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3 남학생 4명 중 1명 흡연…“담배 구입 쉬워요”
입력 2014.09.23 (07:14)
수정 2014.09.23 (08: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우리 중고등학교 남학생들은 얼마나 담배를 피우는지 아십니까?
흡연율이 14%가 넘는데요, 정부는 담뱃값 인상안을 발표하면서 청소년 흡연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하지만 현장에서 만난 청소년들은 예상과는 다른 반응을 보였습니다.
이세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수업을 마친 고교생들이 후미진 골목길에서 담배를 피웁니다.
카메라가 다가가도 담배를 버리지 않습니다.
학생들은 위조된 주민등록증으로 담배를 구했다고 털어놨습니다.
<녹취> 청소년 흡연자 (음성변조) : "형이나 선배들끼리 인터넷에서도 쉽게 신분증 사고 팔 수 있어요. 민증은 3천원, 5천원 이런 식(이에요)."
학생들에게 담배사기 쉬운 곳으로 통하는 동네 가게.
주인은 담배를 건네주면서 주민등록증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녹취> 가게 주인 (음성변조) : "방금 그 학생은 왜 (신분증) 확인 안하셨어요? 얘는 단골이니까... 얼굴 익혔는데 (신분증) 보자고는 할 수 없는 거잖아요."
특히 냄새없는 전자담배는 선생님의 감시를 피할 수 있어 급속히 퍼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청소년 흡연자 (음성변조) : "학교에서 피워야 하니까요. (전자담배는) 냄새가 안 나니까 (선생님이) 못 보죠. 좀 달달한 향이 나니까 뭐 먹은 줄 알거 아냐?"
지난해 중고생 흡연율은 9.7%로 남학생은 14.4%에 달했고 특히 고3 남학생은 25%로 OECD 평균 성인 흡연율보다 높았습니다.
<인터뷰> 강상희(서대문보건소 금연상담사) : "많은 화학물질들이..쌓이게 되면 중독성을 많이 일으키기 때문에 오히려 더 성인이 돼서도 담배를 더 많이 피우게 되는거죠."
청소년들이 담배에 접근할 수 없도록 사회전체가 총체적 지혜를 모아야 합니다.
KBS 뉴스 이세연입니다.
우리 중고등학교 남학생들은 얼마나 담배를 피우는지 아십니까?
흡연율이 14%가 넘는데요, 정부는 담뱃값 인상안을 발표하면서 청소년 흡연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하지만 현장에서 만난 청소년들은 예상과는 다른 반응을 보였습니다.
이세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수업을 마친 고교생들이 후미진 골목길에서 담배를 피웁니다.
카메라가 다가가도 담배를 버리지 않습니다.
학생들은 위조된 주민등록증으로 담배를 구했다고 털어놨습니다.
<녹취> 청소년 흡연자 (음성변조) : "형이나 선배들끼리 인터넷에서도 쉽게 신분증 사고 팔 수 있어요. 민증은 3천원, 5천원 이런 식(이에요)."
학생들에게 담배사기 쉬운 곳으로 통하는 동네 가게.
주인은 담배를 건네주면서 주민등록증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녹취> 가게 주인 (음성변조) : "방금 그 학생은 왜 (신분증) 확인 안하셨어요? 얘는 단골이니까... 얼굴 익혔는데 (신분증) 보자고는 할 수 없는 거잖아요."
특히 냄새없는 전자담배는 선생님의 감시를 피할 수 있어 급속히 퍼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청소년 흡연자 (음성변조) : "학교에서 피워야 하니까요. (전자담배는) 냄새가 안 나니까 (선생님이) 못 보죠. 좀 달달한 향이 나니까 뭐 먹은 줄 알거 아냐?"
지난해 중고생 흡연율은 9.7%로 남학생은 14.4%에 달했고 특히 고3 남학생은 25%로 OECD 평균 성인 흡연율보다 높았습니다.
<인터뷰> 강상희(서대문보건소 금연상담사) : "많은 화학물질들이..쌓이게 되면 중독성을 많이 일으키기 때문에 오히려 더 성인이 돼서도 담배를 더 많이 피우게 되는거죠."
청소년들이 담배에 접근할 수 없도록 사회전체가 총체적 지혜를 모아야 합니다.
KBS 뉴스 이세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고3 남학생 4명 중 1명 흡연…“담배 구입 쉬워요”
-
- 입력 2014-09-23 07:16:23
- 수정2014-09-23 08:29:04

<앵커 멘트>
우리 중고등학교 남학생들은 얼마나 담배를 피우는지 아십니까?
흡연율이 14%가 넘는데요, 정부는 담뱃값 인상안을 발표하면서 청소년 흡연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하지만 현장에서 만난 청소년들은 예상과는 다른 반응을 보였습니다.
이세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수업을 마친 고교생들이 후미진 골목길에서 담배를 피웁니다.
카메라가 다가가도 담배를 버리지 않습니다.
학생들은 위조된 주민등록증으로 담배를 구했다고 털어놨습니다.
<녹취> 청소년 흡연자 (음성변조) : "형이나 선배들끼리 인터넷에서도 쉽게 신분증 사고 팔 수 있어요. 민증은 3천원, 5천원 이런 식(이에요)."
학생들에게 담배사기 쉬운 곳으로 통하는 동네 가게.
주인은 담배를 건네주면서 주민등록증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녹취> 가게 주인 (음성변조) : "방금 그 학생은 왜 (신분증) 확인 안하셨어요? 얘는 단골이니까... 얼굴 익혔는데 (신분증) 보자고는 할 수 없는 거잖아요."
특히 냄새없는 전자담배는 선생님의 감시를 피할 수 있어 급속히 퍼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청소년 흡연자 (음성변조) : "학교에서 피워야 하니까요. (전자담배는) 냄새가 안 나니까 (선생님이) 못 보죠. 좀 달달한 향이 나니까 뭐 먹은 줄 알거 아냐?"
지난해 중고생 흡연율은 9.7%로 남학생은 14.4%에 달했고 특히 고3 남학생은 25%로 OECD 평균 성인 흡연율보다 높았습니다.
<인터뷰> 강상희(서대문보건소 금연상담사) : "많은 화학물질들이..쌓이게 되면 중독성을 많이 일으키기 때문에 오히려 더 성인이 돼서도 담배를 더 많이 피우게 되는거죠."
청소년들이 담배에 접근할 수 없도록 사회전체가 총체적 지혜를 모아야 합니다.
KBS 뉴스 이세연입니다.
우리 중고등학교 남학생들은 얼마나 담배를 피우는지 아십니까?
흡연율이 14%가 넘는데요, 정부는 담뱃값 인상안을 발표하면서 청소년 흡연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하지만 현장에서 만난 청소년들은 예상과는 다른 반응을 보였습니다.
이세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수업을 마친 고교생들이 후미진 골목길에서 담배를 피웁니다.
카메라가 다가가도 담배를 버리지 않습니다.
학생들은 위조된 주민등록증으로 담배를 구했다고 털어놨습니다.
<녹취> 청소년 흡연자 (음성변조) : "형이나 선배들끼리 인터넷에서도 쉽게 신분증 사고 팔 수 있어요. 민증은 3천원, 5천원 이런 식(이에요)."
학생들에게 담배사기 쉬운 곳으로 통하는 동네 가게.
주인은 담배를 건네주면서 주민등록증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녹취> 가게 주인 (음성변조) : "방금 그 학생은 왜 (신분증) 확인 안하셨어요? 얘는 단골이니까... 얼굴 익혔는데 (신분증) 보자고는 할 수 없는 거잖아요."
특히 냄새없는 전자담배는 선생님의 감시를 피할 수 있어 급속히 퍼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청소년 흡연자 (음성변조) : "학교에서 피워야 하니까요. (전자담배는) 냄새가 안 나니까 (선생님이) 못 보죠. 좀 달달한 향이 나니까 뭐 먹은 줄 알거 아냐?"
지난해 중고생 흡연율은 9.7%로 남학생은 14.4%에 달했고 특히 고3 남학생은 25%로 OECD 평균 성인 흡연율보다 높았습니다.
<인터뷰> 강상희(서대문보건소 금연상담사) : "많은 화학물질들이..쌓이게 되면 중독성을 많이 일으키기 때문에 오히려 더 성인이 돼서도 담배를 더 많이 피우게 되는거죠."
청소년들이 담배에 접근할 수 없도록 사회전체가 총체적 지혜를 모아야 합니다.
KBS 뉴스 이세연입니다.
-
-
이세연 기자 say@kbs.co.kr
이세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