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와 기업, 국가 등 한국 경제 주체의 빚이 국제 기구의 채무 부담 임계치 기준을 넘어섰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이한구 의원이 분석한 자료를 보면 지난해 말 현재 개인과 기업, 국가의 명목 국내총생산 대비 부채 비율이 세계경제포럼 기준의 채무부담 임계치보다 10~46% 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말 현재 개인 부채는 1,219조 원, 명목 GDP의 85.4%로 세계경제포럼 기준 개인채무 임계치 75%보다 10% 포인트 정도 높았습니다.
기업의 부채는 1,810조 원, 명목 GDP의 126.8% 수준으로 세계경제포럼 기준 80%보다 46% 포인트 많았습니다.
공공기관 부채와 공무원 연금 등 국가가 책임져야 할 부채는 1,641조원, GDP 대비 114.9% 수준으로 역시 세계경제포럼 기준 임계치 90%보다 높았습니다.
이 의원은 내수가 부진한 상황에서 부채 조정이 이뤄지면 소비와 투자의 둔화가 심해진다고 지적했습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이한구 의원이 분석한 자료를 보면 지난해 말 현재 개인과 기업, 국가의 명목 국내총생산 대비 부채 비율이 세계경제포럼 기준의 채무부담 임계치보다 10~46% 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말 현재 개인 부채는 1,219조 원, 명목 GDP의 85.4%로 세계경제포럼 기준 개인채무 임계치 75%보다 10% 포인트 정도 높았습니다.
기업의 부채는 1,810조 원, 명목 GDP의 126.8% 수준으로 세계경제포럼 기준 80%보다 46% 포인트 많았습니다.
공공기관 부채와 공무원 연금 등 국가가 책임져야 할 부채는 1,641조원, GDP 대비 114.9% 수준으로 역시 세계경제포럼 기준 임계치 90%보다 높았습니다.
이 의원은 내수가 부진한 상황에서 부채 조정이 이뤄지면 소비와 투자의 둔화가 심해진다고 지적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계, 기업, 국가부채 임계치 초과”
-
- 입력 2014-10-28 14:14:25
가계와 기업, 국가 등 한국 경제 주체의 빚이 국제 기구의 채무 부담 임계치 기준을 넘어섰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이한구 의원이 분석한 자료를 보면 지난해 말 현재 개인과 기업, 국가의 명목 국내총생산 대비 부채 비율이 세계경제포럼 기준의 채무부담 임계치보다 10~46% 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말 현재 개인 부채는 1,219조 원, 명목 GDP의 85.4%로 세계경제포럼 기준 개인채무 임계치 75%보다 10% 포인트 정도 높았습니다.
기업의 부채는 1,810조 원, 명목 GDP의 126.8% 수준으로 세계경제포럼 기준 80%보다 46% 포인트 많았습니다.
공공기관 부채와 공무원 연금 등 국가가 책임져야 할 부채는 1,641조원, GDP 대비 114.9% 수준으로 역시 세계경제포럼 기준 임계치 90%보다 높았습니다.
이 의원은 내수가 부진한 상황에서 부채 조정이 이뤄지면 소비와 투자의 둔화가 심해진다고 지적했습니다.
-
-
박진영 기자 parkjy@kbs.co.kr
박진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