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새정치연합 당권 경쟁 본격화…‘빅3’ 비대위원 사퇴
입력 2014.12.17 (12:07) 수정 2014.12.17 (13:24) 뉴스 12
<앵커 멘트>
내년 2월 8일 전당대회를 앞두고 새정치민주연합의 당권 레이스가 사실상 시작됐습니다.
이른바 '빅3'라는 유력 당권 주자들이 비대위원직을 동반 사퇴했습니다.
최영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새정치민주연합의 내년 초 전당대회 당 대표 출마가 유력한 정세균, 박지원, 문재인 의원 등 유력 당권 주자 세 명이 오늘 오전, 비대위원직을 동반 사퇴했습니다.
공식 출마 선언을 하지는 않았지만, 비대위원직을 사퇴하는 소회를 통해 전당대회 출마 의사를 피력했습니다.
정세균 의원은 더 큰 봉사를 하기 위한 선택이라며 비대위원직을 사퇴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박지원 의원도 당 지지도 상승세가 지속돼 새누리당보다 더 국민적 지지를 받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문재인 의원은 국민들은 야당이 정권 교체를 할 능력이 있는지 묻고 있다며, 전당대회에서 답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들 의원들은 다음주 후반쯤 공식 출마 선언을 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른바 빅3로 불리는 세 의원 외에, 민평련 소속이자 486 그룹의 이인영 의원도 친노와 비노 구도를 깨고 리더십 교체를 추진하겠다며 당권 도전을 선언했습니다.
전대 출마 여부가 관심을 모아온 김부겸 전 의원은 불출마 입장이지만, 유력 세 후보의 불출마를 촉구하는 당내 일부 움직임에 동의한다며 불출마 선언은 미뤘습니다.
한편 새정치민주연합은 모레 후임 비대위원 선출과 전당대회 규칙을 확정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최영은입니다.
내년 2월 8일 전당대회를 앞두고 새정치민주연합의 당권 레이스가 사실상 시작됐습니다.
이른바 '빅3'라는 유력 당권 주자들이 비대위원직을 동반 사퇴했습니다.
최영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새정치민주연합의 내년 초 전당대회 당 대표 출마가 유력한 정세균, 박지원, 문재인 의원 등 유력 당권 주자 세 명이 오늘 오전, 비대위원직을 동반 사퇴했습니다.
공식 출마 선언을 하지는 않았지만, 비대위원직을 사퇴하는 소회를 통해 전당대회 출마 의사를 피력했습니다.
정세균 의원은 더 큰 봉사를 하기 위한 선택이라며 비대위원직을 사퇴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박지원 의원도 당 지지도 상승세가 지속돼 새누리당보다 더 국민적 지지를 받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문재인 의원은 국민들은 야당이 정권 교체를 할 능력이 있는지 묻고 있다며, 전당대회에서 답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들 의원들은 다음주 후반쯤 공식 출마 선언을 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른바 빅3로 불리는 세 의원 외에, 민평련 소속이자 486 그룹의 이인영 의원도 친노와 비노 구도를 깨고 리더십 교체를 추진하겠다며 당권 도전을 선언했습니다.
전대 출마 여부가 관심을 모아온 김부겸 전 의원은 불출마 입장이지만, 유력 세 후보의 불출마를 촉구하는 당내 일부 움직임에 동의한다며 불출마 선언은 미뤘습니다.
한편 새정치민주연합은 모레 후임 비대위원 선출과 전당대회 규칙을 확정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최영은입니다.
- 새정치연합 당권 경쟁 본격화…‘빅3’ 비대위원 사퇴
-
- 입력 2014-12-17 12:08:02
- 수정2014-12-17 13:24:53

<앵커 멘트>
내년 2월 8일 전당대회를 앞두고 새정치민주연합의 당권 레이스가 사실상 시작됐습니다.
이른바 '빅3'라는 유력 당권 주자들이 비대위원직을 동반 사퇴했습니다.
최영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새정치민주연합의 내년 초 전당대회 당 대표 출마가 유력한 정세균, 박지원, 문재인 의원 등 유력 당권 주자 세 명이 오늘 오전, 비대위원직을 동반 사퇴했습니다.
공식 출마 선언을 하지는 않았지만, 비대위원직을 사퇴하는 소회를 통해 전당대회 출마 의사를 피력했습니다.
정세균 의원은 더 큰 봉사를 하기 위한 선택이라며 비대위원직을 사퇴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박지원 의원도 당 지지도 상승세가 지속돼 새누리당보다 더 국민적 지지를 받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문재인 의원은 국민들은 야당이 정권 교체를 할 능력이 있는지 묻고 있다며, 전당대회에서 답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들 의원들은 다음주 후반쯤 공식 출마 선언을 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른바 빅3로 불리는 세 의원 외에, 민평련 소속이자 486 그룹의 이인영 의원도 친노와 비노 구도를 깨고 리더십 교체를 추진하겠다며 당권 도전을 선언했습니다.
전대 출마 여부가 관심을 모아온 김부겸 전 의원은 불출마 입장이지만, 유력 세 후보의 불출마를 촉구하는 당내 일부 움직임에 동의한다며 불출마 선언은 미뤘습니다.
한편 새정치민주연합은 모레 후임 비대위원 선출과 전당대회 규칙을 확정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최영은입니다.
내년 2월 8일 전당대회를 앞두고 새정치민주연합의 당권 레이스가 사실상 시작됐습니다.
이른바 '빅3'라는 유력 당권 주자들이 비대위원직을 동반 사퇴했습니다.
최영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새정치민주연합의 내년 초 전당대회 당 대표 출마가 유력한 정세균, 박지원, 문재인 의원 등 유력 당권 주자 세 명이 오늘 오전, 비대위원직을 동반 사퇴했습니다.
공식 출마 선언을 하지는 않았지만, 비대위원직을 사퇴하는 소회를 통해 전당대회 출마 의사를 피력했습니다.
정세균 의원은 더 큰 봉사를 하기 위한 선택이라며 비대위원직을 사퇴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박지원 의원도 당 지지도 상승세가 지속돼 새누리당보다 더 국민적 지지를 받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문재인 의원은 국민들은 야당이 정권 교체를 할 능력이 있는지 묻고 있다며, 전당대회에서 답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들 의원들은 다음주 후반쯤 공식 출마 선언을 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른바 빅3로 불리는 세 의원 외에, 민평련 소속이자 486 그룹의 이인영 의원도 친노와 비노 구도를 깨고 리더십 교체를 추진하겠다며 당권 도전을 선언했습니다.
전대 출마 여부가 관심을 모아온 김부겸 전 의원은 불출마 입장이지만, 유력 세 후보의 불출마를 촉구하는 당내 일부 움직임에 동의한다며 불출마 선언은 미뤘습니다.
한편 새정치민주연합은 모레 후임 비대위원 선출과 전당대회 규칙을 확정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최영은입니다.
뉴스 12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최영은 기자 imlife@kbs.co.kr
최영은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