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한국 조강생산량 증가율 주요국 중 최고 생산량 순위는 세계 6→5위로 1단계 상승 글로벌 철강업계 설비가동률 2년래 최저
(서울=연합뉴스) 김지훈 기자 = 지난해 한국 철강업계의 조강(粗鋼) 생산량이 7천만t을 넘어서면서 전 세계 6위에서 러시아를 제치고 5위로 올라섰다.
하지만 지난해 생산량 증가율은 생산량 1천만t을 넘는 세계 주요국 중 가장 높은 7.5%에 달해 공급과잉이 가중됐다.
작년 경기 부진과 철강업계의 공급과잉으로 인해 전 세계 철강업체들의 설비 가동률은 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25일 세계철강협회(WSA)가 집계한 '2014년 세계 조강생산 실적'에 따르면 작년 세계 철강업체들의 조강생산량은 16억6천200만t으로 2013년보다 1.2% 증가했다.
국가별 순위는 중국(8억2천270만t), 일본(1억1천70만t), 미국(8천830만t), 인도(8천320만t), 한국(7천100만t) 등이었다.
한국은 2013년 러시아에 이어 6위를 차지했으나 작년엔 러시아를 누르고 5위로 올라섰다.
국가별 생산량 증가율은 중국이 전년대비 0.9%였고 일본은 0.1%, 미국은 1.7%, 인도는 2.3% 등에 그친 데 반해 한국은 7.5%에 달했다.
이는 조강생산량이 1천만t을 넘는 주요 생산국 중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앞서 2013년의 한국 조강생산량은 6천610만t으로 전년대비 4.4% 감소했었다.
이에 따라 세계 조강생산량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율도 2012년 4.4%에서 2013년 4.0%로 낮아졌다가 작년엔 4.3%로 다시 반등했다.
작년 중국의 점유율은 49.5%로 절반에 육박했고 일본 6.7%, 미국 5.3%, 인도 5.0% 등이었다.
지역별 생산량과 증가율은 아시아가 11억3천230만t으로 전년대비 1.4% 늘었으나 유럽은 3억1천290만t으로 0.1% 감소했다. 북미는 1억2천120만t으로 2.0% 늘었고 남미, 아프리카, 호주/뉴질랜드도 전년대비 감소했다.
전 세계 각국 철강업체들의 월간 설비 가동률은 작년 12월 72.7%를 기록해 1년 전인 2013년 12월(75.1%)보다 2.4%포인트 떨어지면서 2012년 12월(72.0%) 이후 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전 세계 철강업체들의 작년 평균 설비가동률도 76.7%로 2013년 78.4%보다 1.7%포인트 하락했다.
hoon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지훈 기자 = 지난해 한국 철강업계의 조강(粗鋼) 생산량이 7천만t을 넘어서면서 전 세계 6위에서 러시아를 제치고 5위로 올라섰다.
하지만 지난해 생산량 증가율은 생산량 1천만t을 넘는 세계 주요국 중 가장 높은 7.5%에 달해 공급과잉이 가중됐다.
작년 경기 부진과 철강업계의 공급과잉으로 인해 전 세계 철강업체들의 설비 가동률은 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25일 세계철강협회(WSA)가 집계한 '2014년 세계 조강생산 실적'에 따르면 작년 세계 철강업체들의 조강생산량은 16억6천200만t으로 2013년보다 1.2% 증가했다.
국가별 순위는 중국(8억2천270만t), 일본(1억1천70만t), 미국(8천830만t), 인도(8천320만t), 한국(7천100만t) 등이었다.
한국은 2013년 러시아에 이어 6위를 차지했으나 작년엔 러시아를 누르고 5위로 올라섰다.
국가별 생산량 증가율은 중국이 전년대비 0.9%였고 일본은 0.1%, 미국은 1.7%, 인도는 2.3% 등에 그친 데 반해 한국은 7.5%에 달했다.
이는 조강생산량이 1천만t을 넘는 주요 생산국 중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앞서 2013년의 한국 조강생산량은 6천610만t으로 전년대비 4.4% 감소했었다.
이에 따라 세계 조강생산량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율도 2012년 4.4%에서 2013년 4.0%로 낮아졌다가 작년엔 4.3%로 다시 반등했다.
작년 중국의 점유율은 49.5%로 절반에 육박했고 일본 6.7%, 미국 5.3%, 인도 5.0% 등이었다.
지역별 생산량과 증가율은 아시아가 11억3천230만t으로 전년대비 1.4% 늘었으나 유럽은 3억1천290만t으로 0.1% 감소했다. 북미는 1억2천120만t으로 2.0% 늘었고 남미, 아프리카, 호주/뉴질랜드도 전년대비 감소했다.
전 세계 각국 철강업체들의 월간 설비 가동률은 작년 12월 72.7%를 기록해 1년 전인 2013년 12월(75.1%)보다 2.4%포인트 떨어지면서 2012년 12월(72.0%) 이후 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전 세계 철강업체들의 작년 평균 설비가동률도 76.7%로 2013년 78.4%보다 1.7%포인트 하락했다.
hoon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작년 한국 조강생산량 증가율 주요국 중 최고
-
- 입력 2015-01-25 06:58:28
작년 한국 조강생산량 증가율 주요국 중 최고 생산량 순위는 세계 6→5위로 1단계 상승 글로벌 철강업계 설비가동률 2년래 최저
(서울=연합뉴스) 김지훈 기자 = 지난해 한국 철강업계의 조강(粗鋼) 생산량이 7천만t을 넘어서면서 전 세계 6위에서 러시아를 제치고 5위로 올라섰다.
하지만 지난해 생산량 증가율은 생산량 1천만t을 넘는 세계 주요국 중 가장 높은 7.5%에 달해 공급과잉이 가중됐다.
작년 경기 부진과 철강업계의 공급과잉으로 인해 전 세계 철강업체들의 설비 가동률은 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25일 세계철강협회(WSA)가 집계한 '2014년 세계 조강생산 실적'에 따르면 작년 세계 철강업체들의 조강생산량은 16억6천200만t으로 2013년보다 1.2% 증가했다.
국가별 순위는 중국(8억2천270만t), 일본(1억1천70만t), 미국(8천830만t), 인도(8천320만t), 한국(7천100만t) 등이었다.
한국은 2013년 러시아에 이어 6위를 차지했으나 작년엔 러시아를 누르고 5위로 올라섰다.
국가별 생산량 증가율은 중국이 전년대비 0.9%였고 일본은 0.1%, 미국은 1.7%, 인도는 2.3% 등에 그친 데 반해 한국은 7.5%에 달했다.
이는 조강생산량이 1천만t을 넘는 주요 생산국 중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앞서 2013년의 한국 조강생산량은 6천610만t으로 전년대비 4.4% 감소했었다.
이에 따라 세계 조강생산량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율도 2012년 4.4%에서 2013년 4.0%로 낮아졌다가 작년엔 4.3%로 다시 반등했다.
작년 중국의 점유율은 49.5%로 절반에 육박했고 일본 6.7%, 미국 5.3%, 인도 5.0% 등이었다.
지역별 생산량과 증가율은 아시아가 11억3천230만t으로 전년대비 1.4% 늘었으나 유럽은 3억1천290만t으로 0.1% 감소했다. 북미는 1억2천120만t으로 2.0% 늘었고 남미, 아프리카, 호주/뉴질랜드도 전년대비 감소했다.
전 세계 각국 철강업체들의 월간 설비 가동률은 작년 12월 72.7%를 기록해 1년 전인 2013년 12월(75.1%)보다 2.4%포인트 떨어지면서 2012년 12월(72.0%) 이후 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전 세계 철강업체들의 작년 평균 설비가동률도 76.7%로 2013년 78.4%보다 1.7%포인트 하락했다.
hoon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