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년 70% “퇴직 후 쓸돈 부족…67세까지 일해야”

입력 2014.10.20 (11:08) 수정 2014.10.20 (16: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장년 구직자 10명중 7명은 은퇴후 쓸 돈을 마련하려면 67세까지 일해야 한다고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중소기업협력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22일 코엑스에서 열린 '2014 중장년 채용한마당'에 참가한 40세 이상의 중장년 구직자 948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이들의 69.1%가 퇴직 이후 쓸 자금이 부족하다고 응답했다.

은퇴 후 쓸 자금이 충분하다는 답변은 7.5%에 불과했다.

퇴직 이후 노후에 필요한 자금 마련을 위해 더 일해야 하는 연령으로 70.0%가 65∼70세를, 12.8%는 71세 이상을 꼽아 정년 퇴직 이후 10년 정도(평균 67.4세) 더 경제활동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장년은 퇴직이후 인생설계를 위한 사전준비 여부에 대해 65.3%가 별다른 준비를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인생 이모작'을 준비했다는 답변은 13.0%에 그쳤다.

퇴직 이후 경제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방편으로 이들 중장년은 재취업(72.3%)을 가장 많이 꼽았고 연금, 또는 퇴직금으로 유지(10.0%)하거나 창업(6.0%), 보유 자산 활용(5.8%), 귀농·귀촌(1.7%)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설문에 답한 중장년들은 재취업 희망조건으로 연봉 3천만원 이하(54.9%), 사무·관리직(38.0%), 사원급(30.7%)을 가장 많이 선호했다.

희망 연봉은 2천만원 내외(27.7%), 3천만원 안팎(27.2%), 4천만원 수준(20.7%), 5천만원 수준(17.3%) 순이었고 직급은 사원급(30.7%), 차·부장급(22.9%), 관계없음(21.6%), 임원급(17.1%) 순이었다.

박지영 전경련 선임컨설턴트는 "이들 중장년의 퇴직 당시 직책이 66.6%가 차장급 이상이고 평균연봉도 7천120만원이었음을 고려할 때 3천만원 이하의 사원급으로라도 재취업하겠다는 것은 그만큼 재취업 열의가 높음을 방증한다"고 말했다.

응답자들은 재취업의 가장 큰 걸림돌로 '능력보다 나이를 중시하는 사회풍토'(42.8%)와 '중장년 채용 수요 부족'(37.8%), '경력에 비해 낮은 임금과 처우'(10.1%), '본인의 직무 전문성 미흡'(6.3%) 등을 꼽았다.

채용박람회에서 면접을 봤던 대기업 출신 재무전문가 김모(57)씨는 "채용기업의 눈높이에 맞게 연봉을 낮추고 경력을 갖췄는데도 좀처럼 면접기회조차 오질 않았다"며 "업무능력보다 나이부터 따지는 기업마인드가 문제"라고 말했다.

전경련은 현재 운영하는 중장년 일자리 희망센터에 등록한 7천여명의 구직회원 가운데 대기업 경력자가 35.3%, 석·박사급 인력이 17.6%에 이르는 만큼 중소기업이 이를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장년 70% “퇴직 후 쓸돈 부족…67세까지 일해야”
    • 입력 2014-10-20 11:08:48
    • 수정2014-10-20 16:54:55
    연합뉴스
중장년 구직자 10명중 7명은 은퇴후 쓸 돈을 마련하려면 67세까지 일해야 한다고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중소기업협력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22일 코엑스에서 열린 '2014 중장년 채용한마당'에 참가한 40세 이상의 중장년 구직자 948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이들의 69.1%가 퇴직 이후 쓸 자금이 부족하다고 응답했다.

은퇴 후 쓸 자금이 충분하다는 답변은 7.5%에 불과했다.

퇴직 이후 노후에 필요한 자금 마련을 위해 더 일해야 하는 연령으로 70.0%가 65∼70세를, 12.8%는 71세 이상을 꼽아 정년 퇴직 이후 10년 정도(평균 67.4세) 더 경제활동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장년은 퇴직이후 인생설계를 위한 사전준비 여부에 대해 65.3%가 별다른 준비를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인생 이모작'을 준비했다는 답변은 13.0%에 그쳤다.

퇴직 이후 경제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방편으로 이들 중장년은 재취업(72.3%)을 가장 많이 꼽았고 연금, 또는 퇴직금으로 유지(10.0%)하거나 창업(6.0%), 보유 자산 활용(5.8%), 귀농·귀촌(1.7%)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설문에 답한 중장년들은 재취업 희망조건으로 연봉 3천만원 이하(54.9%), 사무·관리직(38.0%), 사원급(30.7%)을 가장 많이 선호했다.

희망 연봉은 2천만원 내외(27.7%), 3천만원 안팎(27.2%), 4천만원 수준(20.7%), 5천만원 수준(17.3%) 순이었고 직급은 사원급(30.7%), 차·부장급(22.9%), 관계없음(21.6%), 임원급(17.1%) 순이었다.

박지영 전경련 선임컨설턴트는 "이들 중장년의 퇴직 당시 직책이 66.6%가 차장급 이상이고 평균연봉도 7천120만원이었음을 고려할 때 3천만원 이하의 사원급으로라도 재취업하겠다는 것은 그만큼 재취업 열의가 높음을 방증한다"고 말했다.

응답자들은 재취업의 가장 큰 걸림돌로 '능력보다 나이를 중시하는 사회풍토'(42.8%)와 '중장년 채용 수요 부족'(37.8%), '경력에 비해 낮은 임금과 처우'(10.1%), '본인의 직무 전문성 미흡'(6.3%) 등을 꼽았다.

채용박람회에서 면접을 봤던 대기업 출신 재무전문가 김모(57)씨는 "채용기업의 눈높이에 맞게 연봉을 낮추고 경력을 갖췄는데도 좀처럼 면접기회조차 오질 않았다"며 "업무능력보다 나이부터 따지는 기업마인드가 문제"라고 말했다.

전경련은 현재 운영하는 중장년 일자리 희망센터에 등록한 7천여명의 구직회원 가운데 대기업 경력자가 35.3%, 석·박사급 인력이 17.6%에 이르는 만큼 중소기업이 이를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