 혈중 비타민D 수치가 정상수준인 30ng/㎖에 못 미치는 평균 23.5ng/㎖였다.
60%는 10~30ng/㎖로 비타민D 부족에 해당했고 20%는 10ng/㎖이하로 결핍 상태였다.
이 결과는 환자의 의학적 상태, 수술종류, 수술 소요시간 등 수술합병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고려한 것이다.
투란 박사는 비타민D는 심혈관계와 신경계의 건강을 보호하고 면역체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면서 이제 비타민D 결핍은 "세계적인 건강문제"라고 지적했다.
이 연구결과는 '마취와 통증차단'(Anesthesia & Analgesia) 최신호에 발표됐다.
미국 클리블랜드 클리닉의 알파슬란 투란 박사는 비타민D가 부족한 수술환자는 수술 후 병원 내 감염, 심혈관장애, 사망 등 합병증 위험이 크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15일 보도했다.
수술 3개월 전에서 수술 1개월 후 사이에 혈중 비타민D 검사를 받은 비심장 (non-cardiac) 수술환자 약 3천500명을 대상으로 비타민D 혈중수치와 수술결과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나타났다고 투란 박사는 밝혔다.
비타민D의 혈중수치가 높을 환자일수록 수술 후 합병증 위험이 낮았다.
비타민D 수치가 5ng/㎖(밀리리터 당 나노그램) 높아질 때마다 수술 뒤 감염, 심혈관장애, 사망 등의 복합합병증 위험은 7%씩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타민D 수치가 가장 높은(최고 44ng/㎖) 그룹은 가장 낮은(13ng/㎖ 이하) 그룹에 비해 합병증 위험이 절반밖에 되지 않았다.
비타민D 수치와의 연관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난 합병증은 심혈관장애였고 감염, 사망과의 연관성도 뚜렷했다.
수술환자들은 대부분 혈중 비타민D 수치가 정상수준인 30ng/㎖에 못 미치는 평균 23.5ng/㎖였다.
60%는 10~30ng/㎖로 비타민D 부족에 해당했고 20%는 10ng/㎖이하로 결핍 상태였다.
이 결과는 환자의 의학적 상태, 수술종류, 수술 소요시간 등 수술합병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고려한 것이다.
투란 박사는 비타민D는 심혈관계와 신경계의 건강을 보호하고 면역체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면서 이제 비타민D 결핍은 "세계적인 건강문제"라고 지적했다.
이 연구결과는 '마취와 통증차단'(Anesthesia & Analgesia) 최신호에 발표됐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비타민D 부족 수술환자, 합병증 위험”
-
- 입력 2014-08-16 09:40:15
- 수정2014-08-16 18:40:20
심장 이외의 수술환자가 비타민D가 부족하면 수술 후 합병증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클리블랜드 클리닉의 알파슬란 투란 박사는 비타민D가 부족한 수술환자는 수술 후 병원 내 감염, 심혈관장애, 사망 등 합병증 위험이 크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15일 보도했다.
수술 3개월 전에서 수술 1개월 후 사이에 혈중 비타민D 검사를 받은 비심장 (non-cardiac) 수술환자 약 3천500명을 대상으로 비타민D 혈중수치와 수술결과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나타났다고 투란 박사는 밝혔다.
비타민D의 혈중수치가 높을 환자일수록 수술 후 합병증 위험이 낮았다.
비타민D 수치가 5ng/㎖(밀리리터 당 나노그램) 높아질 때마다 수술 뒤 감염, 심혈관장애, 사망 등의 복합합병증 위험은 7%씩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타민D 수치가 가장 높은(최고 44ng/㎖) 그룹은 가장 낮은(13ng/㎖ 이하) 그룹에 비해 합병증 위험이 절반밖에 되지 않았다.
비타민D 수치와의 연관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난 합병증은 심혈관장애였고 감염, 사망과의 연관성도 뚜렷했다.
수술환자들은 대부분 혈중 비타민D 수치가 정상수준인 30ng/㎖에 못 미치는 평균 23.5ng/㎖였다.
60%는 10~30ng/㎖로 비타민D 부족에 해당했고 20%는 10ng/㎖이하로 결핍 상태였다.
이 결과는 환자의 의학적 상태, 수술종류, 수술 소요시간 등 수술합병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고려한 것이다.
투란 박사는 비타민D는 심혈관계와 신경계의 건강을 보호하고 면역체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면서 이제 비타민D 결핍은 "세계적인 건강문제"라고 지적했다.
이 연구결과는 '마취와 통증차단'(Anesthesia & Analgesia) 최신호에 발표됐다.
미국 클리블랜드 클리닉의 알파슬란 투란 박사는 비타민D가 부족한 수술환자는 수술 후 병원 내 감염, 심혈관장애, 사망 등 합병증 위험이 크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15일 보도했다.
수술 3개월 전에서 수술 1개월 후 사이에 혈중 비타민D 검사를 받은 비심장 (non-cardiac) 수술환자 약 3천500명을 대상으로 비타민D 혈중수치와 수술결과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나타났다고 투란 박사는 밝혔다.
비타민D의 혈중수치가 높을 환자일수록 수술 후 합병증 위험이 낮았다.
비타민D 수치가 5ng/㎖(밀리리터 당 나노그램) 높아질 때마다 수술 뒤 감염, 심혈관장애, 사망 등의 복합합병증 위험은 7%씩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타민D 수치가 가장 높은(최고 44ng/㎖) 그룹은 가장 낮은(13ng/㎖ 이하) 그룹에 비해 합병증 위험이 절반밖에 되지 않았다.
비타민D 수치와의 연관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난 합병증은 심혈관장애였고 감염, 사망과의 연관성도 뚜렷했다.
수술환자들은 대부분 혈중 비타민D 수치가 정상수준인 30ng/㎖에 못 미치는 평균 23.5ng/㎖였다.
60%는 10~30ng/㎖로 비타민D 부족에 해당했고 20%는 10ng/㎖이하로 결핍 상태였다.
이 결과는 환자의 의학적 상태, 수술종류, 수술 소요시간 등 수술합병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고려한 것이다.
투란 박사는 비타민D는 심혈관계와 신경계의 건강을 보호하고 면역체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면서 이제 비타민D 결핍은 "세계적인 건강문제"라고 지적했다.
이 연구결과는 '마취와 통증차단'(Anesthesia & Analgesia) 최신호에 발표됐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