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일 온타케 화산 폭발 한달, 주민들 ‘토석류’ 공포
입력 2014.10.28 (09:51) 수정 2014.10.28 (10:03) 930뉴스
<앵커 멘트>
일본 온타케 화산이 폭발해 많은 인명피해를 낸 지 한 달이 지났습니다.
하지만 현지 주민들은 화산재 피해나 추가 폭발 우려 때문에 여전히 큰 불안감을 떨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도쿄 윤석구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사망자 57명에 실종자 6명. 일본에서 전후 가장 큰 화산폭발 피해를 낸 온타케산은 한달이 지난 지금도 분화활동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정상부근엔 100만톤이 넘는 화산재가 쌓인채 빗물과 함께 주변 강으로 계속 흘러내리고 있습니다.
주민들이 가장 걱정하는 건 폭우로 화산재와 빗물이 함께 쏟아져 내리는 토석류 피해입니다.
<녹취> 오오츠카 주민 : "비가 많이 와서 화산재 토석류가 마을을 덮치지 않을까 가장 걱정입니다."
또다른 우려는 분화활동을 계속 중인 온타케산의 추가 폭발 가능성입니다.
전문가들은 겨울철 온타케산이 용암폭발을 일으킬 경우 화산재와 용암이 대량의 눈과 섞여 큰 피해를 낼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실제로 1926년 홋카이도도카치산에선 이같은 화산폭발로 토석류가 불과 25분만에 주변마을을 덮쳐 144명의 인명피해를 냈습니다.
<녹취> 마에노(도쿄대 화산연구센터 교수) : "수증기 분화가 용암폭발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어 온타케산을 면밀히 관측할 필요가 있습니다."
주변 자치단체들은 토석류 감시용 카메라를 설치하거나 사방댐을 정비하는 등 재해방지 대책을 서두르고 있지만 주민들의 불안감은 여전한 상황입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윤석구입니다.
일본 온타케 화산이 폭발해 많은 인명피해를 낸 지 한 달이 지났습니다.
하지만 현지 주민들은 화산재 피해나 추가 폭발 우려 때문에 여전히 큰 불안감을 떨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도쿄 윤석구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사망자 57명에 실종자 6명. 일본에서 전후 가장 큰 화산폭발 피해를 낸 온타케산은 한달이 지난 지금도 분화활동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정상부근엔 100만톤이 넘는 화산재가 쌓인채 빗물과 함께 주변 강으로 계속 흘러내리고 있습니다.
주민들이 가장 걱정하는 건 폭우로 화산재와 빗물이 함께 쏟아져 내리는 토석류 피해입니다.
<녹취> 오오츠카 주민 : "비가 많이 와서 화산재 토석류가 마을을 덮치지 않을까 가장 걱정입니다."
또다른 우려는 분화활동을 계속 중인 온타케산의 추가 폭발 가능성입니다.
전문가들은 겨울철 온타케산이 용암폭발을 일으킬 경우 화산재와 용암이 대량의 눈과 섞여 큰 피해를 낼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실제로 1926년 홋카이도도카치산에선 이같은 화산폭발로 토석류가 불과 25분만에 주변마을을 덮쳐 144명의 인명피해를 냈습니다.
<녹취> 마에노(도쿄대 화산연구센터 교수) : "수증기 분화가 용암폭발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어 온타케산을 면밀히 관측할 필요가 있습니다."
주변 자치단체들은 토석류 감시용 카메라를 설치하거나 사방댐을 정비하는 등 재해방지 대책을 서두르고 있지만 주민들의 불안감은 여전한 상황입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윤석구입니다.
- 일 온타케 화산 폭발 한달, 주민들 ‘토석류’ 공포
-
- 입력 2014-10-28 09:52:49
- 수정2014-10-28 10:03:39

<앵커 멘트>
일본 온타케 화산이 폭발해 많은 인명피해를 낸 지 한 달이 지났습니다.
하지만 현지 주민들은 화산재 피해나 추가 폭발 우려 때문에 여전히 큰 불안감을 떨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도쿄 윤석구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사망자 57명에 실종자 6명. 일본에서 전후 가장 큰 화산폭발 피해를 낸 온타케산은 한달이 지난 지금도 분화활동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정상부근엔 100만톤이 넘는 화산재가 쌓인채 빗물과 함께 주변 강으로 계속 흘러내리고 있습니다.
주민들이 가장 걱정하는 건 폭우로 화산재와 빗물이 함께 쏟아져 내리는 토석류 피해입니다.
<녹취> 오오츠카 주민 : "비가 많이 와서 화산재 토석류가 마을을 덮치지 않을까 가장 걱정입니다."
또다른 우려는 분화활동을 계속 중인 온타케산의 추가 폭발 가능성입니다.
전문가들은 겨울철 온타케산이 용암폭발을 일으킬 경우 화산재와 용암이 대량의 눈과 섞여 큰 피해를 낼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실제로 1926년 홋카이도도카치산에선 이같은 화산폭발로 토석류가 불과 25분만에 주변마을을 덮쳐 144명의 인명피해를 냈습니다.
<녹취> 마에노(도쿄대 화산연구센터 교수) : "수증기 분화가 용암폭발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어 온타케산을 면밀히 관측할 필요가 있습니다."
주변 자치단체들은 토석류 감시용 카메라를 설치하거나 사방댐을 정비하는 등 재해방지 대책을 서두르고 있지만 주민들의 불안감은 여전한 상황입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윤석구입니다.
일본 온타케 화산이 폭발해 많은 인명피해를 낸 지 한 달이 지났습니다.
하지만 현지 주민들은 화산재 피해나 추가 폭발 우려 때문에 여전히 큰 불안감을 떨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도쿄 윤석구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사망자 57명에 실종자 6명. 일본에서 전후 가장 큰 화산폭발 피해를 낸 온타케산은 한달이 지난 지금도 분화활동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정상부근엔 100만톤이 넘는 화산재가 쌓인채 빗물과 함께 주변 강으로 계속 흘러내리고 있습니다.
주민들이 가장 걱정하는 건 폭우로 화산재와 빗물이 함께 쏟아져 내리는 토석류 피해입니다.
<녹취> 오오츠카 주민 : "비가 많이 와서 화산재 토석류가 마을을 덮치지 않을까 가장 걱정입니다."
또다른 우려는 분화활동을 계속 중인 온타케산의 추가 폭발 가능성입니다.
전문가들은 겨울철 온타케산이 용암폭발을 일으킬 경우 화산재와 용암이 대량의 눈과 섞여 큰 피해를 낼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실제로 1926년 홋카이도도카치산에선 이같은 화산폭발로 토석류가 불과 25분만에 주변마을을 덮쳐 144명의 인명피해를 냈습니다.
<녹취> 마에노(도쿄대 화산연구센터 교수) : "수증기 분화가 용암폭발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어 온타케산을 면밀히 관측할 필요가 있습니다."
주변 자치단체들은 토석류 감시용 카메라를 설치하거나 사방댐을 정비하는 등 재해방지 대책을 서두르고 있지만 주민들의 불안감은 여전한 상황입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윤석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930뉴스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윤석구 기자 sukkoo@kbs.co.kr
윤석구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