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행은 대출고객의 금융비용 부담을 덜어주고자 다음달 5일부터 가계 및 기업대출의 중도상환수수료를 최대 1.0%포인트 인하한다고 13일 밝혔다.
지난해 금융당국이 은행권과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중도상환수수료 합리화 방안을 마련하기로 한 이후 첫 수수료 인하 결정이다.
중도상환수수료란 은행대출을 받은 사람이 중도에 대출금을 상환할 때에 내야 하는 수수료다. 이 수수료는 대출금을 중도에 상환할 경우에 은행이 입는 경제적 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것이다.
기업은행은 가계대출을 주택담보대출과 그 외 가계대출로 구분하고 고정·변동 금리 여부에 따라 중도상환수수료율을 현 1.5%에서 0.3∼1.0%포인트 내리기로 했다.
기업대출은 고정금리의 경우 0.1%포인트, 변동금리는 0.2%포인트씩 인하하기로 했다.
은행 관계자는 "개업대출은 대출금 중도상환 발생 시 은행의 실질 손해비용이 현재 요율보다도 높다"며 "중소기업과 상생한다는 취지로 수수료를 낮춘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도상환수수료의 명칭은 수수료 성격이 명확히 전달될 수 있도록 '중도상환해약금'으로 변경하기로 했다.
기업은행은 기존 대출 고객에 대해서도 별도의 변경약정 절차 없이 인하된 요율을 일괄 적용할 예정이다.
은행 관계자는 "이번 수수료 인하로 수익감소가 불가피하지만 저비용 조달기반 확충과 비이자수익 기반 확대 및 건전성 관리 등으로 수익감소를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지난해 금융당국이 은행권과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중도상환수수료 합리화 방안을 마련하기로 한 이후 첫 수수료 인하 결정이다.
중도상환수수료란 은행대출을 받은 사람이 중도에 대출금을 상환할 때에 내야 하는 수수료다. 이 수수료는 대출금을 중도에 상환할 경우에 은행이 입는 경제적 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것이다.
기업은행은 가계대출을 주택담보대출과 그 외 가계대출로 구분하고 고정·변동 금리 여부에 따라 중도상환수수료율을 현 1.5%에서 0.3∼1.0%포인트 내리기로 했다.
기업대출은 고정금리의 경우 0.1%포인트, 변동금리는 0.2%포인트씩 인하하기로 했다.
은행 관계자는 "개업대출은 대출금 중도상환 발생 시 은행의 실질 손해비용이 현재 요율보다도 높다"며 "중소기업과 상생한다는 취지로 수수료를 낮춘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도상환수수료의 명칭은 수수료 성격이 명확히 전달될 수 있도록 '중도상환해약금'으로 변경하기로 했다.
기업은행은 기존 대출 고객에 대해서도 별도의 변경약정 절차 없이 인하된 요율을 일괄 적용할 예정이다.
은행 관계자는 "이번 수수료 인하로 수익감소가 불가피하지만 저비용 조달기반 확충과 비이자수익 기반 확대 및 건전성 관리 등으로 수익감소를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업은행, 내달부터 중도상환수수료 인하…은행권 처음
-
- 입력 2015-01-13 19:34:01
기업은행은 대출고객의 금융비용 부담을 덜어주고자 다음달 5일부터 가계 및 기업대출의 중도상환수수료를 최대 1.0%포인트 인하한다고 13일 밝혔다.
지난해 금융당국이 은행권과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중도상환수수료 합리화 방안을 마련하기로 한 이후 첫 수수료 인하 결정이다.
중도상환수수료란 은행대출을 받은 사람이 중도에 대출금을 상환할 때에 내야 하는 수수료다. 이 수수료는 대출금을 중도에 상환할 경우에 은행이 입는 경제적 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것이다.
기업은행은 가계대출을 주택담보대출과 그 외 가계대출로 구분하고 고정·변동 금리 여부에 따라 중도상환수수료율을 현 1.5%에서 0.3∼1.0%포인트 내리기로 했다.
기업대출은 고정금리의 경우 0.1%포인트, 변동금리는 0.2%포인트씩 인하하기로 했다.
은행 관계자는 "개업대출은 대출금 중도상환 발생 시 은행의 실질 손해비용이 현재 요율보다도 높다"며 "중소기업과 상생한다는 취지로 수수료를 낮춘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도상환수수료의 명칭은 수수료 성격이 명확히 전달될 수 있도록 '중도상환해약금'으로 변경하기로 했다.
기업은행은 기존 대출 고객에 대해서도 별도의 변경약정 절차 없이 인하된 요율을 일괄 적용할 예정이다.
은행 관계자는 "이번 수수료 인하로 수익감소가 불가피하지만 저비용 조달기반 확충과 비이자수익 기반 확대 및 건전성 관리 등으로 수익감소를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