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화약 시장 막장 담합 적발
입력 2015.01.29 (23:21) 수정 2015.01.30 (00:06) 뉴스라인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국내 화약업계의 원조인 한화가 담합을 통해 화약 가격을 올리고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다 적발돼 5백 억원이 넘는 과징금을 물게 됐습니다.
경쟁 업체를 시장에서 몰아내려고 영업 방해도 서슴지 않았습니다.
이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렇게 건물을 해체하거나 터널 공사 등을 할 때 반드시 필요한 게 산업용 화약입니다.
국내 화약 시장은 연간 2천억 원 규모지만, 한화와 고려노벨화약, 단 두 업체가 장악하고 있습니다
1999년에 시작된 철저한 담합의 결과였습니다.
두 업체는 이른바 '거래처 나눠먹기'를 통해 시장 점유율을 7대 3의 비율로 고정했습니다.
화약 값도 서로 짜고 13년 동안 4차례에 걸쳐 한번에 최고 15%까지 인상했습니다.
2002년 신규 참여 사업자 세홍화약이 등장하자, 담합은 경쟁자 몰아내기로 이어졌습니다.
세홍 제품을 쓰는 거래처에는 '자신들의 제품을 팔지 않겠다'며 영업을 방해했습니다.
또 저가 공세로 세홍의 거래처를 빼앗고, 세홍 제품을 비방했습니다.
<녹취> 화약업계 관계자(음성변조) : "세홍의 화약 자체가 조금 위력이 약하다고 그렇게 말했으니까...(세홍은) 생기면 안 되는 회사였다고 그렇게 얘기하는 것 같더라고요."
세홍은 결국 5년 만에 고려노벨화약에 인수됐습니다.
한화와 고려노벨화약은 담합 관련 서류를 정기적으로 폐기하는 치밀함까지 보였습니다.
<녹취> 신영호(공정위 카르텔조사국장) : "공동 행위가 적발되지 않도록 (담당자들이) 남의 휴대폰을 빌려서 전화한다든가 아니면 공중전화를 활용한다든가..."
공정위는 한화에 516억원, 고려노벨화약에 126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고 두 업체 모두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이경진입니다.
국내 화약업계의 원조인 한화가 담합을 통해 화약 가격을 올리고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다 적발돼 5백 억원이 넘는 과징금을 물게 됐습니다.
경쟁 업체를 시장에서 몰아내려고 영업 방해도 서슴지 않았습니다.
이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렇게 건물을 해체하거나 터널 공사 등을 할 때 반드시 필요한 게 산업용 화약입니다.
국내 화약 시장은 연간 2천억 원 규모지만, 한화와 고려노벨화약, 단 두 업체가 장악하고 있습니다
1999년에 시작된 철저한 담합의 결과였습니다.
두 업체는 이른바 '거래처 나눠먹기'를 통해 시장 점유율을 7대 3의 비율로 고정했습니다.
화약 값도 서로 짜고 13년 동안 4차례에 걸쳐 한번에 최고 15%까지 인상했습니다.
2002년 신규 참여 사업자 세홍화약이 등장하자, 담합은 경쟁자 몰아내기로 이어졌습니다.
세홍 제품을 쓰는 거래처에는 '자신들의 제품을 팔지 않겠다'며 영업을 방해했습니다.
또 저가 공세로 세홍의 거래처를 빼앗고, 세홍 제품을 비방했습니다.
<녹취> 화약업계 관계자(음성변조) : "세홍의 화약 자체가 조금 위력이 약하다고 그렇게 말했으니까...(세홍은) 생기면 안 되는 회사였다고 그렇게 얘기하는 것 같더라고요."
세홍은 결국 5년 만에 고려노벨화약에 인수됐습니다.
한화와 고려노벨화약은 담합 관련 서류를 정기적으로 폐기하는 치밀함까지 보였습니다.
<녹취> 신영호(공정위 카르텔조사국장) : "공동 행위가 적발되지 않도록 (담당자들이) 남의 휴대폰을 빌려서 전화한다든가 아니면 공중전화를 활용한다든가..."
공정위는 한화에 516억원, 고려노벨화약에 126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고 두 업체 모두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이경진입니다.
- 화약 시장 막장 담합 적발
-
- 입력 2015-01-29 23:24:43
- 수정2015-01-30 00:06:20

<앵커 멘트>
국내 화약업계의 원조인 한화가 담합을 통해 화약 가격을 올리고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다 적발돼 5백 억원이 넘는 과징금을 물게 됐습니다.
경쟁 업체를 시장에서 몰아내려고 영업 방해도 서슴지 않았습니다.
이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렇게 건물을 해체하거나 터널 공사 등을 할 때 반드시 필요한 게 산업용 화약입니다.
국내 화약 시장은 연간 2천억 원 규모지만, 한화와 고려노벨화약, 단 두 업체가 장악하고 있습니다
1999년에 시작된 철저한 담합의 결과였습니다.
두 업체는 이른바 '거래처 나눠먹기'를 통해 시장 점유율을 7대 3의 비율로 고정했습니다.
화약 값도 서로 짜고 13년 동안 4차례에 걸쳐 한번에 최고 15%까지 인상했습니다.
2002년 신규 참여 사업자 세홍화약이 등장하자, 담합은 경쟁자 몰아내기로 이어졌습니다.
세홍 제품을 쓰는 거래처에는 '자신들의 제품을 팔지 않겠다'며 영업을 방해했습니다.
또 저가 공세로 세홍의 거래처를 빼앗고, 세홍 제품을 비방했습니다.
<녹취> 화약업계 관계자(음성변조) : "세홍의 화약 자체가 조금 위력이 약하다고 그렇게 말했으니까...(세홍은) 생기면 안 되는 회사였다고 그렇게 얘기하는 것 같더라고요."
세홍은 결국 5년 만에 고려노벨화약에 인수됐습니다.
한화와 고려노벨화약은 담합 관련 서류를 정기적으로 폐기하는 치밀함까지 보였습니다.
<녹취> 신영호(공정위 카르텔조사국장) : "공동 행위가 적발되지 않도록 (담당자들이) 남의 휴대폰을 빌려서 전화한다든가 아니면 공중전화를 활용한다든가..."
공정위는 한화에 516억원, 고려노벨화약에 126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고 두 업체 모두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이경진입니다.
국내 화약업계의 원조인 한화가 담합을 통해 화약 가격을 올리고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다 적발돼 5백 억원이 넘는 과징금을 물게 됐습니다.
경쟁 업체를 시장에서 몰아내려고 영업 방해도 서슴지 않았습니다.
이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렇게 건물을 해체하거나 터널 공사 등을 할 때 반드시 필요한 게 산업용 화약입니다.
국내 화약 시장은 연간 2천억 원 규모지만, 한화와 고려노벨화약, 단 두 업체가 장악하고 있습니다
1999년에 시작된 철저한 담합의 결과였습니다.
두 업체는 이른바 '거래처 나눠먹기'를 통해 시장 점유율을 7대 3의 비율로 고정했습니다.
화약 값도 서로 짜고 13년 동안 4차례에 걸쳐 한번에 최고 15%까지 인상했습니다.
2002년 신규 참여 사업자 세홍화약이 등장하자, 담합은 경쟁자 몰아내기로 이어졌습니다.
세홍 제품을 쓰는 거래처에는 '자신들의 제품을 팔지 않겠다'며 영업을 방해했습니다.
또 저가 공세로 세홍의 거래처를 빼앗고, 세홍 제품을 비방했습니다.
<녹취> 화약업계 관계자(음성변조) : "세홍의 화약 자체가 조금 위력이 약하다고 그렇게 말했으니까...(세홍은) 생기면 안 되는 회사였다고 그렇게 얘기하는 것 같더라고요."
세홍은 결국 5년 만에 고려노벨화약에 인수됐습니다.
한화와 고려노벨화약은 담합 관련 서류를 정기적으로 폐기하는 치밀함까지 보였습니다.
<녹취> 신영호(공정위 카르텔조사국장) : "공동 행위가 적발되지 않도록 (담당자들이) 남의 휴대폰을 빌려서 전화한다든가 아니면 공중전화를 활용한다든가..."
공정위는 한화에 516억원, 고려노벨화약에 126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고 두 업체 모두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이경진입니다.
뉴스라인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이경진 기자 taas@kbs.co.kr
이경진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