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아웃렛 건설 붐…지역상권 파탄 위기

입력 2014.11.06 (21:12) 수정 2014.11.06 (22: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자 멘트>

아웃렛에 가보셨습니까?

2007년 경기도 여주를 시작으로 롯데와 신세계, 두 유통 공룡의 아웃렛 전쟁이 시작됩니다.

고가 수입품을 싸게 판다는 자칭 '프리미엄' 아웃렛만 현재 여주와 파주, 이천 등에 6갭니다.

현대백화점이 가세해 이른바 유통 '빅 3'가 새로 짓고 있는 프리미엄 아웃렛도 7개나 됩니다.

일반 도심형 아웃렛까지 더하면 2020년까지 전국에 아웃렛만 20곳이 넘게 되는데요,

이렇게 요충지마다 아웃렛 깃발꽂기 경쟁이 붙은 건 대형마트와 백화점 매출이 제자리걸음인데 반해 아웃렛은 해마다 30% 넘게 성장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이게 소비자들에게도 반가운 일일까요?

해당 지역 상권은 어떨까요?

▼ ‘우후죽순’ 아울렛에 지역 상권은 초토화 ▼

<리포트>

국내 최대라는 프리미엄 아웃렛, 하지만 매장 370여개 가운데 해외 유명 브랜드는 10% 남짓입니다.

<녹취> 해외 고가 의류 브랜드 관계자(음성변조) : "(아웃렛이)우후죽순으로 막 생기다보면 들어갈 수 있는 물량 자체가 저희가 없다 보니까..."

진열된 상품들은 대부분 국내 중저가 브랜드.

가을 신상품이라는 양복 한 벌을 고른 뒤 같은 품번을 백화점에서 확인해봤습니다.

<녹취> 백화점 남성의류매장 직원(음성변조) : "(백화점도) 다 들어가 있다고 했을텐데, 아웃렛 쪽하고 백화점 쪽하고 상품 자체가 아예 달라요."

아예 처음부터 아웃렛용으로 따로 만든 기획상품이란 얘깁니다.

파주 아웃렛에서 불과 7킬로미터 거리, 이곳은 2천년대 초반 중소상인들이 모여 만든 의류 상설할인매장 단지인데요,

10여 년 동안은 호황을 이뤘습니다.

하지만 3~4년 전부터는 인근 지역에 대형 유통업체들의 아웃렛들이 잇따라 들어서면서 빈 점포들이 늘어가고 있습니다.

전체 2백여 개 점포 가운데 문을 닫은 곳이 40여 개, 20%에 달합니다.

<인터뷰> 김종생(고양시 소상공인협동조합 이사) : "권리금이 2억 원 이상 다 붙어있던 가게들이 지금은 권리금이 없어도 여기 들어오기를 꺼려하고..."

파주 도심 상가들도 비슷한 시기 평균 매출이 40% 넘게 줄었습니다.

이 때문에 아웃렛이 새로 들어설 전남 여수 등지에서는 상인들의 반대 시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녹취> " 반대한다! 반대한다! "

▼ 유치만 하면 끝?…눈 감은 지자체 ▼

대형 아웃렛에 들어서면 길 찾기도 쉽지 않죠.

동네 상인들은 경쟁할 엄두가 안 날 정도로 규모가 큽니다.

이천시는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며 이 아웃렛을 유치했습니다.

당시 상권 영향 분석 보고서 볼까요?

수입 고가품 중심이면 지역 상권에 미치는 영향이 작겠지만 국내 브랜드가 출점하면 지역상권을 최고 30% 정도 잠식할 수도 있다"고 경고합니다.

그래서 사업자측은 이천시에 "지역 상권과 중복되지 않는 해외 고가 브랜드 입점시켜서 상생모델을 만든다"고 약속했고 위반시에는 10억 원의 위약금을 물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사업권이 롯데에 넘어간뒤 이행확약서는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

파주에 있는 아웃렛은 국가산업단지 안에 입점해 있는데 산업단지공단이 왜 입주를 허가했는지 불투명합니다.

입점과정이 석연치 않은데다 지역 상권의 반발도 거세지고 있는데요,

아웃렛과 지역 상권의 갈등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유지향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소상공인 보호 대책 마련 시급 ▼

<리포트>

미국 LA에서 140km 떨어진 사막 한 가운데 아웃렛에 있습니다.

연간 방문객은 약 천만 명. 이 가운데 관광객이 70%를 넘습니다.

기존 상권을 침해하지 않으면서 지역 경제를 활성한 모범 사례로 꼽힙니다.

독일에서는 주변 소상공인 매출이 10% 이상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면 아웃렛 허가를 내주지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고용창출 등을 약속만 하면 상권영향 분석도 없이 입점 허가를 내줬습니다.

<인터뷰> 이준협(롯데백화점 영업3본부 팀장) : "신규점을 열 때마다 오픈 두 달 전부터 채용박람회를 통해서 (지역) 현지인들 채용을 우선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관련법을 고쳐 영업 시작전 상권 영향분석을 의무화했지만 사업자에게 맡겨 요식행위라는 비판이 나옵니다.

<인터뷰> 이정희(중앙대 경제학과 교수) : "상권 영향분석은) 사업자한테만 맡겨둘 부분이 아니고 지자체가 직접 관여해서 좀 더 객관적인 측면에서 잘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지역 상권을 위협하는 아웃렛, 무분별한 확장을 막을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뉴스] 아웃렛 건설 붐…지역상권 파탄 위기
    • 입력 2014-11-06 21:18:12
    • 수정2014-11-06 22:27:27
    뉴스 9
<기자 멘트>

아웃렛에 가보셨습니까?

2007년 경기도 여주를 시작으로 롯데와 신세계, 두 유통 공룡의 아웃렛 전쟁이 시작됩니다.

고가 수입품을 싸게 판다는 자칭 '프리미엄' 아웃렛만 현재 여주와 파주, 이천 등에 6갭니다.

현대백화점이 가세해 이른바 유통 '빅 3'가 새로 짓고 있는 프리미엄 아웃렛도 7개나 됩니다.

일반 도심형 아웃렛까지 더하면 2020년까지 전국에 아웃렛만 20곳이 넘게 되는데요,

이렇게 요충지마다 아웃렛 깃발꽂기 경쟁이 붙은 건 대형마트와 백화점 매출이 제자리걸음인데 반해 아웃렛은 해마다 30% 넘게 성장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이게 소비자들에게도 반가운 일일까요?

해당 지역 상권은 어떨까요?

▼ ‘우후죽순’ 아울렛에 지역 상권은 초토화 ▼

<리포트>

국내 최대라는 프리미엄 아웃렛, 하지만 매장 370여개 가운데 해외 유명 브랜드는 10% 남짓입니다.

<녹취> 해외 고가 의류 브랜드 관계자(음성변조) : "(아웃렛이)우후죽순으로 막 생기다보면 들어갈 수 있는 물량 자체가 저희가 없다 보니까..."

진열된 상품들은 대부분 국내 중저가 브랜드.

가을 신상품이라는 양복 한 벌을 고른 뒤 같은 품번을 백화점에서 확인해봤습니다.

<녹취> 백화점 남성의류매장 직원(음성변조) : "(백화점도) 다 들어가 있다고 했을텐데, 아웃렛 쪽하고 백화점 쪽하고 상품 자체가 아예 달라요."

아예 처음부터 아웃렛용으로 따로 만든 기획상품이란 얘깁니다.

파주 아웃렛에서 불과 7킬로미터 거리, 이곳은 2천년대 초반 중소상인들이 모여 만든 의류 상설할인매장 단지인데요,

10여 년 동안은 호황을 이뤘습니다.

하지만 3~4년 전부터는 인근 지역에 대형 유통업체들의 아웃렛들이 잇따라 들어서면서 빈 점포들이 늘어가고 있습니다.

전체 2백여 개 점포 가운데 문을 닫은 곳이 40여 개, 20%에 달합니다.

<인터뷰> 김종생(고양시 소상공인협동조합 이사) : "권리금이 2억 원 이상 다 붙어있던 가게들이 지금은 권리금이 없어도 여기 들어오기를 꺼려하고..."

파주 도심 상가들도 비슷한 시기 평균 매출이 40% 넘게 줄었습니다.

이 때문에 아웃렛이 새로 들어설 전남 여수 등지에서는 상인들의 반대 시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녹취> " 반대한다! 반대한다! "

▼ 유치만 하면 끝?…눈 감은 지자체 ▼

대형 아웃렛에 들어서면 길 찾기도 쉽지 않죠.

동네 상인들은 경쟁할 엄두가 안 날 정도로 규모가 큽니다.

이천시는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며 이 아웃렛을 유치했습니다.

당시 상권 영향 분석 보고서 볼까요?

수입 고가품 중심이면 지역 상권에 미치는 영향이 작겠지만 국내 브랜드가 출점하면 지역상권을 최고 30% 정도 잠식할 수도 있다"고 경고합니다.

그래서 사업자측은 이천시에 "지역 상권과 중복되지 않는 해외 고가 브랜드 입점시켜서 상생모델을 만든다"고 약속했고 위반시에는 10억 원의 위약금을 물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사업권이 롯데에 넘어간뒤 이행확약서는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

파주에 있는 아웃렛은 국가산업단지 안에 입점해 있는데 산업단지공단이 왜 입주를 허가했는지 불투명합니다.

입점과정이 석연치 않은데다 지역 상권의 반발도 거세지고 있는데요,

아웃렛과 지역 상권의 갈등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유지향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소상공인 보호 대책 마련 시급 ▼

<리포트>

미국 LA에서 140km 떨어진 사막 한 가운데 아웃렛에 있습니다.

연간 방문객은 약 천만 명. 이 가운데 관광객이 70%를 넘습니다.

기존 상권을 침해하지 않으면서 지역 경제를 활성한 모범 사례로 꼽힙니다.

독일에서는 주변 소상공인 매출이 10% 이상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면 아웃렛 허가를 내주지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고용창출 등을 약속만 하면 상권영향 분석도 없이 입점 허가를 내줬습니다.

<인터뷰> 이준협(롯데백화점 영업3본부 팀장) : "신규점을 열 때마다 오픈 두 달 전부터 채용박람회를 통해서 (지역) 현지인들 채용을 우선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관련법을 고쳐 영업 시작전 상권 영향분석을 의무화했지만 사업자에게 맡겨 요식행위라는 비판이 나옵니다.

<인터뷰> 이정희(중앙대 경제학과 교수) : "상권 영향분석은) 사업자한테만 맡겨둘 부분이 아니고 지자체가 직접 관여해서 좀 더 객관적인 측면에서 잘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지역 상권을 위협하는 아웃렛, 무분별한 확장을 막을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