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김무성, 재정건전성 공방
입력 2014.09.11 (18:54)
수정 2014.09.11 (22: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내년 예산안의 총지출 증가율을 5.7%로 잡았다고 새누리당 최고위원회의에 보고한 데 대해 김무성 대표 등 새누리당 지도부는 재정 건전성에 우려를 표시했습니다.
최 부총리는 "내년도 총지출 증가율을 5.7% 규모로 정했다"면서 "규모 면으로는 약 20조 원 늘어나는 것으로 예상된다"고 최고위원회의에서 보고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총지출 증가율 4.0%를 초과하는 것이며, 2017년까지 정부의 중기재정운용계획에서 제시된 연평균 재정지출 증가율 3.5%도 크게 넘어서는 수준입니다.
최 부총리는 "재정 건전성에 대한 논란이 있을 수 있지만, 경제가 활력을 잃고 있는 만큼, 단기적인 재정 건전성이 조금 훼손되더라도, 경제를 회복시켜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이 같은 정부의 확장 재정 방침에 김무성 대표는 "공공기관과 공기업 부채까지 고려하면 재정건전성에 적신호가 온 것 아니냐"며 우려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경환 부총리가 미국의 경우 재정건전성 산출 때 공기업 부채를 포함시키지 않는다고 반박한 데 대해 김무성 대표는 공기업이 거의 없는 미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공기업이 많은 부채를 지고 있어 재정건전성 산출 때 공기업 부채를 넣어야 한다고 재반박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최 부총리는 "내년도 총지출 증가율을 5.7% 규모로 정했다"면서 "규모 면으로는 약 20조 원 늘어나는 것으로 예상된다"고 최고위원회의에서 보고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총지출 증가율 4.0%를 초과하는 것이며, 2017년까지 정부의 중기재정운용계획에서 제시된 연평균 재정지출 증가율 3.5%도 크게 넘어서는 수준입니다.
최 부총리는 "재정 건전성에 대한 논란이 있을 수 있지만, 경제가 활력을 잃고 있는 만큼, 단기적인 재정 건전성이 조금 훼손되더라도, 경제를 회복시켜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이 같은 정부의 확장 재정 방침에 김무성 대표는 "공공기관과 공기업 부채까지 고려하면 재정건전성에 적신호가 온 것 아니냐"며 우려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경환 부총리가 미국의 경우 재정건전성 산출 때 공기업 부채를 포함시키지 않는다고 반박한 데 대해 김무성 대표는 공기업이 거의 없는 미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공기업이 많은 부채를 지고 있어 재정건전성 산출 때 공기업 부채를 넣어야 한다고 재반박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최경환-김무성, 재정건전성 공방
-
- 입력 2014-09-11 18:54:42
- 수정2014-09-11 22:11:29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내년 예산안의 총지출 증가율을 5.7%로 잡았다고 새누리당 최고위원회의에 보고한 데 대해 김무성 대표 등 새누리당 지도부는 재정 건전성에 우려를 표시했습니다.
최 부총리는 "내년도 총지출 증가율을 5.7% 규모로 정했다"면서 "규모 면으로는 약 20조 원 늘어나는 것으로 예상된다"고 최고위원회의에서 보고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총지출 증가율 4.0%를 초과하는 것이며, 2017년까지 정부의 중기재정운용계획에서 제시된 연평균 재정지출 증가율 3.5%도 크게 넘어서는 수준입니다.
최 부총리는 "재정 건전성에 대한 논란이 있을 수 있지만, 경제가 활력을 잃고 있는 만큼, 단기적인 재정 건전성이 조금 훼손되더라도, 경제를 회복시켜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이 같은 정부의 확장 재정 방침에 김무성 대표는 "공공기관과 공기업 부채까지 고려하면 재정건전성에 적신호가 온 것 아니냐"며 우려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경환 부총리가 미국의 경우 재정건전성 산출 때 공기업 부채를 포함시키지 않는다고 반박한 데 대해 김무성 대표는 공기업이 거의 없는 미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공기업이 많은 부채를 지고 있어 재정건전성 산출 때 공기업 부채를 넣어야 한다고 재반박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최 부총리는 "내년도 총지출 증가율을 5.7% 규모로 정했다"면서 "규모 면으로는 약 20조 원 늘어나는 것으로 예상된다"고 최고위원회의에서 보고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총지출 증가율 4.0%를 초과하는 것이며, 2017년까지 정부의 중기재정운용계획에서 제시된 연평균 재정지출 증가율 3.5%도 크게 넘어서는 수준입니다.
최 부총리는 "재정 건전성에 대한 논란이 있을 수 있지만, 경제가 활력을 잃고 있는 만큼, 단기적인 재정 건전성이 조금 훼손되더라도, 경제를 회복시켜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이 같은 정부의 확장 재정 방침에 김무성 대표는 "공공기관과 공기업 부채까지 고려하면 재정건전성에 적신호가 온 것 아니냐"며 우려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경환 부총리가 미국의 경우 재정건전성 산출 때 공기업 부채를 포함시키지 않는다고 반박한 데 대해 김무성 대표는 공기업이 거의 없는 미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공기업이 많은 부채를 지고 있어 재정건전성 산출 때 공기업 부채를 넣어야 한다고 재반박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
-
이승철 기자 neost@kbs.co.kr
이승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