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구’ 의미 퇴색…가족이 함께 식사 비율 갈수록 낮아져

입력 2015.01.19 (06:34) 수정 2015.01.19 (16: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 집에서 함께 살면서 끼니를 같이 하는 사람'이라는 '식구(食口)'의 의미가 갈수록 옅어지고 있다. 점심은 물론 아침과 저녁식사도 가족과 함께 하지 못하는 사람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의 '2013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2013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1세 이상 남녀 7천여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 가운데 가족과 함께 아침식사를 하는 사람의 비율은 46.1%로, 전체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아침 가족동반식사율은 조사가 처음 시작된 지난 2005년 62.9%에서 2008년 58.6%, 2010년 54.7%, 2012년 51.3%로 줄곧 낮아지다 2013년에 처음으로 50% 아래로 내려섰다.



저녁 가족동반식사율도 2005년 76.0%, 2008년 68.8%, 2010년 68.0%에 이어 2013년 65.1%로 매해 줄었다. 조사 대상자 3명 중 1명은 가족과 함께 저녁을 먹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가족 구성원이 대개 학교나 직장에 있는 시간인 점심식사 때의 동반식사율은 14.4%로 가장 낮았다. 이 수치 역시 2005년 21.6%에서 점차 줄어들었다.

도시에 살수록 가족과 함께 식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2013년을 기준으로 동(洞) 지역의 아침·점심·저녁 가족동반식사율은 각각 44.4%, 14.3%, 63.8%로, 읍면 지역의 가족동반식사율 55.1%, 23.5%, 67.1%보다 눈에 띄게 낮았다.

연령대별로는 점심 식사의 경우 보육시설이나 학교에서 낮 시간을 보내는 3∼18세의 가족동반식사율이 한자릿대로 가장 낮았고, 아침이나 저녁 식사는 20대가 가족과 함께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20대의 경우 대학 진학이나 직장 등의 이유로 가족과 떨어져 사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오경원 질병관리본부 건강영양조사과장은 "가족과 함께 식사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따로 조사하지 않았으나 가족 구성원들의 외부 활동이 과거보다 활발해지고 혼자 사는 가구도 점점 늘어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오 과장은 "보통 가족이랑 함께 식사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균형잡힌 식사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족동반식사율과 영양 상태의 추이를 계속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식구’ 의미 퇴색…가족이 함께 식사 비율 갈수록 낮아져
    • 입력 2015-01-19 06:34:45
    • 수정2015-01-19 16:38:38
    연합뉴스
'한 집에서 함께 살면서 끼니를 같이 하는 사람'이라는 '식구(食口)'의 의미가 갈수록 옅어지고 있다. 점심은 물론 아침과 저녁식사도 가족과 함께 하지 못하는 사람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의 '2013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2013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1세 이상 남녀 7천여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 가운데 가족과 함께 아침식사를 하는 사람의 비율은 46.1%로, 전체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아침 가족동반식사율은 조사가 처음 시작된 지난 2005년 62.9%에서 2008년 58.6%, 2010년 54.7%, 2012년 51.3%로 줄곧 낮아지다 2013년에 처음으로 50% 아래로 내려섰다.



저녁 가족동반식사율도 2005년 76.0%, 2008년 68.8%, 2010년 68.0%에 이어 2013년 65.1%로 매해 줄었다. 조사 대상자 3명 중 1명은 가족과 함께 저녁을 먹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가족 구성원이 대개 학교나 직장에 있는 시간인 점심식사 때의 동반식사율은 14.4%로 가장 낮았다. 이 수치 역시 2005년 21.6%에서 점차 줄어들었다.

도시에 살수록 가족과 함께 식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2013년을 기준으로 동(洞) 지역의 아침·점심·저녁 가족동반식사율은 각각 44.4%, 14.3%, 63.8%로, 읍면 지역의 가족동반식사율 55.1%, 23.5%, 67.1%보다 눈에 띄게 낮았다.

연령대별로는 점심 식사의 경우 보육시설이나 학교에서 낮 시간을 보내는 3∼18세의 가족동반식사율이 한자릿대로 가장 낮았고, 아침이나 저녁 식사는 20대가 가족과 함께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20대의 경우 대학 진학이나 직장 등의 이유로 가족과 떨어져 사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오경원 질병관리본부 건강영양조사과장은 "가족과 함께 식사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따로 조사하지 않았으나 가족 구성원들의 외부 활동이 과거보다 활발해지고 혼자 사는 가구도 점점 늘어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오 과장은 "보통 가족이랑 함께 식사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균형잡힌 식사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족동반식사율과 영양 상태의 추이를 계속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