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생성 “10년 후 고령자 5명 중 1명 치매”
입력 2015.01.07 (22:58)
수정 2015.01.07 (22: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에서 치매에 걸린 사람이 2025년이면 최고 73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일본 후생노동성이 전망했다.
7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후생노동성은 고령화 때문에 앞으로도 치매 환자가 계속 증가, 일본 패전 직후의 베이비붐 시기(1947∼49년)에 태어난 '단카이(團塊) 세대'가 75세 이상이 되는 2025년에는 치매에 걸린 사람이 675만∼730만 명에 이를 것이라는 추계를 새로 내놓았다.
이는 65세 이상 고령자 5명 가운데 1명에 해당하는 수치다.
일본에서 치매에 걸린 65세 이상 고령자는 2012년 현재 약 462만 명이다.
이와 관련, 일본 정부는 치매대책 등을 담은 국가전략을 곧 정식 결정할 예정이다.
국가전략에는 의료기관 전문성 향상을 위해 내년도까지 주치의 6만 명이 치매 조기 진단에 관한 연수과정을 마치도록 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일본 정부는 의료진이 가정을 방문해 환자나 가족을 지원하는 '초기집중 지원팀'을 증강한다.
2014년도 현재 전국 41개 기초자치단체에만 초기집중 지원팀이 설치돼 있는데 이를 2018년도까지 전국 모든 기초자치단체로 확대할 방침이다.
또 65세가 되기 전에 발병하는 치매에 적극 대응하도록 전국에 광역자치단체에 상담창구를 설치하고 후생노동성, 경찰청, 내각부, 소비자청이 치매로 발생하는 문제에 공동 대응하는 체계를 갖춘다.
7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후생노동성은 고령화 때문에 앞으로도 치매 환자가 계속 증가, 일본 패전 직후의 베이비붐 시기(1947∼49년)에 태어난 '단카이(團塊) 세대'가 75세 이상이 되는 2025년에는 치매에 걸린 사람이 675만∼730만 명에 이를 것이라는 추계를 새로 내놓았다.
이는 65세 이상 고령자 5명 가운데 1명에 해당하는 수치다.
일본에서 치매에 걸린 65세 이상 고령자는 2012년 현재 약 462만 명이다.
이와 관련, 일본 정부는 치매대책 등을 담은 국가전략을 곧 정식 결정할 예정이다.
국가전략에는 의료기관 전문성 향상을 위해 내년도까지 주치의 6만 명이 치매 조기 진단에 관한 연수과정을 마치도록 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일본 정부는 의료진이 가정을 방문해 환자나 가족을 지원하는 '초기집중 지원팀'을 증강한다.
2014년도 현재 전국 41개 기초자치단체에만 초기집중 지원팀이 설치돼 있는데 이를 2018년도까지 전국 모든 기초자치단체로 확대할 방침이다.
또 65세가 되기 전에 발병하는 치매에 적극 대응하도록 전국에 광역자치단체에 상담창구를 설치하고 후생노동성, 경찰청, 내각부, 소비자청이 치매로 발생하는 문제에 공동 대응하는 체계를 갖춘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본 후생성 “10년 후 고령자 5명 중 1명 치매”
-
- 입력 2015-01-07 22:58:02
- 수정2015-01-07 22:58:29
일본에서 치매에 걸린 사람이 2025년이면 최고 73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일본 후생노동성이 전망했다.
7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후생노동성은 고령화 때문에 앞으로도 치매 환자가 계속 증가, 일본 패전 직후의 베이비붐 시기(1947∼49년)에 태어난 '단카이(團塊) 세대'가 75세 이상이 되는 2025년에는 치매에 걸린 사람이 675만∼730만 명에 이를 것이라는 추계를 새로 내놓았다.
이는 65세 이상 고령자 5명 가운데 1명에 해당하는 수치다.
일본에서 치매에 걸린 65세 이상 고령자는 2012년 현재 약 462만 명이다.
이와 관련, 일본 정부는 치매대책 등을 담은 국가전략을 곧 정식 결정할 예정이다.
국가전략에는 의료기관 전문성 향상을 위해 내년도까지 주치의 6만 명이 치매 조기 진단에 관한 연수과정을 마치도록 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일본 정부는 의료진이 가정을 방문해 환자나 가족을 지원하는 '초기집중 지원팀'을 증강한다.
2014년도 현재 전국 41개 기초자치단체에만 초기집중 지원팀이 설치돼 있는데 이를 2018년도까지 전국 모든 기초자치단체로 확대할 방침이다.
또 65세가 되기 전에 발병하는 치매에 적극 대응하도록 전국에 광역자치단체에 상담창구를 설치하고 후생노동성, 경찰청, 내각부, 소비자청이 치매로 발생하는 문제에 공동 대응하는 체계를 갖춘다.
7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후생노동성은 고령화 때문에 앞으로도 치매 환자가 계속 증가, 일본 패전 직후의 베이비붐 시기(1947∼49년)에 태어난 '단카이(團塊) 세대'가 75세 이상이 되는 2025년에는 치매에 걸린 사람이 675만∼730만 명에 이를 것이라는 추계를 새로 내놓았다.
이는 65세 이상 고령자 5명 가운데 1명에 해당하는 수치다.
일본에서 치매에 걸린 65세 이상 고령자는 2012년 현재 약 462만 명이다.
이와 관련, 일본 정부는 치매대책 등을 담은 국가전략을 곧 정식 결정할 예정이다.
국가전략에는 의료기관 전문성 향상을 위해 내년도까지 주치의 6만 명이 치매 조기 진단에 관한 연수과정을 마치도록 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일본 정부는 의료진이 가정을 방문해 환자나 가족을 지원하는 '초기집중 지원팀'을 증강한다.
2014년도 현재 전국 41개 기초자치단체에만 초기집중 지원팀이 설치돼 있는데 이를 2018년도까지 전국 모든 기초자치단체로 확대할 방침이다.
또 65세가 되기 전에 발병하는 치매에 적극 대응하도록 전국에 광역자치단체에 상담창구를 설치하고 후생노동성, 경찰청, 내각부, 소비자청이 치매로 발생하는 문제에 공동 대응하는 체계를 갖춘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