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정기예금 실질금리 평균 1% 수준

입력 2015.02.02 (06: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는 명목 금리뿐만 아니라 물가를 반영한 실질 금리도 하락했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1년간 예금은행에서 새로 정기예금에 가입한 소비자에게 적용된 평균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2.42%로, 전년의 역대 최저 기록(2.70%)을 경신했다.

2011년 3.69%를 정점으로 2012년 3.43% 등 3년 연속 하락세다.

저금리에도 불구하고 저물가 때문에 한동안 명목 금리 추이와 다르게 움직인 실질 금리도 지난해는 하락했다.

명목 금리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뺀 실질 기준으로 정기예금 금리는 지난해 1.12%에 그쳐 3년만에 하락세를 보였다.

정기예금의 실질 금리는 이 기준으로 2011년 마이너스(-0.31%)였으나 2012년에는 플러스(1.23%)로 돌아섰으며 2013년(1.40%)에는 조금 더 높아졌다.

이 기간 소비자물가가 금리보다 더 빠르게 낮아진 때문이다.

국고채 3년물 수익률도 실질로는 2011년 마이너스(-0.38%)에서 2012년 0.93%, 2013년 1.49%까지 높아지다가 지난해 1.29%로 낮아지는 등 시장금리 역시 비슷한 추세다.

한국은행 등 당국이 사용하는 좀 더 전문적인 방식(실질금리=명목금리-기대인플레이션율)으로 계산하면 은행 이용자가 체감하는 실질 금리는 한층 더 낮은 상황이다. 이 방식은 명목금리가 실질금리와 기대인플레이션율로 이뤄진다는 미국 경제학자 어빙 피셔의 이론에 기초한 것으로, 한은은 경제 주체들이 전망하는 향후 1년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기대인플레이션율로 사용한다.

이 방식에 의한 실질 정기예금 금리는 2013년 -0.29%에서 2014년 -0.37%로 마이너스 폭이 더 확대됐다. 돈을 많이 맡길수록 손해를 보는 셈이다.

목돈을 만들기 위해 가입하는 정기 적금도 이 기준 실질 금리로는 2013년 플러스(0.07%)에서 지난해는 마이너스(-0.13%)로 부호가 바뀌었다.

한은 관계자는 "과거와는 달리 소비자물가와 기대인플레이션율의 괴리가 크다"면서 "돈을 은행에 맡길 때는 1년 뒤 물가가 얼마나 오를지(기대인플레이션율) 생각해 이자율과 비교해 의사결정을 하는 만큼 실질 금리는 기대인플레이션율에 기초해 주로 따진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이자율이 물가 상승에 못 미친다고 돈이 은행에서 대거 이탈하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 이용자는 자신의 돈을 달리 맡겨둘 데도 없고 결제 등 편리성 때문에 은행 등 예금취급기관을 계속 이용한다.

실제 예금취급기관의 작년 11월말 현재 정기 예·적금은 997조711억원으로 1년 전보다 25조5천374억원(2.6%) 증가했다.

그러나 이자는 더 적더라도 쉽게 빼서 쓸 수 있는 수시입출식저축성 예금은 36조7천286억원(11.1%) 늘고 요구불 예금도 18조6천781억원(15.7%) 증가했다.

5만원권을 중심으로 현금 수요가 늘어나는 것도 금리가 낮아지면서 이자에 대한 기대수익이 줄자 차라리 세금이나 피하려는 지하경제 수요가 상대적으로 늘어난 때문이라는 분석을 낳고 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난해 정기예금 실질금리 평균 1% 수준
    • 입력 2015-02-02 06:51:39
    연합뉴스
지난해는 명목 금리뿐만 아니라 물가를 반영한 실질 금리도 하락했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1년간 예금은행에서 새로 정기예금에 가입한 소비자에게 적용된 평균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2.42%로, 전년의 역대 최저 기록(2.70%)을 경신했다. 2011년 3.69%를 정점으로 2012년 3.43% 등 3년 연속 하락세다. 저금리에도 불구하고 저물가 때문에 한동안 명목 금리 추이와 다르게 움직인 실질 금리도 지난해는 하락했다. 명목 금리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뺀 실질 기준으로 정기예금 금리는 지난해 1.12%에 그쳐 3년만에 하락세를 보였다. 정기예금의 실질 금리는 이 기준으로 2011년 마이너스(-0.31%)였으나 2012년에는 플러스(1.23%)로 돌아섰으며 2013년(1.40%)에는 조금 더 높아졌다. 이 기간 소비자물가가 금리보다 더 빠르게 낮아진 때문이다. 국고채 3년물 수익률도 실질로는 2011년 마이너스(-0.38%)에서 2012년 0.93%, 2013년 1.49%까지 높아지다가 지난해 1.29%로 낮아지는 등 시장금리 역시 비슷한 추세다. 한국은행 등 당국이 사용하는 좀 더 전문적인 방식(실질금리=명목금리-기대인플레이션율)으로 계산하면 은행 이용자가 체감하는 실질 금리는 한층 더 낮은 상황이다. 이 방식은 명목금리가 실질금리와 기대인플레이션율로 이뤄진다는 미국 경제학자 어빙 피셔의 이론에 기초한 것으로, 한은은 경제 주체들이 전망하는 향후 1년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기대인플레이션율로 사용한다. 이 방식에 의한 실질 정기예금 금리는 2013년 -0.29%에서 2014년 -0.37%로 마이너스 폭이 더 확대됐다. 돈을 많이 맡길수록 손해를 보는 셈이다. 목돈을 만들기 위해 가입하는 정기 적금도 이 기준 실질 금리로는 2013년 플러스(0.07%)에서 지난해는 마이너스(-0.13%)로 부호가 바뀌었다. 한은 관계자는 "과거와는 달리 소비자물가와 기대인플레이션율의 괴리가 크다"면서 "돈을 은행에 맡길 때는 1년 뒤 물가가 얼마나 오를지(기대인플레이션율) 생각해 이자율과 비교해 의사결정을 하는 만큼 실질 금리는 기대인플레이션율에 기초해 주로 따진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이자율이 물가 상승에 못 미친다고 돈이 은행에서 대거 이탈하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 이용자는 자신의 돈을 달리 맡겨둘 데도 없고 결제 등 편리성 때문에 은행 등 예금취급기관을 계속 이용한다. 실제 예금취급기관의 작년 11월말 현재 정기 예·적금은 997조711억원으로 1년 전보다 25조5천374억원(2.6%) 증가했다. 그러나 이자는 더 적더라도 쉽게 빼서 쓸 수 있는 수시입출식저축성 예금은 36조7천286억원(11.1%) 늘고 요구불 예금도 18조6천781억원(15.7%) 증가했다. 5만원권을 중심으로 현금 수요가 늘어나는 것도 금리가 낮아지면서 이자에 대한 기대수익이 줄자 차라리 세금이나 피하려는 지하경제 수요가 상대적으로 늘어난 때문이라는 분석을 낳고 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