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범종’ 소유권 협의 성과없이 끝나

입력 2014.12.09 (02:36) 수정 2014.12.09 (15: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른바 '전두환 범종' 소유권을 놓고 새천년민주당 권은희 국회의원과 육군본부가 협의에 나섰지만 성과 없이 이견만 확인한 채 끝났다.

권 의원은 광주시를 대신해 범종의 권한이 시에 있다고 주장했지만 육군 측은 광주시에 소유권 입증 책임을 요구하며 반환에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권 의원은 8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육군본부 관계자들과 만나 '전두환 범종'의 광주시 반환에 대해 협의했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권 의원은 이 자리에서 "육군이 무각사를 광주시에게 양도할 때 시설·비품 현황에 '범종'이 포함됐다"고 주장했다.

권 의원은 "1996년 국방부와 광주시가 옛 상무대 공원부지 무상양여 계약서를 맺고 무각사의 토지와 건물 등을 광주시에 넘겼다"며 "2007년 9월에 장성 상무대로 넘어가기 전까지 전두환 범종의 소유주체는 광주시에 있다고 봐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 전남 장성 상무대 근무지원단 종교시설에 있는 이 범종은 전두환 전 대통령이 상무대가 광주에 자리잡고 있을 때인 1981년 상무대 군종교 시설인 무각사를 방문해 자기 이름을 새겨 기증했다.

이 범종은 1994년 상무대가 장성으로 옮겨간 이후에도 광주 5·18기념공원 내 사찰인 '무각사'에 그대로 보관됐다.

하지만 뒤늦게 범종의 존재가 알려지면서 반발을 사자 2006년 무각사에서 사라졌다가 최근에야 장성 상무대로 옮겨진 사실이 확인됐다.

지난달 광주시는 무각사 시설 소유권을 군에서 받은 만큼 범종의 소유권한도 넘겨받았다고 주장하지만 군은 이를 거부했다.

육군본부 한 관계자는 권 의원과 만난 자리에서 "상무대 근무지원단은 장성 이전 당시 비용이 부족해 범종 및 석탑을 차후에 찾아가기로 했다"며 "광주시가 소유물반환청구를 하려면 입증책임을 져야 한다"고 반박했다.

또 "범종이 무각사와 함께 광주시로 이전된 것이라면 종단 및 송광사와 함께 후속조치를 검토해야 한다"고 해 반환조치에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낸 것으로 알려졌다.

권 의원은 이번 협의에서 별다른 성과를 보지 못하자 다음 주중 장성 상무대를 방문해 '전두환 범종'의 설치 및 사용 현황을 확인하고 국방부와 법적, 정치적인 해결을 위한 논의를 계속하기로 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두환 범종’ 소유권 협의 성과없이 끝나
    • 입력 2014-12-09 02:36:40
    • 수정2014-12-09 15:52:45
    연합뉴스
이른바 '전두환 범종' 소유권을 놓고 새천년민주당 권은희 국회의원과 육군본부가 협의에 나섰지만 성과 없이 이견만 확인한 채 끝났다.

권 의원은 광주시를 대신해 범종의 권한이 시에 있다고 주장했지만 육군 측은 광주시에 소유권 입증 책임을 요구하며 반환에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권 의원은 8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육군본부 관계자들과 만나 '전두환 범종'의 광주시 반환에 대해 협의했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권 의원은 이 자리에서 "육군이 무각사를 광주시에게 양도할 때 시설·비품 현황에 '범종'이 포함됐다"고 주장했다.

권 의원은 "1996년 국방부와 광주시가 옛 상무대 공원부지 무상양여 계약서를 맺고 무각사의 토지와 건물 등을 광주시에 넘겼다"며 "2007년 9월에 장성 상무대로 넘어가기 전까지 전두환 범종의 소유주체는 광주시에 있다고 봐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 전남 장성 상무대 근무지원단 종교시설에 있는 이 범종은 전두환 전 대통령이 상무대가 광주에 자리잡고 있을 때인 1981년 상무대 군종교 시설인 무각사를 방문해 자기 이름을 새겨 기증했다.

이 범종은 1994년 상무대가 장성으로 옮겨간 이후에도 광주 5·18기념공원 내 사찰인 '무각사'에 그대로 보관됐다.

하지만 뒤늦게 범종의 존재가 알려지면서 반발을 사자 2006년 무각사에서 사라졌다가 최근에야 장성 상무대로 옮겨진 사실이 확인됐다.

지난달 광주시는 무각사 시설 소유권을 군에서 받은 만큼 범종의 소유권한도 넘겨받았다고 주장하지만 군은 이를 거부했다.

육군본부 한 관계자는 권 의원과 만난 자리에서 "상무대 근무지원단은 장성 이전 당시 비용이 부족해 범종 및 석탑을 차후에 찾아가기로 했다"며 "광주시가 소유물반환청구를 하려면 입증책임을 져야 한다"고 반박했다.

또 "범종이 무각사와 함께 광주시로 이전된 것이라면 종단 및 송광사와 함께 후속조치를 검토해야 한다"고 해 반환조치에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낸 것으로 알려졌다.

권 의원은 이번 협의에서 별다른 성과를 보지 못하자 다음 주중 장성 상무대를 방문해 '전두환 범종'의 설치 및 사용 현황을 확인하고 국방부와 법적, 정치적인 해결을 위한 논의를 계속하기로 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