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공무원연금 평균 수령액 284만 원…65만 원↑”
입력 2014.10.24 (10:06)
수정 2014.10.24 (16: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행 공무원연금 제도가 그대로 유지되면 6년 후에는 퇴직 공무원 1인당 평균수령액이 280만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조원진 의원이 공무원연금공단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현재 219만원인 1인당 월 평균수령액은 2020년에는 284만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공무원연금공단이 미래의 임금인상률과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이번 결과에서 퇴직 공무원의 월 평균수령액은 2016년 234만원, 2018년 260만원 등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정부가 공개한 공무원연금 개혁안을 적용하면 1인 평균수령액은 2020년에 268만원으로 현행 공무원연금제도에 비해 16만원 정도 적었습니다.
조 의원은 1인당 평균 수령액은 계속 증가하지만, 적자를 보전하는 국민의 부담은 갈수록 심각해진다며 공무원연금 개혁을 단행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조원진 의원이 공무원연금공단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현재 219만원인 1인당 월 평균수령액은 2020년에는 284만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공무원연금공단이 미래의 임금인상률과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이번 결과에서 퇴직 공무원의 월 평균수령액은 2016년 234만원, 2018년 260만원 등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정부가 공개한 공무원연금 개혁안을 적용하면 1인 평균수령액은 2020년에 268만원으로 현행 공무원연금제도에 비해 16만원 정도 적었습니다.
조 의원은 1인당 평균 수령액은 계속 증가하지만, 적자를 보전하는 국민의 부담은 갈수록 심각해진다며 공무원연금 개혁을 단행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020년 공무원연금 평균 수령액 284만 원…65만 원↑”
-
- 입력 2014-10-24 10:06:34
- 수정2014-10-24 16:12:11
현행 공무원연금 제도가 그대로 유지되면 6년 후에는 퇴직 공무원 1인당 평균수령액이 280만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조원진 의원이 공무원연금공단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현재 219만원인 1인당 월 평균수령액은 2020년에는 284만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공무원연금공단이 미래의 임금인상률과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이번 결과에서 퇴직 공무원의 월 평균수령액은 2016년 234만원, 2018년 260만원 등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정부가 공개한 공무원연금 개혁안을 적용하면 1인 평균수령액은 2020년에 268만원으로 현행 공무원연금제도에 비해 16만원 정도 적었습니다.
조 의원은 1인당 평균 수령액은 계속 증가하지만, 적자를 보전하는 국민의 부담은 갈수록 심각해진다며 공무원연금 개혁을 단행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조원진 의원이 공무원연금공단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현재 219만원인 1인당 월 평균수령액은 2020년에는 284만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공무원연금공단이 미래의 임금인상률과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이번 결과에서 퇴직 공무원의 월 평균수령액은 2016년 234만원, 2018년 260만원 등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정부가 공개한 공무원연금 개혁안을 적용하면 1인 평균수령액은 2020년에 268만원으로 현행 공무원연금제도에 비해 16만원 정도 적었습니다.
조 의원은 1인당 평균 수령액은 계속 증가하지만, 적자를 보전하는 국민의 부담은 갈수록 심각해진다며 공무원연금 개혁을 단행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
김민철 기자 mckim@kbs.co.kr
김민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