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북, 고위급접촉 재고 시사…당국 “분명한 입장 밝혀라”
입력 2014.10.28 (06:36) 수정 2014.10.28 (07:41)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전단 살포에 대한 남북 당국간 입장 대립이 2차 고위급 접촉 개최에 대한 신경전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북한이 고위급접촉을 재고할 수 있다는 취지의 전통문을 보내온데 대해 우리 정부는 이미 남북이 개최에 합의한 만큼 분명한 입장을 밝히라고 촉구했습니다.
유광석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25일 파주 임진각에서의 전단 살포가 무산된 뒤, 일부 보수단체 회원들은 김포로 옮겨 전단 2만 장을 살포했습니다.
북한은 전통문에서 바로 이 점을 문제 삼았습니다.
낮시간대 전단 살포는 무산됐지만 저녁 때 전단 살포를 우리 당국이 방임했다는 겁니다.
북한은 그러면서 남북관계 개선 분위기를 살리자는 자신들의 요구를 우리 정부가 달갑게 여기지 않고 있다며, 이런 분위기 속에서 고위급접촉이 이뤄질 수 있겠는가를 생각해봐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인터뷰> 문성묵(한국전략문제연구소 연구위원) : "대화를 매개로 해서 자기들이 원하는대로 남측 정부의 뜻을 돌리고자 하는 뜻이 있기 때문에 자기들의 목표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이에 대해 정부도 북에 전통문을 보내, 법적 근거 없이 민간단체의 활동을 통제할 수 없다는 기존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남북이 개최에 합의하고 우리 측이 일시와 장소를 제의한 2차 고위급접촉에 대한 입장부터 분명히 밝히라고 북한에 요구했습니다.
<녹취> 임병철(통일부 대변인) : "우리 정부는 일단 북한 입장 표명을 기다리고, 추가적으로 당장 현재 할 조치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전단살포에 대한 북한의 압박과 우리 정부의 고위급 접촉 합의 이행 요구가 팽팽히 맞서면서 양측의 신경전이 당분간 계속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유광석입니다.
전단 살포에 대한 남북 당국간 입장 대립이 2차 고위급 접촉 개최에 대한 신경전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북한이 고위급접촉을 재고할 수 있다는 취지의 전통문을 보내온데 대해 우리 정부는 이미 남북이 개최에 합의한 만큼 분명한 입장을 밝히라고 촉구했습니다.
유광석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25일 파주 임진각에서의 전단 살포가 무산된 뒤, 일부 보수단체 회원들은 김포로 옮겨 전단 2만 장을 살포했습니다.
북한은 전통문에서 바로 이 점을 문제 삼았습니다.
낮시간대 전단 살포는 무산됐지만 저녁 때 전단 살포를 우리 당국이 방임했다는 겁니다.
북한은 그러면서 남북관계 개선 분위기를 살리자는 자신들의 요구를 우리 정부가 달갑게 여기지 않고 있다며, 이런 분위기 속에서 고위급접촉이 이뤄질 수 있겠는가를 생각해봐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인터뷰> 문성묵(한국전략문제연구소 연구위원) : "대화를 매개로 해서 자기들이 원하는대로 남측 정부의 뜻을 돌리고자 하는 뜻이 있기 때문에 자기들의 목표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이에 대해 정부도 북에 전통문을 보내, 법적 근거 없이 민간단체의 활동을 통제할 수 없다는 기존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남북이 개최에 합의하고 우리 측이 일시와 장소를 제의한 2차 고위급접촉에 대한 입장부터 분명히 밝히라고 북한에 요구했습니다.
<녹취> 임병철(통일부 대변인) : "우리 정부는 일단 북한 입장 표명을 기다리고, 추가적으로 당장 현재 할 조치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전단살포에 대한 북한의 압박과 우리 정부의 고위급 접촉 합의 이행 요구가 팽팽히 맞서면서 양측의 신경전이 당분간 계속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유광석입니다.
- 북, 고위급접촉 재고 시사…당국 “분명한 입장 밝혀라”
-
- 입력 2014-10-28 06:37:35
- 수정2014-10-28 07:41:52

<앵커 멘트>
전단 살포에 대한 남북 당국간 입장 대립이 2차 고위급 접촉 개최에 대한 신경전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북한이 고위급접촉을 재고할 수 있다는 취지의 전통문을 보내온데 대해 우리 정부는 이미 남북이 개최에 합의한 만큼 분명한 입장을 밝히라고 촉구했습니다.
유광석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25일 파주 임진각에서의 전단 살포가 무산된 뒤, 일부 보수단체 회원들은 김포로 옮겨 전단 2만 장을 살포했습니다.
북한은 전통문에서 바로 이 점을 문제 삼았습니다.
낮시간대 전단 살포는 무산됐지만 저녁 때 전단 살포를 우리 당국이 방임했다는 겁니다.
북한은 그러면서 남북관계 개선 분위기를 살리자는 자신들의 요구를 우리 정부가 달갑게 여기지 않고 있다며, 이런 분위기 속에서 고위급접촉이 이뤄질 수 있겠는가를 생각해봐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인터뷰> 문성묵(한국전략문제연구소 연구위원) : "대화를 매개로 해서 자기들이 원하는대로 남측 정부의 뜻을 돌리고자 하는 뜻이 있기 때문에 자기들의 목표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이에 대해 정부도 북에 전통문을 보내, 법적 근거 없이 민간단체의 활동을 통제할 수 없다는 기존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남북이 개최에 합의하고 우리 측이 일시와 장소를 제의한 2차 고위급접촉에 대한 입장부터 분명히 밝히라고 북한에 요구했습니다.
<녹취> 임병철(통일부 대변인) : "우리 정부는 일단 북한 입장 표명을 기다리고, 추가적으로 당장 현재 할 조치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전단살포에 대한 북한의 압박과 우리 정부의 고위급 접촉 합의 이행 요구가 팽팽히 맞서면서 양측의 신경전이 당분간 계속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유광석입니다.
전단 살포에 대한 남북 당국간 입장 대립이 2차 고위급 접촉 개최에 대한 신경전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북한이 고위급접촉을 재고할 수 있다는 취지의 전통문을 보내온데 대해 우리 정부는 이미 남북이 개최에 합의한 만큼 분명한 입장을 밝히라고 촉구했습니다.
유광석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25일 파주 임진각에서의 전단 살포가 무산된 뒤, 일부 보수단체 회원들은 김포로 옮겨 전단 2만 장을 살포했습니다.
북한은 전통문에서 바로 이 점을 문제 삼았습니다.
낮시간대 전단 살포는 무산됐지만 저녁 때 전단 살포를 우리 당국이 방임했다는 겁니다.
북한은 그러면서 남북관계 개선 분위기를 살리자는 자신들의 요구를 우리 정부가 달갑게 여기지 않고 있다며, 이런 분위기 속에서 고위급접촉이 이뤄질 수 있겠는가를 생각해봐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인터뷰> 문성묵(한국전략문제연구소 연구위원) : "대화를 매개로 해서 자기들이 원하는대로 남측 정부의 뜻을 돌리고자 하는 뜻이 있기 때문에 자기들의 목표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이에 대해 정부도 북에 전통문을 보내, 법적 근거 없이 민간단체의 활동을 통제할 수 없다는 기존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남북이 개최에 합의하고 우리 측이 일시와 장소를 제의한 2차 고위급접촉에 대한 입장부터 분명히 밝히라고 북한에 요구했습니다.
<녹취> 임병철(통일부 대변인) : "우리 정부는 일단 북한 입장 표명을 기다리고, 추가적으로 당장 현재 할 조치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전단살포에 대한 북한의 압박과 우리 정부의 고위급 접촉 합의 이행 요구가 팽팽히 맞서면서 양측의 신경전이 당분간 계속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유광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광장 1부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유광석 기자 ksyoo@kbs.co.kr
유광석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