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 언론도 강제북송 중 탈출 북 유학생 사건 큰 관심
입력 2014.11.22 (03:30)
수정 2014.11.22 (10: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랑스 파리에서 유학하던 북한 대학생이 강제 북송 과정에서 탈출해 은신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현지 주요 언론들도 이번 사건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현지 일간지 르몽드는 21일(현지시간) '파리에서 북한 학생 피랍'이라는 제목의 인터넷판 기사에서 북한 유학생 한 모 씨 사건을 다뤘다.
이 기사를 작성한 르몽드 기자들은 자신들의 취재 정보에 따르면 "한 씨가 이달 초 파리에서 아시아인들에게 납치를 당했다"면서 "북한 비밀요원들이 개입했을 것으로 보이나 확인되지는 않았다"고 적었다.
르몽드는 이어 "북한으로 강제 송환 당하던 한 씨가 파리 공항으로 가던 중 달아나는데 성공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한 씨가 아직 도주 중인지, 아니면 다시 잡혔는지, 프랑스나 한국 당국에 몸을 피했는지 한국 언론들이 궁금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파리 라빌레트 건축학교에 다니던 한 씨는 이달 초 파리에서 북한 호송조에 붙잡혀 공항으로 끌려가다가 극적으로 탈출해 현재 모처에 숨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일간지 르파리지앵도 이날 16면 '파리에서 북한 학생 이상한 실종'이라는 제목의 기사로 한 씨 사건을 소개했다.
르파리지앵은 이번 사건을 최초 보도한 연합뉴스를 인용하면서 "3년 전부터 파리에서 공부하는 북한 학생을 북한 당국이 납치한 것으로 의심받고 있다"고 전했다.
라빌레트 건축학교 관계자는 이 신문과 인터뷰에서 "종종 정장 차림의 아시아인이 학교에 왔다"면서 "한 번은 파리 북한 대표부 관계자가 찾아와서는 낙제한 학생 대신 시험을 볼 수 있게 해달라고 했는데 그 학생을 이후로 다시 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 신문은 프랑스 경찰이 지난 14일 한 씨가 다니는 학교에 와서 한 씨 소재를 물은 이후 다른 9명의 북한 학생들도 사라졌다가 다시 정상적으로 학교에 다니고 있다고 보도했다.
주간지 렉스프레스도 "라빌레트 건축학교에서 공부하는 북한 학생이 2주 전에 사라졌다"면서 파리 검찰이 '우려스러운 실종' 사건 조사를 시작했다고 전했다.
AFP 통신도 이날 소식통을 인용해 파리 검찰이 북한 학생 잠적 사건을 조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북한 고위층이었던 한 씨 아버지는 '장성택 잔재 청산' 일환으로 숙청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씨도 이달 초 북한 호송조에 붙잡혀 공항으로 끌려가다 송환되면 처형될 위험을 느끼고 탈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지 일간지 르몽드는 21일(현지시간) '파리에서 북한 학생 피랍'이라는 제목의 인터넷판 기사에서 북한 유학생 한 모 씨 사건을 다뤘다.
이 기사를 작성한 르몽드 기자들은 자신들의 취재 정보에 따르면 "한 씨가 이달 초 파리에서 아시아인들에게 납치를 당했다"면서 "북한 비밀요원들이 개입했을 것으로 보이나 확인되지는 않았다"고 적었다.
르몽드는 이어 "북한으로 강제 송환 당하던 한 씨가 파리 공항으로 가던 중 달아나는데 성공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한 씨가 아직 도주 중인지, 아니면 다시 잡혔는지, 프랑스나 한국 당국에 몸을 피했는지 한국 언론들이 궁금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파리 라빌레트 건축학교에 다니던 한 씨는 이달 초 파리에서 북한 호송조에 붙잡혀 공항으로 끌려가다가 극적으로 탈출해 현재 모처에 숨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일간지 르파리지앵도 이날 16면 '파리에서 북한 학생 이상한 실종'이라는 제목의 기사로 한 씨 사건을 소개했다.
르파리지앵은 이번 사건을 최초 보도한 연합뉴스를 인용하면서 "3년 전부터 파리에서 공부하는 북한 학생을 북한 당국이 납치한 것으로 의심받고 있다"고 전했다.
라빌레트 건축학교 관계자는 이 신문과 인터뷰에서 "종종 정장 차림의 아시아인이 학교에 왔다"면서 "한 번은 파리 북한 대표부 관계자가 찾아와서는 낙제한 학생 대신 시험을 볼 수 있게 해달라고 했는데 그 학생을 이후로 다시 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 신문은 프랑스 경찰이 지난 14일 한 씨가 다니는 학교에 와서 한 씨 소재를 물은 이후 다른 9명의 북한 학생들도 사라졌다가 다시 정상적으로 학교에 다니고 있다고 보도했다.
주간지 렉스프레스도 "라빌레트 건축학교에서 공부하는 북한 학생이 2주 전에 사라졌다"면서 파리 검찰이 '우려스러운 실종' 사건 조사를 시작했다고 전했다.
AFP 통신도 이날 소식통을 인용해 파리 검찰이 북한 학생 잠적 사건을 조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북한 고위층이었던 한 씨 아버지는 '장성택 잔재 청산' 일환으로 숙청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씨도 이달 초 북한 호송조에 붙잡혀 공항으로 끌려가다 송환되면 처형될 위험을 느끼고 탈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佛 언론도 강제북송 중 탈출 북 유학생 사건 큰 관심
-
- 입력 2014-11-22 03:30:09
- 수정2014-11-22 10:39:00
프랑스 파리에서 유학하던 북한 대학생이 강제 북송 과정에서 탈출해 은신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현지 주요 언론들도 이번 사건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현지 일간지 르몽드는 21일(현지시간) '파리에서 북한 학생 피랍'이라는 제목의 인터넷판 기사에서 북한 유학생 한 모 씨 사건을 다뤘다.
이 기사를 작성한 르몽드 기자들은 자신들의 취재 정보에 따르면 "한 씨가 이달 초 파리에서 아시아인들에게 납치를 당했다"면서 "북한 비밀요원들이 개입했을 것으로 보이나 확인되지는 않았다"고 적었다.
르몽드는 이어 "북한으로 강제 송환 당하던 한 씨가 파리 공항으로 가던 중 달아나는데 성공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한 씨가 아직 도주 중인지, 아니면 다시 잡혔는지, 프랑스나 한국 당국에 몸을 피했는지 한국 언론들이 궁금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파리 라빌레트 건축학교에 다니던 한 씨는 이달 초 파리에서 북한 호송조에 붙잡혀 공항으로 끌려가다가 극적으로 탈출해 현재 모처에 숨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일간지 르파리지앵도 이날 16면 '파리에서 북한 학생 이상한 실종'이라는 제목의 기사로 한 씨 사건을 소개했다.
르파리지앵은 이번 사건을 최초 보도한 연합뉴스를 인용하면서 "3년 전부터 파리에서 공부하는 북한 학생을 북한 당국이 납치한 것으로 의심받고 있다"고 전했다.
라빌레트 건축학교 관계자는 이 신문과 인터뷰에서 "종종 정장 차림의 아시아인이 학교에 왔다"면서 "한 번은 파리 북한 대표부 관계자가 찾아와서는 낙제한 학생 대신 시험을 볼 수 있게 해달라고 했는데 그 학생을 이후로 다시 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 신문은 프랑스 경찰이 지난 14일 한 씨가 다니는 학교에 와서 한 씨 소재를 물은 이후 다른 9명의 북한 학생들도 사라졌다가 다시 정상적으로 학교에 다니고 있다고 보도했다.
주간지 렉스프레스도 "라빌레트 건축학교에서 공부하는 북한 학생이 2주 전에 사라졌다"면서 파리 검찰이 '우려스러운 실종' 사건 조사를 시작했다고 전했다.
AFP 통신도 이날 소식통을 인용해 파리 검찰이 북한 학생 잠적 사건을 조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북한 고위층이었던 한 씨 아버지는 '장성택 잔재 청산' 일환으로 숙청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씨도 이달 초 북한 호송조에 붙잡혀 공항으로 끌려가다 송환되면 처형될 위험을 느끼고 탈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지 일간지 르몽드는 21일(현지시간) '파리에서 북한 학생 피랍'이라는 제목의 인터넷판 기사에서 북한 유학생 한 모 씨 사건을 다뤘다.
이 기사를 작성한 르몽드 기자들은 자신들의 취재 정보에 따르면 "한 씨가 이달 초 파리에서 아시아인들에게 납치를 당했다"면서 "북한 비밀요원들이 개입했을 것으로 보이나 확인되지는 않았다"고 적었다.
르몽드는 이어 "북한으로 강제 송환 당하던 한 씨가 파리 공항으로 가던 중 달아나는데 성공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한 씨가 아직 도주 중인지, 아니면 다시 잡혔는지, 프랑스나 한국 당국에 몸을 피했는지 한국 언론들이 궁금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파리 라빌레트 건축학교에 다니던 한 씨는 이달 초 파리에서 북한 호송조에 붙잡혀 공항으로 끌려가다가 극적으로 탈출해 현재 모처에 숨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일간지 르파리지앵도 이날 16면 '파리에서 북한 학생 이상한 실종'이라는 제목의 기사로 한 씨 사건을 소개했다.
르파리지앵은 이번 사건을 최초 보도한 연합뉴스를 인용하면서 "3년 전부터 파리에서 공부하는 북한 학생을 북한 당국이 납치한 것으로 의심받고 있다"고 전했다.
라빌레트 건축학교 관계자는 이 신문과 인터뷰에서 "종종 정장 차림의 아시아인이 학교에 왔다"면서 "한 번은 파리 북한 대표부 관계자가 찾아와서는 낙제한 학생 대신 시험을 볼 수 있게 해달라고 했는데 그 학생을 이후로 다시 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 신문은 프랑스 경찰이 지난 14일 한 씨가 다니는 학교에 와서 한 씨 소재를 물은 이후 다른 9명의 북한 학생들도 사라졌다가 다시 정상적으로 학교에 다니고 있다고 보도했다.
주간지 렉스프레스도 "라빌레트 건축학교에서 공부하는 북한 학생이 2주 전에 사라졌다"면서 파리 검찰이 '우려스러운 실종' 사건 조사를 시작했다고 전했다.
AFP 통신도 이날 소식통을 인용해 파리 검찰이 북한 학생 잠적 사건을 조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북한 고위층이었던 한 씨 아버지는 '장성택 잔재 청산' 일환으로 숙청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씨도 이달 초 북한 호송조에 붙잡혀 공항으로 끌려가다 송환되면 처형될 위험을 느끼고 탈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