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흡연자 3명 중 1명, 담뱃값 4,500원 되면 금연”
입력 2014.09.05 (10:13) 수정 2014.09.11 (11:13) 사회
흡연자 세 명 중 한 명은 담뱃값이 4천500원으로 인상되면 담배를 끊겠다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담뱃값 인상 방침을 밝힌 직후인 지난 3일 전국의 성인 천 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조사를 한 결과, 담뱃값이 4천500원으로 인상되면 흡연자의 32.3%가 '담배를 끊겠다'고 답했다고 밝혔습니다.
.jpg)
'계속 피우겠다'는 51.6%였고, '모르겠다'는 응답은 16.1%였습니다.
또 담뱃값 인상에 대해 64.5%가 찬성한다고 답했고, 반대한다는 응답은 35.5%였습니다.
특히, 흡연자들의 경우 담뱃값 인상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70.3%를 차지했습니다.
담뱃값 인상으로 늘어난 재원은 '흡연자를 위한 금연지원'에 써야 한다는 의견이 41.5%로 가장 많았고, 이어 금연 캠페인과 교육, 담배 위험성에 관한 연구 지원 등에 활용돼야 한다는 의견이 뒤를 이었습니다.
이번 조사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유니온리서치'에 의뢰해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25.8%,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입니다.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담뱃값 인상 방침을 밝힌 직후인 지난 3일 전국의 성인 천 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조사를 한 결과, 담뱃값이 4천500원으로 인상되면 흡연자의 32.3%가 '담배를 끊겠다'고 답했다고 밝혔습니다.
.jpg)
'계속 피우겠다'는 51.6%였고, '모르겠다'는 응답은 16.1%였습니다.
또 담뱃값 인상에 대해 64.5%가 찬성한다고 답했고, 반대한다는 응답은 35.5%였습니다.
특히, 흡연자들의 경우 담뱃값 인상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70.3%를 차지했습니다.
담뱃값 인상으로 늘어난 재원은 '흡연자를 위한 금연지원'에 써야 한다는 의견이 41.5%로 가장 많았고, 이어 금연 캠페인과 교육, 담배 위험성에 관한 연구 지원 등에 활용돼야 한다는 의견이 뒤를 이었습니다.
이번 조사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유니온리서치'에 의뢰해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25.8%,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입니다.
- “흡연자 3명 중 1명, 담뱃값 4,500원 되면 금연”
-
- 입력 2014-09-05 10:13:11
- 수정2014-09-11 11:13:40
흡연자 세 명 중 한 명은 담뱃값이 4천500원으로 인상되면 담배를 끊겠다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담뱃값 인상 방침을 밝힌 직후인 지난 3일 전국의 성인 천 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조사를 한 결과, 담뱃값이 4천500원으로 인상되면 흡연자의 32.3%가 '담배를 끊겠다'고 답했다고 밝혔습니다.
.jpg)
'계속 피우겠다'는 51.6%였고, '모르겠다'는 응답은 16.1%였습니다.
또 담뱃값 인상에 대해 64.5%가 찬성한다고 답했고, 반대한다는 응답은 35.5%였습니다.
특히, 흡연자들의 경우 담뱃값 인상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70.3%를 차지했습니다.
담뱃값 인상으로 늘어난 재원은 '흡연자를 위한 금연지원'에 써야 한다는 의견이 41.5%로 가장 많았고, 이어 금연 캠페인과 교육, 담배 위험성에 관한 연구 지원 등에 활용돼야 한다는 의견이 뒤를 이었습니다.
이번 조사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유니온리서치'에 의뢰해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25.8%,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입니다.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담뱃값 인상 방침을 밝힌 직후인 지난 3일 전국의 성인 천 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조사를 한 결과, 담뱃값이 4천500원으로 인상되면 흡연자의 32.3%가 '담배를 끊겠다'고 답했다고 밝혔습니다.
.jpg)
'계속 피우겠다'는 51.6%였고, '모르겠다'는 응답은 16.1%였습니다.
또 담뱃값 인상에 대해 64.5%가 찬성한다고 답했고, 반대한다는 응답은 35.5%였습니다.
특히, 흡연자들의 경우 담뱃값 인상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70.3%를 차지했습니다.
담뱃값 인상으로 늘어난 재원은 '흡연자를 위한 금연지원'에 써야 한다는 의견이 41.5%로 가장 많았고, 이어 금연 캠페인과 교육, 담배 위험성에 관한 연구 지원 등에 활용돼야 한다는 의견이 뒤를 이었습니다.
이번 조사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유니온리서치'에 의뢰해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25.8%,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기자 정보
-
-
정성호 기자 andreas@kbs.co.kr
정성호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