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쪽잠제도’, 6주간 당직 근무자 등 112명 이용
입력 2014.09.25 (07:17)
수정 2014.09.25 (09: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는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도입한 '쪽잠제도'를 이용한 직원이 6주간 112명으로 집계됐다고 25일 밝혔다.
'쪽잠제도'는 오후 1시부터 6시 사이에 휴식이 필요한 직원이 부서장 허락하에 30분에서 1시간 정도 휴식을 취하고, 그 시간만큼 저녁 시간에 더 근무하는 제도다.
8월 1일부터 9월 10일까지 이 제도를 이용한 112명 중에서는 전일 야근 및 밤샘근무자가 59명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감기 등 건강이 좋지 않은 직원 21명과 조기출근자 6명, 임산부 2명 등도 낮에 휴식을 취했다.
성별로는 남성이 69명, 여성이 41명이었다.
서울시는 "112명은 전체 시청 직원 9천888명의 1.1%이며, 건강관리와 피로 해소가 필요한 직원들이 제도를 집중적으로 이용했다"고 설명했다.
한 직원은 "결막염 증세 때문에 약 처방을 받았는데, 약을 복용하면 졸음이 몰려와서 업무에 집중하기가 힘들었다"며 "쪽잠제도로 1시간 휴식을 취했더니 눈의 통증과 졸림 증세가 완화돼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다"고 말했다.
김영환 서울시 인사과장은 "쪽잠제도는 휴식이 꼭 필요한 직원들이 당당하게 건강과 심신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제도"라며 "휴식공간을 확충하고 홍보활동을 강화해 제도가 정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쪽잠제도'는 오후 1시부터 6시 사이에 휴식이 필요한 직원이 부서장 허락하에 30분에서 1시간 정도 휴식을 취하고, 그 시간만큼 저녁 시간에 더 근무하는 제도다.
8월 1일부터 9월 10일까지 이 제도를 이용한 112명 중에서는 전일 야근 및 밤샘근무자가 59명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감기 등 건강이 좋지 않은 직원 21명과 조기출근자 6명, 임산부 2명 등도 낮에 휴식을 취했다.
성별로는 남성이 69명, 여성이 41명이었다.
서울시는 "112명은 전체 시청 직원 9천888명의 1.1%이며, 건강관리와 피로 해소가 필요한 직원들이 제도를 집중적으로 이용했다"고 설명했다.
한 직원은 "결막염 증세 때문에 약 처방을 받았는데, 약을 복용하면 졸음이 몰려와서 업무에 집중하기가 힘들었다"며 "쪽잠제도로 1시간 휴식을 취했더니 눈의 통증과 졸림 증세가 완화돼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다"고 말했다.
김영환 서울시 인사과장은 "쪽잠제도는 휴식이 꼭 필요한 직원들이 당당하게 건강과 심신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제도"라며 "휴식공간을 확충하고 홍보활동을 강화해 제도가 정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시 ‘쪽잠제도’, 6주간 당직 근무자 등 112명 이용
-
- 입력 2014-09-25 07:17:10
- 수정2014-09-25 09:52:21
서울시는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도입한 '쪽잠제도'를 이용한 직원이 6주간 112명으로 집계됐다고 25일 밝혔다.
'쪽잠제도'는 오후 1시부터 6시 사이에 휴식이 필요한 직원이 부서장 허락하에 30분에서 1시간 정도 휴식을 취하고, 그 시간만큼 저녁 시간에 더 근무하는 제도다.
8월 1일부터 9월 10일까지 이 제도를 이용한 112명 중에서는 전일 야근 및 밤샘근무자가 59명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감기 등 건강이 좋지 않은 직원 21명과 조기출근자 6명, 임산부 2명 등도 낮에 휴식을 취했다.
성별로는 남성이 69명, 여성이 41명이었다.
서울시는 "112명은 전체 시청 직원 9천888명의 1.1%이며, 건강관리와 피로 해소가 필요한 직원들이 제도를 집중적으로 이용했다"고 설명했다.
한 직원은 "결막염 증세 때문에 약 처방을 받았는데, 약을 복용하면 졸음이 몰려와서 업무에 집중하기가 힘들었다"며 "쪽잠제도로 1시간 휴식을 취했더니 눈의 통증과 졸림 증세가 완화돼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다"고 말했다.
김영환 서울시 인사과장은 "쪽잠제도는 휴식이 꼭 필요한 직원들이 당당하게 건강과 심신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제도"라며 "휴식공간을 확충하고 홍보활동을 강화해 제도가 정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쪽잠제도'는 오후 1시부터 6시 사이에 휴식이 필요한 직원이 부서장 허락하에 30분에서 1시간 정도 휴식을 취하고, 그 시간만큼 저녁 시간에 더 근무하는 제도다.
8월 1일부터 9월 10일까지 이 제도를 이용한 112명 중에서는 전일 야근 및 밤샘근무자가 59명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감기 등 건강이 좋지 않은 직원 21명과 조기출근자 6명, 임산부 2명 등도 낮에 휴식을 취했다.
성별로는 남성이 69명, 여성이 41명이었다.
서울시는 "112명은 전체 시청 직원 9천888명의 1.1%이며, 건강관리와 피로 해소가 필요한 직원들이 제도를 집중적으로 이용했다"고 설명했다.
한 직원은 "결막염 증세 때문에 약 처방을 받았는데, 약을 복용하면 졸음이 몰려와서 업무에 집중하기가 힘들었다"며 "쪽잠제도로 1시간 휴식을 취했더니 눈의 통증과 졸림 증세가 완화돼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다"고 말했다.
김영환 서울시 인사과장은 "쪽잠제도는 휴식이 꼭 필요한 직원들이 당당하게 건강과 심신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제도"라며 "휴식공간을 확충하고 홍보활동을 강화해 제도가 정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