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보다 큰 배꼽’ 세금폭탄 3종 세트…얼마길래?

입력 2015.01.15 (07:17) 수정 2015.01.15 (08: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올해부터 대폭 오른 담뱃값 보면서 도대체 이 중에 세금은 얼마나 되는지, 또 세금이 올랐으면 얼마나 오른 건지 궁금한 분들 많으시죠.

분석해봤더니 세금이 제조원가보다 훨씬 비싸서, 말 그대로 배보다 배꼽이 더 컸습니다.

담배와 휘발유, 주류 등 이른바 세금폭탄 3종 세트의 원가와 세금을 정재우 기자가 조목조목 짚어드립니다.

<리포트>

4천5백원짜리 담뱃값은 어떻게 구성돼 있을까?

유통마진을 포함한 제조원가는 1182원, 나머지가 모두 세금입니다.

세금 비중이 무려 73.7%. 담뱃값이 오르기 전에 비해 12% 포인트 늘었습니다.

가장 비중이 큰 담배소비세는 1007원. 이어서 국민건강증진부담금이 두배 이상 올랐고, 올해 신설된 개별소비세는 594원입니다.

유류세를 따져봤습니다.

지난 1일 실제 가격인 리터당 평균 1587원 기준으로 휘발유 1리터에 붙는 세금 비중은 57.7%, 지난해에 비해 7% 포인트 높아졌습니다.

대부분 세금이, 기름값과 상관 없이 일정한 금액을 내야 하는 정액세인 탓입니다.

때문에 국제유가가 반토막나는 동안 소비자가는 16%밖에 안 떨어졌습니다.

슬슬 인상론이 나오는 주세도 원가보다 비싸긴 마찬가집니다.

소주 1병의 출고가 946원 중 세금은 502원으로 맥주와 함께 세금 비중이 53%입니다.

원가의 77%인 고율의 주세를 붙이는데, 이 주세의 30%를 교육세로 부과하고, 여기에 10% 부가세를 더합니다.

<인터뷰> 김선택(한국납세자연맹 회장) : "술·담배·휘발유에 대해서 세금을 올리게 되면 서민이나 저소득층의 세금이 늘어나고 그것이 빈부격차를 심화시키고 소득불평등구조를 악화시킵니다."

우리나라의 담뱃세 같은 간접세의 비중은 절반 정도로 다른 선진국에 비해 높은 수준입니다.

KBS 뉴스 정재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배보다 큰 배꼽’ 세금폭탄 3종 세트…얼마길래?
    • 입력 2015-01-15 07:19:52
    • 수정2015-01-15 08:15:13
    뉴스광장
<앵커 멘트>

올해부터 대폭 오른 담뱃값 보면서 도대체 이 중에 세금은 얼마나 되는지, 또 세금이 올랐으면 얼마나 오른 건지 궁금한 분들 많으시죠.

분석해봤더니 세금이 제조원가보다 훨씬 비싸서, 말 그대로 배보다 배꼽이 더 컸습니다.

담배와 휘발유, 주류 등 이른바 세금폭탄 3종 세트의 원가와 세금을 정재우 기자가 조목조목 짚어드립니다.

<리포트>

4천5백원짜리 담뱃값은 어떻게 구성돼 있을까?

유통마진을 포함한 제조원가는 1182원, 나머지가 모두 세금입니다.

세금 비중이 무려 73.7%. 담뱃값이 오르기 전에 비해 12% 포인트 늘었습니다.

가장 비중이 큰 담배소비세는 1007원. 이어서 국민건강증진부담금이 두배 이상 올랐고, 올해 신설된 개별소비세는 594원입니다.

유류세를 따져봤습니다.

지난 1일 실제 가격인 리터당 평균 1587원 기준으로 휘발유 1리터에 붙는 세금 비중은 57.7%, 지난해에 비해 7% 포인트 높아졌습니다.

대부분 세금이, 기름값과 상관 없이 일정한 금액을 내야 하는 정액세인 탓입니다.

때문에 국제유가가 반토막나는 동안 소비자가는 16%밖에 안 떨어졌습니다.

슬슬 인상론이 나오는 주세도 원가보다 비싸긴 마찬가집니다.

소주 1병의 출고가 946원 중 세금은 502원으로 맥주와 함께 세금 비중이 53%입니다.

원가의 77%인 고율의 주세를 붙이는데, 이 주세의 30%를 교육세로 부과하고, 여기에 10% 부가세를 더합니다.

<인터뷰> 김선택(한국납세자연맹 회장) : "술·담배·휘발유에 대해서 세금을 올리게 되면 서민이나 저소득층의 세금이 늘어나고 그것이 빈부격차를 심화시키고 소득불평등구조를 악화시킵니다."

우리나라의 담뱃세 같은 간접세의 비중은 절반 정도로 다른 선진국에 비해 높은 수준입니다.

KBS 뉴스 정재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