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는 명목 금리뿐만 아니라 물가를 반영한 실질 금리도 하락했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1년간 예금은행에서 새로 정기예금에 가입한 소비자에게 적용된 평균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2.42%로, 전년의 역대 최저 기록(2.70%)을 경신했다.
2011년 3.69%를 정점으로 2012년 3.43% 등 3년 연속 하락세다.
저금리에도 불구하고 저물가 때문에 한동안 명목 금리 추이와 다르게 움직인 실질 금리도 지난해는 하락했다.
명목 금리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뺀 실질 기준으로 정기예금 금리는 지난해 1.12%에 그쳐 3년만에 하락세를 보였다.
정기예금의 실질 금리는 이 기준으로 2011년 마이너스(-0.31%)였으나 2012년에는 플러스(1.23%)로 돌아섰으며 2013년(1.40%)에는 조금 더 높아졌다.
이 기간 소비자물가가 금리보다 더 빠르게 낮아진 때문이다.
국고채 3년물 수익률도 실질로는 2011년 마이너스(-0.38%)에서 2012년 0.93%, 2013년 1.49%까지 높아지다가 지난해 1.29%로 낮아지는 등 시장금리 역시 비슷한 추세다.
한국은행 등 당국이 사용하는 좀 더 전문적인 방식(실질금리=명목금리-기대인플레이션율)으로 계산하면 은행 이용자가 체감하는 실질 금리는 한층 더 낮은 상황이다. 이 방식은 명목금리가 실질금리와 기대인플레이션율로 이뤄진다는 미국 경제학자 어빙 피셔의 이론에 기초한 것으로, 한은은 경제 주체들이 전망하는 향후 1년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기대인플레이션율로 사용한다.
이 방식에 의한 실질 정기예금 금리는 2013년 -0.29%에서 2014년 -0.37%로 마이너스 폭이 더 확대됐다. 돈을 많이 맡길수록 손해를 보는 셈이다.
목돈을 만들기 위해 가입하는 정기 적금도 이 기준 실질 금리로는 2013년 플러스(0.07%)에서 지난해는 마이너스(-0.13%)로 부호가 바뀌었다.
한은 관계자는 "과거와는 달리 소비자물가와 기대인플레이션율의 괴리가 크다"면서 "돈을 은행에 맡길 때는 1년 뒤 물가가 얼마나 오를지(기대인플레이션율) 생각해 이자율과 비교해 의사결정을 하는 만큼 실질 금리는 기대인플레이션율에 기초해 주로 따진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이자율이 물가 상승에 못 미친다고 돈이 은행에서 대거 이탈하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 이용자는 자신의 돈을 달리 맡겨둘 데도 없고 결제 등 편리성 때문에 은행 등 예금취급기관을 계속 이용한다.
실제 예금취급기관의 작년 11월말 현재 정기 예·적금은 997조711억원으로 1년 전보다 25조5천374억원(2.6%) 증가했다.
그러나 이자는 더 적더라도 쉽게 빼서 쓸 수 있는 수시입출식저축성 예금은 36조7천286억원(11.1%) 늘고 요구불 예금도 18조6천781억원(15.7%) 증가했다.
5만원권을 중심으로 현금 수요가 늘어나는 것도 금리가 낮아지면서 이자에 대한 기대수익이 줄자 차라리 세금이나 피하려는 지하경제 수요가 상대적으로 늘어난 때문이라는 분석을 낳고 있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1년간 예금은행에서 새로 정기예금에 가입한 소비자에게 적용된 평균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2.42%로, 전년의 역대 최저 기록(2.70%)을 경신했다.
2011년 3.69%를 정점으로 2012년 3.43% 등 3년 연속 하락세다.
저금리에도 불구하고 저물가 때문에 한동안 명목 금리 추이와 다르게 움직인 실질 금리도 지난해는 하락했다.
명목 금리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뺀 실질 기준으로 정기예금 금리는 지난해 1.12%에 그쳐 3년만에 하락세를 보였다.
정기예금의 실질 금리는 이 기준으로 2011년 마이너스(-0.31%)였으나 2012년에는 플러스(1.23%)로 돌아섰으며 2013년(1.40%)에는 조금 더 높아졌다.
이 기간 소비자물가가 금리보다 더 빠르게 낮아진 때문이다.
국고채 3년물 수익률도 실질로는 2011년 마이너스(-0.38%)에서 2012년 0.93%, 2013년 1.49%까지 높아지다가 지난해 1.29%로 낮아지는 등 시장금리 역시 비슷한 추세다.
한국은행 등 당국이 사용하는 좀 더 전문적인 방식(실질금리=명목금리-기대인플레이션율)으로 계산하면 은행 이용자가 체감하는 실질 금리는 한층 더 낮은 상황이다. 이 방식은 명목금리가 실질금리와 기대인플레이션율로 이뤄진다는 미국 경제학자 어빙 피셔의 이론에 기초한 것으로, 한은은 경제 주체들이 전망하는 향후 1년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기대인플레이션율로 사용한다.
이 방식에 의한 실질 정기예금 금리는 2013년 -0.29%에서 2014년 -0.37%로 마이너스 폭이 더 확대됐다. 돈을 많이 맡길수록 손해를 보는 셈이다.
목돈을 만들기 위해 가입하는 정기 적금도 이 기준 실질 금리로는 2013년 플러스(0.07%)에서 지난해는 마이너스(-0.13%)로 부호가 바뀌었다.
한은 관계자는 "과거와는 달리 소비자물가와 기대인플레이션율의 괴리가 크다"면서 "돈을 은행에 맡길 때는 1년 뒤 물가가 얼마나 오를지(기대인플레이션율) 생각해 이자율과 비교해 의사결정을 하는 만큼 실질 금리는 기대인플레이션율에 기초해 주로 따진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이자율이 물가 상승에 못 미친다고 돈이 은행에서 대거 이탈하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 이용자는 자신의 돈을 달리 맡겨둘 데도 없고 결제 등 편리성 때문에 은행 등 예금취급기관을 계속 이용한다.
실제 예금취급기관의 작년 11월말 현재 정기 예·적금은 997조711억원으로 1년 전보다 25조5천374억원(2.6%) 증가했다.
그러나 이자는 더 적더라도 쉽게 빼서 쓸 수 있는 수시입출식저축성 예금은 36조7천286억원(11.1%) 늘고 요구불 예금도 18조6천781억원(15.7%) 증가했다.
5만원권을 중심으로 현금 수요가 늘어나는 것도 금리가 낮아지면서 이자에 대한 기대수익이 줄자 차라리 세금이나 피하려는 지하경제 수요가 상대적으로 늘어난 때문이라는 분석을 낳고 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난해 정기예금 실질금리 평균 1% 수준
-
- 입력 2015-02-02 06:51:39
지난해는 명목 금리뿐만 아니라 물가를 반영한 실질 금리도 하락했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1년간 예금은행에서 새로 정기예금에 가입한 소비자에게 적용된 평균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2.42%로, 전년의 역대 최저 기록(2.70%)을 경신했다.
2011년 3.69%를 정점으로 2012년 3.43% 등 3년 연속 하락세다.
저금리에도 불구하고 저물가 때문에 한동안 명목 금리 추이와 다르게 움직인 실질 금리도 지난해는 하락했다.
명목 금리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뺀 실질 기준으로 정기예금 금리는 지난해 1.12%에 그쳐 3년만에 하락세를 보였다.
정기예금의 실질 금리는 이 기준으로 2011년 마이너스(-0.31%)였으나 2012년에는 플러스(1.23%)로 돌아섰으며 2013년(1.40%)에는 조금 더 높아졌다.
이 기간 소비자물가가 금리보다 더 빠르게 낮아진 때문이다.
국고채 3년물 수익률도 실질로는 2011년 마이너스(-0.38%)에서 2012년 0.93%, 2013년 1.49%까지 높아지다가 지난해 1.29%로 낮아지는 등 시장금리 역시 비슷한 추세다.
한국은행 등 당국이 사용하는 좀 더 전문적인 방식(실질금리=명목금리-기대인플레이션율)으로 계산하면 은행 이용자가 체감하는 실질 금리는 한층 더 낮은 상황이다. 이 방식은 명목금리가 실질금리와 기대인플레이션율로 이뤄진다는 미국 경제학자 어빙 피셔의 이론에 기초한 것으로, 한은은 경제 주체들이 전망하는 향후 1년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기대인플레이션율로 사용한다.
이 방식에 의한 실질 정기예금 금리는 2013년 -0.29%에서 2014년 -0.37%로 마이너스 폭이 더 확대됐다. 돈을 많이 맡길수록 손해를 보는 셈이다.
목돈을 만들기 위해 가입하는 정기 적금도 이 기준 실질 금리로는 2013년 플러스(0.07%)에서 지난해는 마이너스(-0.13%)로 부호가 바뀌었다.
한은 관계자는 "과거와는 달리 소비자물가와 기대인플레이션율의 괴리가 크다"면서 "돈을 은행에 맡길 때는 1년 뒤 물가가 얼마나 오를지(기대인플레이션율) 생각해 이자율과 비교해 의사결정을 하는 만큼 실질 금리는 기대인플레이션율에 기초해 주로 따진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이자율이 물가 상승에 못 미친다고 돈이 은행에서 대거 이탈하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 이용자는 자신의 돈을 달리 맡겨둘 데도 없고 결제 등 편리성 때문에 은행 등 예금취급기관을 계속 이용한다.
실제 예금취급기관의 작년 11월말 현재 정기 예·적금은 997조711억원으로 1년 전보다 25조5천374억원(2.6%) 증가했다.
그러나 이자는 더 적더라도 쉽게 빼서 쓸 수 있는 수시입출식저축성 예금은 36조7천286억원(11.1%) 늘고 요구불 예금도 18조6천781억원(15.7%) 증가했다.
5만원권을 중심으로 현금 수요가 늘어나는 것도 금리가 낮아지면서 이자에 대한 기대수익이 줄자 차라리 세금이나 피하려는 지하경제 수요가 상대적으로 늘어난 때문이라는 분석을 낳고 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