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의 취업률 높을수록 둘째 낳을 가능성 크다”

입력 2015.01.22 (06:31) 수정 2015.01.22 (18: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 사회 내 아이를 가진 여성의 취업률이 높을수록 둘째 아이를 출산할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2일 한국육아정책연구소의 '육아정책연구' 최근호에 실린 '지역경제적 특성 및 생애주기적 특성이 어머니의 후속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논문을 보면 어머니의 취업률이 높을수록 둘째 아이 출산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할 확률이 높았다.

논문은 2009년 한국아동패널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해 신생아를 가진 부모 가운데 '출산 계획이 있다' 또는 '출산 계획이 없다'고 명확하게 의사를 밝힌 1천676명의 지역 경제적 요인을 분석했다.

그 결과, 어머니의 취업률은 다른 변수에 비해 후속 출산 의도와 유의미한 관계(p=.099)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별 평균 가구 소득은 둘째 아이 출산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단 어머니의 취업률은 둘째 출산과 달리 셋째 출산에는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보건복지통계연보에 따르면 2013년 합계출산율은 1.19명으로 4년만에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유럽경제위원회 보고서가 현재의 인구를 유지하기 위한 대체출산율로 2.1명을 제시한 것에 비하면 한국의 출산율은 여기에 훨씬 못미치는 수준이다.

논문 작성에 참여한 서울대학교 유아교육최고위과정 강현구 책임연구원은 "일자리의 질보다는 일자리의 풍부함이 둘째 자녀의 출산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며 "첫 자녀를 출산한 여성에게 어떤 형태로든 빠른 사회생활 복귀를 촉진하고 경력단절의 두려움을 벗어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강 연구원은 "셋째 출산 유도는 지역 전체의 경제적 수준과 개개인의 인식·가치관의 변화가 있어야하므로 재정부담도 크고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면서 "하지만 둘째 자녀 출산은 여성의 재취업이나 유연 근무제 같은 근로환경 개선 등 적은 시간과 비용을 투입해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강 연구원은 "정책의 효과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볼 때 셋째 자녀를 출산하도록 유도하는 정책보다 1명의 자녀를 둔 부모가 둘째를 출산하도록 유도하는 정책에 무게중심을 둘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엄마의 취업률 높을수록 둘째 낳을 가능성 크다”
    • 입력 2015-01-22 06:31:21
    • 수정2015-01-22 18:58:26
    연합뉴스
지역 사회 내 아이를 가진 여성의 취업률이 높을수록 둘째 아이를 출산할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2일 한국육아정책연구소의 '육아정책연구' 최근호에 실린 '지역경제적 특성 및 생애주기적 특성이 어머니의 후속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논문을 보면 어머니의 취업률이 높을수록 둘째 아이 출산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할 확률이 높았다.

논문은 2009년 한국아동패널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해 신생아를 가진 부모 가운데 '출산 계획이 있다' 또는 '출산 계획이 없다'고 명확하게 의사를 밝힌 1천676명의 지역 경제적 요인을 분석했다.

그 결과, 어머니의 취업률은 다른 변수에 비해 후속 출산 의도와 유의미한 관계(p=.099)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별 평균 가구 소득은 둘째 아이 출산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단 어머니의 취업률은 둘째 출산과 달리 셋째 출산에는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보건복지통계연보에 따르면 2013년 합계출산율은 1.19명으로 4년만에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유럽경제위원회 보고서가 현재의 인구를 유지하기 위한 대체출산율로 2.1명을 제시한 것에 비하면 한국의 출산율은 여기에 훨씬 못미치는 수준이다.

논문 작성에 참여한 서울대학교 유아교육최고위과정 강현구 책임연구원은 "일자리의 질보다는 일자리의 풍부함이 둘째 자녀의 출산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며 "첫 자녀를 출산한 여성에게 어떤 형태로든 빠른 사회생활 복귀를 촉진하고 경력단절의 두려움을 벗어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강 연구원은 "셋째 출산 유도는 지역 전체의 경제적 수준과 개개인의 인식·가치관의 변화가 있어야하므로 재정부담도 크고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면서 "하지만 둘째 자녀 출산은 여성의 재취업이나 유연 근무제 같은 근로환경 개선 등 적은 시간과 비용을 투입해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강 연구원은 "정책의 효과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볼 때 셋째 자녀를 출산하도록 유도하는 정책보다 1명의 자녀를 둔 부모가 둘째를 출산하도록 유도하는 정책에 무게중심을 둘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