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김정은, 금수산 참배 안한 듯…대북전단 살포 강행
입력 2014.10.10 (19:04) 수정 2014.10.10 (19:38) 뉴스 7
<앵커 멘트>
건강이상설에 휩싸인 북한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이 노동당 창건 기념일일 오늘도 공식석상에 등장하지 않았습니다.
탈북자 단체는 정부의 자제 요청에도 불구하고 대북전단을 날려 보냈습니다.
보도에 박진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북한의 조선중앙통신은 오늘 노동당 창건 69년을 맞아 당정군 고위 간부들이 금수산 태양궁전을 참배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 박봉주 내각 총리,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 등 핵심 인사들이 거명됐지만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의 이름은 빠졌습니다.
김정은은 집권 첫해인 2012년과 지난해에는 군 고위 간부들과 함께 금수산 태양 궁전을 참배했습니다.
37일째 공식석상에 나타나지 않고 있는 김정은이 당 창건일 기념행사에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건강이상설이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대해 통일부는 북한 내에서 김정은 리더십에 관련된 사항을 지속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점 등으로 봐서 김정은의 통치는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탈북자단체는 북한의 세습 체제를 비판하는 내용을 담은 대북 전단지 20만장을 풍선 10개에 매달아 북한으로 날려보냈습니다.
행사 전 통일부 담당 과장이 현장에 도착해 단체 대표에게 신중하고 현명한 판단을 바란다며 자제를 요청했지만 대북 전단 살포는 예정대로 강행됐습니다.
KBS 뉴스 박진희입니다.
건강이상설에 휩싸인 북한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이 노동당 창건 기념일일 오늘도 공식석상에 등장하지 않았습니다.
탈북자 단체는 정부의 자제 요청에도 불구하고 대북전단을 날려 보냈습니다.
보도에 박진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북한의 조선중앙통신은 오늘 노동당 창건 69년을 맞아 당정군 고위 간부들이 금수산 태양궁전을 참배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 박봉주 내각 총리,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 등 핵심 인사들이 거명됐지만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의 이름은 빠졌습니다.
김정은은 집권 첫해인 2012년과 지난해에는 군 고위 간부들과 함께 금수산 태양 궁전을 참배했습니다.
37일째 공식석상에 나타나지 않고 있는 김정은이 당 창건일 기념행사에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건강이상설이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대해 통일부는 북한 내에서 김정은 리더십에 관련된 사항을 지속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점 등으로 봐서 김정은의 통치는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탈북자단체는 북한의 세습 체제를 비판하는 내용을 담은 대북 전단지 20만장을 풍선 10개에 매달아 북한으로 날려보냈습니다.
행사 전 통일부 담당 과장이 현장에 도착해 단체 대표에게 신중하고 현명한 판단을 바란다며 자제를 요청했지만 대북 전단 살포는 예정대로 강행됐습니다.
KBS 뉴스 박진희입니다.
- 김정은, 금수산 참배 안한 듯…대북전단 살포 강행
-
- 입력 2014-10-10 19:06:18
- 수정2014-10-10 19:38:52

<앵커 멘트>
건강이상설에 휩싸인 북한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이 노동당 창건 기념일일 오늘도 공식석상에 등장하지 않았습니다.
탈북자 단체는 정부의 자제 요청에도 불구하고 대북전단을 날려 보냈습니다.
보도에 박진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북한의 조선중앙통신은 오늘 노동당 창건 69년을 맞아 당정군 고위 간부들이 금수산 태양궁전을 참배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 박봉주 내각 총리,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 등 핵심 인사들이 거명됐지만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의 이름은 빠졌습니다.
김정은은 집권 첫해인 2012년과 지난해에는 군 고위 간부들과 함께 금수산 태양 궁전을 참배했습니다.
37일째 공식석상에 나타나지 않고 있는 김정은이 당 창건일 기념행사에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건강이상설이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대해 통일부는 북한 내에서 김정은 리더십에 관련된 사항을 지속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점 등으로 봐서 김정은의 통치는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탈북자단체는 북한의 세습 체제를 비판하는 내용을 담은 대북 전단지 20만장을 풍선 10개에 매달아 북한으로 날려보냈습니다.
행사 전 통일부 담당 과장이 현장에 도착해 단체 대표에게 신중하고 현명한 판단을 바란다며 자제를 요청했지만 대북 전단 살포는 예정대로 강행됐습니다.
KBS 뉴스 박진희입니다.
건강이상설에 휩싸인 북한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이 노동당 창건 기념일일 오늘도 공식석상에 등장하지 않았습니다.
탈북자 단체는 정부의 자제 요청에도 불구하고 대북전단을 날려 보냈습니다.
보도에 박진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북한의 조선중앙통신은 오늘 노동당 창건 69년을 맞아 당정군 고위 간부들이 금수산 태양궁전을 참배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 박봉주 내각 총리,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 등 핵심 인사들이 거명됐지만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의 이름은 빠졌습니다.
김정은은 집권 첫해인 2012년과 지난해에는 군 고위 간부들과 함께 금수산 태양 궁전을 참배했습니다.
37일째 공식석상에 나타나지 않고 있는 김정은이 당 창건일 기념행사에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건강이상설이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대해 통일부는 북한 내에서 김정은 리더십에 관련된 사항을 지속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점 등으로 봐서 김정은의 통치는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탈북자단체는 북한의 세습 체제를 비판하는 내용을 담은 대북 전단지 20만장을 풍선 10개에 매달아 북한으로 날려보냈습니다.
행사 전 통일부 담당 과장이 현장에 도착해 단체 대표에게 신중하고 현명한 판단을 바란다며 자제를 요청했지만 대북 전단 살포는 예정대로 강행됐습니다.
KBS 뉴스 박진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 7 전체보기
- 기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