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리포트] 고준위 폐기물 ‘무대책’, 논의 서둘러야

입력 2014.12.12 (21:15) 수정 2014.12.12 (21: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원자력 안전위원회가 가동을 승인해 곧 시범 가동에 들어갈 우리나라 최초의 방사성폐기물 처리장입니다.

지하 130m에 만들어진 원형 처분시설에 원전에서 쓰인 작업복과 장갑 등 방사능 오염도가 낮은 폐기물을 영구적으로 묻게 됩니다.

지역 주민들의 반대 등으로 9번이나 부지 선정에 실패하면서 28년 만에 이룬 결실인데요.

문제는 폐연료봉처럼 방사능이 강한 폐기물은 어디에 묻을지, 아직 부지 선정 조차 논의하지 못하고 있다는 겁니다.

김진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상도에서 쓰이는 전력의 35%를 생산하는 고리원전에서만 방사능 농도가 높은 핵폐기물이 연간 2천 톤 넘게 발생합니다.

이를 임시방편으로 원전 안에 쌓아두고 있는데, 앞으론 이마저도 불가능합니다.

2016년 고리원전을 시작으로 월성과 한빛 등 각 원전의 임시저장시설이 차례로 포화 상태에 이르기 때문입니다.

<녹취> 한수원 : "(원전에) 공간 절약형 저장대를 설치하고 저장공간이 여유있는 발전소로 이동저장하여 포화연도를 늦출 예정입니다."

아무리 늦어도 2055년 전후로는 영구 처분시설을 만들어야 할 상황.

정부가 해법을 찾기 위해 공론화위원회를 출범시켰지만, 1년 넘게 제자리 걸음입니다.

<인터뷰> 공론화위원회 위원장 :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원자력발전소가 소재하고 있는 지역의 지자체 또는 주민들의 의견이 충분히 수렴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재활용을 통해 폐기물 양을 줄이자는 의견도 나왔지만, 한미원자력 협정때문에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재활용 과정에서 핵무기의 연료로 쓰이는 플루토늄이 추출되기 때문입니다.

방사능 농도가 높은 폐기물은 마땅한 처리 방안이 없는 상황, 서둘러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KBS 뉴스 김진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앵커&리포트] 고준위 폐기물 ‘무대책’, 논의 서둘러야
    • 입력 2014-12-12 21:17:03
    • 수정2014-12-12 21:34:10
    뉴스 9
<앵커 멘트>

원자력 안전위원회가 가동을 승인해 곧 시범 가동에 들어갈 우리나라 최초의 방사성폐기물 처리장입니다.

지하 130m에 만들어진 원형 처분시설에 원전에서 쓰인 작업복과 장갑 등 방사능 오염도가 낮은 폐기물을 영구적으로 묻게 됩니다.

지역 주민들의 반대 등으로 9번이나 부지 선정에 실패하면서 28년 만에 이룬 결실인데요.

문제는 폐연료봉처럼 방사능이 강한 폐기물은 어디에 묻을지, 아직 부지 선정 조차 논의하지 못하고 있다는 겁니다.

김진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상도에서 쓰이는 전력의 35%를 생산하는 고리원전에서만 방사능 농도가 높은 핵폐기물이 연간 2천 톤 넘게 발생합니다.

이를 임시방편으로 원전 안에 쌓아두고 있는데, 앞으론 이마저도 불가능합니다.

2016년 고리원전을 시작으로 월성과 한빛 등 각 원전의 임시저장시설이 차례로 포화 상태에 이르기 때문입니다.

<녹취> 한수원 : "(원전에) 공간 절약형 저장대를 설치하고 저장공간이 여유있는 발전소로 이동저장하여 포화연도를 늦출 예정입니다."

아무리 늦어도 2055년 전후로는 영구 처분시설을 만들어야 할 상황.

정부가 해법을 찾기 위해 공론화위원회를 출범시켰지만, 1년 넘게 제자리 걸음입니다.

<인터뷰> 공론화위원회 위원장 :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원자력발전소가 소재하고 있는 지역의 지자체 또는 주민들의 의견이 충분히 수렴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재활용을 통해 폐기물 양을 줄이자는 의견도 나왔지만, 한미원자력 협정때문에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재활용 과정에서 핵무기의 연료로 쓰이는 플루토늄이 추출되기 때문입니다.

방사능 농도가 높은 폐기물은 마땅한 처리 방안이 없는 상황, 서둘러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KBS 뉴스 김진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