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총리 “공무원연금 개혁 미룰 수 없어…집단 행동 자제”
입력 2014.11.06 (09:57)
수정 2014.11.06 (19: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홍원 국무총리가 공무원연금 개혁을 더 이상 미룰 수 없으며 공무원들이 집단 행동을 자제해야 한다는 내용의 대국민 담화를 발표했습니다.
정 총리는 오늘 오전 정부 서울청사에서 발표한 담화에서 "공무원 연금 개혁을 미루기에는 상황이 너무 절박하고 국민의 우려와 비판의 목소리도 높다"며 연금 개혁에 협력해 달라고 촉구했습니다.
정 총리는 "공무원 연금 제도를 이대로 두면 향후 20년 간 재정적자가 2백 조 원에 이르고, 10년 후에는 한 해 10조 원, 20년 후에는 17조 원에 달하는 적자를 국민 혈세로 충당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또 공무원 연금 개시 연령도 국민연금 65세보다 5년이 빠르다며 다른 연금과의 형평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정 총리는 국가의 미래를 위해 공무원 연금개혁의 과감할 결단을 내릴 때라며, 대신 승진기회 확대 등 처우와 근무 여건을 개선하는 데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공무원의 집단 행동은 자제해야 한다며, 공무원들이 대승적 차원에서 연금개혁에 협력해 달라고 강조했습니다.
정 총리는 오늘 오전 정부 서울청사에서 발표한 담화에서 "공무원 연금 개혁을 미루기에는 상황이 너무 절박하고 국민의 우려와 비판의 목소리도 높다"며 연금 개혁에 협력해 달라고 촉구했습니다.
정 총리는 "공무원 연금 제도를 이대로 두면 향후 20년 간 재정적자가 2백 조 원에 이르고, 10년 후에는 한 해 10조 원, 20년 후에는 17조 원에 달하는 적자를 국민 혈세로 충당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또 공무원 연금 개시 연령도 국민연금 65세보다 5년이 빠르다며 다른 연금과의 형평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정 총리는 국가의 미래를 위해 공무원 연금개혁의 과감할 결단을 내릴 때라며, 대신 승진기회 확대 등 처우와 근무 여건을 개선하는 데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공무원의 집단 행동은 자제해야 한다며, 공무원들이 대승적 차원에서 연금개혁에 협력해 달라고 강조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 총리 “공무원연금 개혁 미룰 수 없어…집단 행동 자제”
-
- 입력 2014-11-06 09:57:34
- 수정2014-11-06 19:11:17
정홍원 국무총리가 공무원연금 개혁을 더 이상 미룰 수 없으며 공무원들이 집단 행동을 자제해야 한다는 내용의 대국민 담화를 발표했습니다.
정 총리는 오늘 오전 정부 서울청사에서 발표한 담화에서 "공무원 연금 개혁을 미루기에는 상황이 너무 절박하고 국민의 우려와 비판의 목소리도 높다"며 연금 개혁에 협력해 달라고 촉구했습니다.
정 총리는 "공무원 연금 제도를 이대로 두면 향후 20년 간 재정적자가 2백 조 원에 이르고, 10년 후에는 한 해 10조 원, 20년 후에는 17조 원에 달하는 적자를 국민 혈세로 충당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또 공무원 연금 개시 연령도 국민연금 65세보다 5년이 빠르다며 다른 연금과의 형평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정 총리는 국가의 미래를 위해 공무원 연금개혁의 과감할 결단을 내릴 때라며, 대신 승진기회 확대 등 처우와 근무 여건을 개선하는 데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공무원의 집단 행동은 자제해야 한다며, 공무원들이 대승적 차원에서 연금개혁에 협력해 달라고 강조했습니다.
정 총리는 오늘 오전 정부 서울청사에서 발표한 담화에서 "공무원 연금 개혁을 미루기에는 상황이 너무 절박하고 국민의 우려와 비판의 목소리도 높다"며 연금 개혁에 협력해 달라고 촉구했습니다.
정 총리는 "공무원 연금 제도를 이대로 두면 향후 20년 간 재정적자가 2백 조 원에 이르고, 10년 후에는 한 해 10조 원, 20년 후에는 17조 원에 달하는 적자를 국민 혈세로 충당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또 공무원 연금 개시 연령도 국민연금 65세보다 5년이 빠르다며 다른 연금과의 형평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정 총리는 국가의 미래를 위해 공무원 연금개혁의 과감할 결단을 내릴 때라며, 대신 승진기회 확대 등 처우와 근무 여건을 개선하는 데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공무원의 집단 행동은 자제해야 한다며, 공무원들이 대승적 차원에서 연금개혁에 협력해 달라고 강조했습니다.
-
-
이정민 기자 mani@kbs.co.kr
이정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