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보리, ‘북한 인권’ 공식 안건 채택
입력 2014.12.23 (06:01)
수정 2014.12.23 (07: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북한 인권이 유엔 안보리에서 처음으로 공식 안건으로 채택됐습니다.
북한 인권 상황의 국제형사재판소 회부라는 새 유엔북한인권결의안 이행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뉴욕 박에스더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북한 인권을 공식 논의하는 첫 안보리 회의, 15개 이사국 중 11개국의 압도적 찬성으로 북한인권이 안보리 공식 안건으로 채택됐습니다.
반대는 중국과 러시아 뿐입니다.
안보리 안건 상정을 요청한 이사국들은, 북한에서 지속적으로 벌어지는 심각하고 체계적인 인권 침해가 국제 평화와 안보를 위협할 정도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중국은 한 나라의 인권은 국제평화와 안보를 논하는 안보리 의제로 부적절하며, 특히 한반도의 긴장을 완화하기보다 오히려 높일 수 있다며 반대했습니다.
북한 인권이 안보리 안건으로 공식 채택됨에 따라, 지난 18일 유엔총회를 최종통과한 새 북한인권결의안의 이행이 시작됐습니다.
결의안은 북한인권보고서를 유엔안보리에 보고하고, 안보리가 북한인권상황을 국제형사재판소에 회부해, 책임자들을 제재하도록 권고했습니다.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의 거부권 때문에 북한인권의 국제형사재판소 회부가 실현되기는 어렵지만, 안보리 논의가 시작된 만큼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외교적 압박이 커질 전망입니다.
북한은 결의안에 대해 인권을 구실로 북한을 침공하려는 미국의 적대시정책의 산물이라며 전면 배격 입장을 밝혔습니다.
북한은 오늘 회의에도 불참했습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박에스더입니다.
북한 인권이 유엔 안보리에서 처음으로 공식 안건으로 채택됐습니다.
북한 인권 상황의 국제형사재판소 회부라는 새 유엔북한인권결의안 이행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뉴욕 박에스더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북한 인권을 공식 논의하는 첫 안보리 회의, 15개 이사국 중 11개국의 압도적 찬성으로 북한인권이 안보리 공식 안건으로 채택됐습니다.
반대는 중국과 러시아 뿐입니다.
안보리 안건 상정을 요청한 이사국들은, 북한에서 지속적으로 벌어지는 심각하고 체계적인 인권 침해가 국제 평화와 안보를 위협할 정도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중국은 한 나라의 인권은 국제평화와 안보를 논하는 안보리 의제로 부적절하며, 특히 한반도의 긴장을 완화하기보다 오히려 높일 수 있다며 반대했습니다.
북한 인권이 안보리 안건으로 공식 채택됨에 따라, 지난 18일 유엔총회를 최종통과한 새 북한인권결의안의 이행이 시작됐습니다.
결의안은 북한인권보고서를 유엔안보리에 보고하고, 안보리가 북한인권상황을 국제형사재판소에 회부해, 책임자들을 제재하도록 권고했습니다.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의 거부권 때문에 북한인권의 국제형사재판소 회부가 실현되기는 어렵지만, 안보리 논의가 시작된 만큼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외교적 압박이 커질 전망입니다.
북한은 결의안에 대해 인권을 구실로 북한을 침공하려는 미국의 적대시정책의 산물이라며 전면 배격 입장을 밝혔습니다.
북한은 오늘 회의에도 불참했습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박에스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유엔 안보리, ‘북한 인권’ 공식 안건 채택
-
- 입력 2014-12-23 06:02:04
- 수정2014-12-23 07:57:36

<앵커 멘트>
북한 인권이 유엔 안보리에서 처음으로 공식 안건으로 채택됐습니다.
북한 인권 상황의 국제형사재판소 회부라는 새 유엔북한인권결의안 이행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뉴욕 박에스더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북한 인권을 공식 논의하는 첫 안보리 회의, 15개 이사국 중 11개국의 압도적 찬성으로 북한인권이 안보리 공식 안건으로 채택됐습니다.
반대는 중국과 러시아 뿐입니다.
안보리 안건 상정을 요청한 이사국들은, 북한에서 지속적으로 벌어지는 심각하고 체계적인 인권 침해가 국제 평화와 안보를 위협할 정도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중국은 한 나라의 인권은 국제평화와 안보를 논하는 안보리 의제로 부적절하며, 특히 한반도의 긴장을 완화하기보다 오히려 높일 수 있다며 반대했습니다.
북한 인권이 안보리 안건으로 공식 채택됨에 따라, 지난 18일 유엔총회를 최종통과한 새 북한인권결의안의 이행이 시작됐습니다.
결의안은 북한인권보고서를 유엔안보리에 보고하고, 안보리가 북한인권상황을 국제형사재판소에 회부해, 책임자들을 제재하도록 권고했습니다.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의 거부권 때문에 북한인권의 국제형사재판소 회부가 실현되기는 어렵지만, 안보리 논의가 시작된 만큼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외교적 압박이 커질 전망입니다.
북한은 결의안에 대해 인권을 구실로 북한을 침공하려는 미국의 적대시정책의 산물이라며 전면 배격 입장을 밝혔습니다.
북한은 오늘 회의에도 불참했습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박에스더입니다.
북한 인권이 유엔 안보리에서 처음으로 공식 안건으로 채택됐습니다.
북한 인권 상황의 국제형사재판소 회부라는 새 유엔북한인권결의안 이행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뉴욕 박에스더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북한 인권을 공식 논의하는 첫 안보리 회의, 15개 이사국 중 11개국의 압도적 찬성으로 북한인권이 안보리 공식 안건으로 채택됐습니다.
반대는 중국과 러시아 뿐입니다.
안보리 안건 상정을 요청한 이사국들은, 북한에서 지속적으로 벌어지는 심각하고 체계적인 인권 침해가 국제 평화와 안보를 위협할 정도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중국은 한 나라의 인권은 국제평화와 안보를 논하는 안보리 의제로 부적절하며, 특히 한반도의 긴장을 완화하기보다 오히려 높일 수 있다며 반대했습니다.
북한 인권이 안보리 안건으로 공식 채택됨에 따라, 지난 18일 유엔총회를 최종통과한 새 북한인권결의안의 이행이 시작됐습니다.
결의안은 북한인권보고서를 유엔안보리에 보고하고, 안보리가 북한인권상황을 국제형사재판소에 회부해, 책임자들을 제재하도록 권고했습니다.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의 거부권 때문에 북한인권의 국제형사재판소 회부가 실현되기는 어렵지만, 안보리 논의가 시작된 만큼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외교적 압박이 커질 전망입니다.
북한은 결의안에 대해 인권을 구실로 북한을 침공하려는 미국의 적대시정책의 산물이라며 전면 배격 입장을 밝혔습니다.
북한은 오늘 회의에도 불참했습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박에스더입니다.
-
-
박에스더 기자 stellar@kbs.co.kr
박에스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