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북 인권 개선’ 토론회…범아시아 인권기구 제안
입력 2015.02.11 (07:45) 수정 2015.02.11 (09:18) 뉴스광장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북한의 인권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국제 토론회가 아세안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인도네시아에서 열렸습니다.
이번 토론회의에서는 북한을 포함한 아시아지역 차원의 국제 인권기구에 설립 방안도 제시됐습니다.
자카르타에서 고영태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북한 인권개선을 위한 자카르타 토론회에서는 국제 사회의 구체적인 공조 방안이 논의 됐습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이를 위해 북한을 포함한 범아시아적 인권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습니다.
<인터뷰> 현병철(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 "한국 북한 일본 중국 등을 포괄하는 아시아 지역차원의 인권기구 설립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또 동남아지역의 탈북자들이 안전하게 한국으로 송환될 수 있도록 국제 난민 지위를 부여하는 방안도 제시됐습니다.
난민 지위를 얻으면 인신 매매와 북송 등의 위험없이 국제법에 따라 한국 송환이 보장되기 때문입니다.
유엔 등 국제 기구를 통해 대북 압박을 한층 강화해야 할 필요성에 대한 공감도 얻었습니다.
지난해 북한인권보고서 작성에 참여한 다루스만 유엔특별인권보고관은 다음달 유엔인권이사회를 통해 인권침해자들이 국제법의 심판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인터뷰> 마르주키 다루스만(유엔북한인권특별보고관) : "유엔은 많은 법적 선택권을 가지고 있고 결론을 내리기전에 충분히 검토할 것입니다."
또 이번 국제 토론회에서는 그 동안 논란이 됐던 북한인권현장사무소를 다음달 서울에 설치하는 등 국제 사회의 다양한 공조방안도 논의 됐습니다.
자카르타에서 KBS 뉴스 고영태입니다.
북한의 인권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국제 토론회가 아세안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인도네시아에서 열렸습니다.
이번 토론회의에서는 북한을 포함한 아시아지역 차원의 국제 인권기구에 설립 방안도 제시됐습니다.
자카르타에서 고영태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북한 인권개선을 위한 자카르타 토론회에서는 국제 사회의 구체적인 공조 방안이 논의 됐습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이를 위해 북한을 포함한 범아시아적 인권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습니다.
<인터뷰> 현병철(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 "한국 북한 일본 중국 등을 포괄하는 아시아 지역차원의 인권기구 설립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또 동남아지역의 탈북자들이 안전하게 한국으로 송환될 수 있도록 국제 난민 지위를 부여하는 방안도 제시됐습니다.
난민 지위를 얻으면 인신 매매와 북송 등의 위험없이 국제법에 따라 한국 송환이 보장되기 때문입니다.
유엔 등 국제 기구를 통해 대북 압박을 한층 강화해야 할 필요성에 대한 공감도 얻었습니다.
지난해 북한인권보고서 작성에 참여한 다루스만 유엔특별인권보고관은 다음달 유엔인권이사회를 통해 인권침해자들이 국제법의 심판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인터뷰> 마르주키 다루스만(유엔북한인권특별보고관) : "유엔은 많은 법적 선택권을 가지고 있고 결론을 내리기전에 충분히 검토할 것입니다."
또 이번 국제 토론회에서는 그 동안 논란이 됐던 북한인권현장사무소를 다음달 서울에 설치하는 등 국제 사회의 다양한 공조방안도 논의 됐습니다.
자카르타에서 KBS 뉴스 고영태입니다.
- ‘북 인권 개선’ 토론회…범아시아 인권기구 제안
-
- 입력 2015-02-11 08:05:32
- 수정2015-02-11 09:18:19

<앵커 멘트>
북한의 인권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국제 토론회가 아세안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인도네시아에서 열렸습니다.
이번 토론회의에서는 북한을 포함한 아시아지역 차원의 국제 인권기구에 설립 방안도 제시됐습니다.
자카르타에서 고영태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북한 인권개선을 위한 자카르타 토론회에서는 국제 사회의 구체적인 공조 방안이 논의 됐습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이를 위해 북한을 포함한 범아시아적 인권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습니다.
<인터뷰> 현병철(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 "한국 북한 일본 중국 등을 포괄하는 아시아 지역차원의 인권기구 설립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또 동남아지역의 탈북자들이 안전하게 한국으로 송환될 수 있도록 국제 난민 지위를 부여하는 방안도 제시됐습니다.
난민 지위를 얻으면 인신 매매와 북송 등의 위험없이 국제법에 따라 한국 송환이 보장되기 때문입니다.
유엔 등 국제 기구를 통해 대북 압박을 한층 강화해야 할 필요성에 대한 공감도 얻었습니다.
지난해 북한인권보고서 작성에 참여한 다루스만 유엔특별인권보고관은 다음달 유엔인권이사회를 통해 인권침해자들이 국제법의 심판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인터뷰> 마르주키 다루스만(유엔북한인권특별보고관) : "유엔은 많은 법적 선택권을 가지고 있고 결론을 내리기전에 충분히 검토할 것입니다."
또 이번 국제 토론회에서는 그 동안 논란이 됐던 북한인권현장사무소를 다음달 서울에 설치하는 등 국제 사회의 다양한 공조방안도 논의 됐습니다.
자카르타에서 KBS 뉴스 고영태입니다.
북한의 인권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국제 토론회가 아세안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인도네시아에서 열렸습니다.
이번 토론회의에서는 북한을 포함한 아시아지역 차원의 국제 인권기구에 설립 방안도 제시됐습니다.
자카르타에서 고영태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북한 인권개선을 위한 자카르타 토론회에서는 국제 사회의 구체적인 공조 방안이 논의 됐습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이를 위해 북한을 포함한 범아시아적 인권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습니다.
<인터뷰> 현병철(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 "한국 북한 일본 중국 등을 포괄하는 아시아 지역차원의 인권기구 설립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또 동남아지역의 탈북자들이 안전하게 한국으로 송환될 수 있도록 국제 난민 지위를 부여하는 방안도 제시됐습니다.
난민 지위를 얻으면 인신 매매와 북송 등의 위험없이 국제법에 따라 한국 송환이 보장되기 때문입니다.
유엔 등 국제 기구를 통해 대북 압박을 한층 강화해야 할 필요성에 대한 공감도 얻었습니다.
지난해 북한인권보고서 작성에 참여한 다루스만 유엔특별인권보고관은 다음달 유엔인권이사회를 통해 인권침해자들이 국제법의 심판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인터뷰> 마르주키 다루스만(유엔북한인권특별보고관) : "유엔은 많은 법적 선택권을 가지고 있고 결론을 내리기전에 충분히 검토할 것입니다."
또 이번 국제 토론회에서는 그 동안 논란이 됐던 북한인권현장사무소를 다음달 서울에 설치하는 등 국제 사회의 다양한 공조방안도 논의 됐습니다.
자카르타에서 KBS 뉴스 고영태입니다.
뉴스광장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고영태 기자 kevin@kbs.co.kr
고영태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