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영화] 심장이 터질듯한 ‘위플래쉬’

입력 2015.02.11 (17: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35세의 나이로 요절한 '비밥의 창시자' 찰리 파커(일명 '버드'). 그를 전설적인 재즈 색소폰 연주자로 만든 것은 한 공연에서 드러머 조 존스가 던진 심벌즈였다.

그의 연주가 마음에 들지 않았던 조 존스의 행동으로 당시 모두의 웃음거리가 된 찰리 파커는 절치부심했고, 연습에 연습을 거듭한 끝에 결국 1년 뒤 누구도 따라 할 수 없는 최고의 연주를 선보였다.

영화 '위플래쉬'에서 음악 명문 셰이퍼 음악 학교의 자랑인 '스튜디오 밴드'를 이끄는 플렛처 교수(J.K.시몬스)는 '제2의 찰리 파커'를 만들고자 학생들에게 '조 존스의 심벌즈'를 거침없이 날린다.

플렛처는 때로는 인격 모독에 가까운 욕설을, 때로는 진짜 의자를 던지지만, 그에게 인정받는 것이 곧 최고의 음악가로 인정받는 길이기 때문에 학생들은 그의 폭군 같은 행동을 참고 버틴다.

그러던 어느 날 '버디 리치'와 같은 위대한 재즈 드러머가 되는 것이 꿈인 앤드루(마일즈 텔러)가 플렛처의 눈에 띄어 '스튜디오 밴드'에 들어오는 '행운'을 거머쥐게 된다.

연습 첫날 웃으며 "재미있게 해봐"라던 플렛처는 곧이어 그가 박자를 제대로 못 맞춘다며 의자를 집어던지고 뺨을 때리고 "저능아가 어떻게 입학했지?"라고 욕설을 퍼붓는다. "죽도록 연습해"라는 말과 함께.

이를 계기로 말 그대로 '피나는' 연습을 계속한 앤드루는 마침내 악보나 넘겨주던 보조에서 메인 드러머로 자리를 옮기며 자신의 실력을 입증한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메인 드러머의 자리를 위협받자 앤드루의 열정은 점차 광기 어린 집착으로 변해간다.

영화 '위플래쉬'는 꿈에 대한 열정이 광기에 가까운 집착과 분노로, 다시 이를 초월한 위대한 예술로 승화되는 모습을 그리며 러닝타임 내내 숨 쉴 틈 없이 몰아친다.

학창시절 경험을 토대로 시나리오를 쓴 다미엔 차젤레 감독은 "'위플래쉬'를 음악영화지만 전쟁영화나 갱스터영화의 느낌이 나는 영화로 만들고 싶었다"고 한다.

앤드루와 플렛처의 광기처럼 폭주하며 시종일관 긴장감을 늦추지 않는 이 영화의 백미는 단연 영화 후반 5분간 이어지는 앤드루의 신들린 드럼 연주다. 앤드루의 광기 어린 연주는 지켜보는 사람도 숨조차 쉴 수 없게 만든다.

아끼던 제자의 갑작스러운 죽음을 슬퍼하면서 밴드 단원들에게 제자가 생전에 남긴 아름다운 연주를 들려주며 눈물을 흘리다가도 박자를 제대로 맞추는 드러머를 찾겠다며 5시간가량 지독하게 연주를 시키며 폭군에 가까운 행동을 보이는 플렛처를 연기한 J.K.시몬스의 카리스마는 가히 폭발적이다. J.K.시몬스는 골든글로브와 영국아카데미영화상 등 40여개 영화상에서 남우조연상을 휩쓸었으며 아카데미 남우조연상 수상도 유력시된다.

실제 드러머 출신인 마일즈 텔러는 대역 없이 모든 연주 장면을 소화했다는 후문이다.

다만 자유분방함을 기반으로 한 재즈 본연의 속성과는 달리 극 중 재즈 밴드의 합주가 곡에 대한 독창적인 해석은커녕 한 치의 오차도 허락하지 않는 완벽함을 추구하는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기예에 가까운 앤드루의 드럼 솜씨에 박수가 절로 나오지만 재즈에서 느낄 수 있는 변화무쌍한 매력과는 다른 느낌이다.

영화 제목인 '위플래쉬'는 재즈 작곡가이자 색소폰 연주자인 행크 래비가 작곡한 재즈곡의 제목으로, 드럼 파트의 '더블 타임 스윙' 주법으로 완성된 독주 부분이 일품으로 꼽히는 곡이다. 단어의 원래 뜻은 '채찍질'로, 학생에게 가하는 선생의 독한 교육을 비유적으로 뜻한다.

어쨌거나 영화가 끝나고 나면 심장이 터질듯한 연주에 절로 심박수가 증가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심장이 약한 사람은 주의.

3월 12일 개봉. 15세 이상 관람가. 106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새영화] 심장이 터질듯한 ‘위플래쉬’
    • 입력 2015-02-11 17:33:10
    연합뉴스
35세의 나이로 요절한 '비밥의 창시자' 찰리 파커(일명 '버드'). 그를 전설적인 재즈 색소폰 연주자로 만든 것은 한 공연에서 드러머 조 존스가 던진 심벌즈였다. 그의 연주가 마음에 들지 않았던 조 존스의 행동으로 당시 모두의 웃음거리가 된 찰리 파커는 절치부심했고, 연습에 연습을 거듭한 끝에 결국 1년 뒤 누구도 따라 할 수 없는 최고의 연주를 선보였다. 영화 '위플래쉬'에서 음악 명문 셰이퍼 음악 학교의 자랑인 '스튜디오 밴드'를 이끄는 플렛처 교수(J.K.시몬스)는 '제2의 찰리 파커'를 만들고자 학생들에게 '조 존스의 심벌즈'를 거침없이 날린다. 플렛처는 때로는 인격 모독에 가까운 욕설을, 때로는 진짜 의자를 던지지만, 그에게 인정받는 것이 곧 최고의 음악가로 인정받는 길이기 때문에 학생들은 그의 폭군 같은 행동을 참고 버틴다. 그러던 어느 날 '버디 리치'와 같은 위대한 재즈 드러머가 되는 것이 꿈인 앤드루(마일즈 텔러)가 플렛처의 눈에 띄어 '스튜디오 밴드'에 들어오는 '행운'을 거머쥐게 된다. 연습 첫날 웃으며 "재미있게 해봐"라던 플렛처는 곧이어 그가 박자를 제대로 못 맞춘다며 의자를 집어던지고 뺨을 때리고 "저능아가 어떻게 입학했지?"라고 욕설을 퍼붓는다. "죽도록 연습해"라는 말과 함께. 이를 계기로 말 그대로 '피나는' 연습을 계속한 앤드루는 마침내 악보나 넘겨주던 보조에서 메인 드러머로 자리를 옮기며 자신의 실력을 입증한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메인 드러머의 자리를 위협받자 앤드루의 열정은 점차 광기 어린 집착으로 변해간다. 영화 '위플래쉬'는 꿈에 대한 열정이 광기에 가까운 집착과 분노로, 다시 이를 초월한 위대한 예술로 승화되는 모습을 그리며 러닝타임 내내 숨 쉴 틈 없이 몰아친다. 학창시절 경험을 토대로 시나리오를 쓴 다미엔 차젤레 감독은 "'위플래쉬'를 음악영화지만 전쟁영화나 갱스터영화의 느낌이 나는 영화로 만들고 싶었다"고 한다. 앤드루와 플렛처의 광기처럼 폭주하며 시종일관 긴장감을 늦추지 않는 이 영화의 백미는 단연 영화 후반 5분간 이어지는 앤드루의 신들린 드럼 연주다. 앤드루의 광기 어린 연주는 지켜보는 사람도 숨조차 쉴 수 없게 만든다. 아끼던 제자의 갑작스러운 죽음을 슬퍼하면서 밴드 단원들에게 제자가 생전에 남긴 아름다운 연주를 들려주며 눈물을 흘리다가도 박자를 제대로 맞추는 드러머를 찾겠다며 5시간가량 지독하게 연주를 시키며 폭군에 가까운 행동을 보이는 플렛처를 연기한 J.K.시몬스의 카리스마는 가히 폭발적이다. J.K.시몬스는 골든글로브와 영국아카데미영화상 등 40여개 영화상에서 남우조연상을 휩쓸었으며 아카데미 남우조연상 수상도 유력시된다. 실제 드러머 출신인 마일즈 텔러는 대역 없이 모든 연주 장면을 소화했다는 후문이다. 다만 자유분방함을 기반으로 한 재즈 본연의 속성과는 달리 극 중 재즈 밴드의 합주가 곡에 대한 독창적인 해석은커녕 한 치의 오차도 허락하지 않는 완벽함을 추구하는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기예에 가까운 앤드루의 드럼 솜씨에 박수가 절로 나오지만 재즈에서 느낄 수 있는 변화무쌍한 매력과는 다른 느낌이다. 영화 제목인 '위플래쉬'는 재즈 작곡가이자 색소폰 연주자인 행크 래비가 작곡한 재즈곡의 제목으로, 드럼 파트의 '더블 타임 스윙' 주법으로 완성된 독주 부분이 일품으로 꼽히는 곡이다. 단어의 원래 뜻은 '채찍질'로, 학생에게 가하는 선생의 독한 교육을 비유적으로 뜻한다. 어쨌거나 영화가 끝나고 나면 심장이 터질듯한 연주에 절로 심박수가 증가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심장이 약한 사람은 주의. 3월 12일 개봉. 15세 이상 관람가. 106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